Warning: mkdir(): Permission denied in /home/virtual/lib/view_data.php on line 81

Warning: fopen(upload/ip_log/ip_log_2024-11.txt): failed to open stream: No such file or directory in /home/virtual/lib/view_data.php on line 83

Warning: fwrite() expects parameter 1 to be resource, boolean given in /home/virtual/lib/view_data.php on line 84
철계 연자성 분말용 하이브리드 절연 코팅막 개발

철계 연자성 분말용 하이브리드 절연 코팅막 개발

Development of Hybrid Insulating Coating for Fe-based Soft Magnetic Powder

Article information

J Powder Mater. 2021;28(3):233-238
a 국민대학교 신소재공학부
b 고등기술연구원
c 선문대학교 신소재공학부
d 한국생산기술연구원
e 한국재료연구원
김 정준a, 김 선겸a, 김 영균b, 장 태석c, 김 휘준d, 김 용진e, 최 현주a,
a School of Materials Science and Engineering, Kookmin University, Seoul 02707, Republic of Korea
b Advanced Materials & Processing Center, Institute of Advanced Engineering, Yongin 17180, Republic of Korea
c Department of Advanced Materials Engineering, Sun Moon University, Asan 31460, Republic of Korea
d Division of New Materials Engineering, Korea Institute of Industrial Technology, Incheon 21999, Republic of Korea
e Powder/Ceramic Research Division, Korea Institute of Materials Science, Changwon 51508, Republic of Korea

- 김정준·김선겸: 학생, 김영균: 선임연구원, 장태석·최현주: 교수, 김휘준: 수석연구원, 김용진: 책임연구원

*Corresponding Author: Hyunjoo Choi, TEL: +82-2-910-4287, FAX: +82-2-910-4320, E-mail: hyunjoo@kookmin.ac.kr
Received 2021 June 15; Revised 2021 June 23; Accepted 2021 June 26.

Abstract

Iron-based amorphous powder attracts increasing attention because of its excellent soft magnetic properties and low iron loss at high frequencies. The development of an insulating layer on the surface of the amorphous soft magnetic powder is important for minimizing the eddy current loss and enhancing the energy efficiency of highfrequency devices by further increasing the electrical resistivity of the cores. In this study, a hybrid insulating coating layer is investigated to compensate for the limitations of monolithic organic or inorganic coating layers. Fe2O3 nanoparticles are added to the flexible silicon-based epoxy layer to prevent magnetic dilution; in addition TiO2 nanoparticles are added to enhance the mechanical durability of the coating layer. In the hybrid coating layer with optimal composition, the decrease in magnetic permeability and saturation magnetization is suppressed.

1. 서 론

최근 전기에너지 효율 극대화를 위해 높은 주파수영역 에서도 고투자율, 고자속밀도, 저철손 특성을 동시에 충족 시킬 수 있는 연자성 소재에 대한 요구가 급격히 증가하 고 있다. 특히, 비정질 연자성 소재는 낮은 철손 특성으로 고주파 대역에서도 우수한 자기적 특성을 나타내어 200 kHz 이상 고주파용 인덕터 소재로 기대되고 있다[1-4]. 철 계 비정질 연자성 소재는 가스분사, 수분사 등에 의해 구 형 형태로 분말 제조가 가능하여 기존의 비정질 리본에 비해 대량 생산이 가능하고, 고밀도 코어로 제조할 수 있 어 고에너지효율 및 경제적인 인덕터 소재로 적용 가능성 이 매우 높다[3, 5-7]. 구형 비정질 분말의 경우, 기존의 결 정질 연자성 소재에 비해 저항이 높고 표면에 절연층을 형성하여 부가적으로 저항을 높여 고주파수에서도 와전류 손실을 줄임으로써 최종적으로 열손실을 낮춰 에너지효율 을 높일 수 있다. 하지만 분말 자체에서 철의 비율이 감소 하고 절연막과 금속 분말 사이의 계면에서의 균열 및 결 함에 의해 투자율이 감소할 수 있기 때문에 코팅 재료의 분율을 최소화하여 전체적으로 얇고 균일하게 코팅됨과 동시에 절연특성을 확보하여 분말의 연자성 특성을 최적 화할 필요가 있다[5, 6, 8-11].

철계 비정질 분말의 절연 코팅을 위해 기존에 유기 절 연막 또는 무기 절연막을 형성시키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 되고 있다[12-17]. 유기 절연 코팅의 경우 강도는 높지만 상대적으로 열에 취약해 코어 성형 공정에 제한을 줄 수 있으며, 무기 절연 코팅은 화학적으로 안정하고 내열성이 우수한 반면 고르지 못한 코팅층과 계면에서의 불안정성 으로 인해 코어 제조에 있어 균열 생성에 의해 절연 효과 가 감소될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4, 16-19].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실리콘계 에폭시와 나노 크기를 갖는 산화물을 이용한 하이브리드 절연막 코팅을 개발하 고자 하였다. 실리콘계 에폭시를 통해 실란 커플링(Silane coupling) 반응으로 유기-무기 간 화학적 결합을 확보하여 안정적인 절연막을 형성시키고, 유기 절연막으로 인해 발 생할 수 있는 자기적 희석을 보완하기 위해 절연 특성과 동시에 자성특성을 띄는 Fe2O3를 유기 절연막에 분산시켰 으며, Fe2O3 간의 응집력으로 인한 고르지 못한 코팅층을 방지하기 위해 절연 및 분산제로 TiO2를 사용하여 하이브 리드 절연막을 제조하였다. 이때, 유기 및 무기 재료의 분 율 조절을 통해 최적 조건을 탐색하고자 하였으며, 제조된 절연 코팅 분말에 대해 미세구조 및 자기적 특성을 비교 하고 절연 재료의 분율에 따른 특성 변화에 대해 고찰하 였다.

2. 실험방법

본 연구에서는 Fe-Cr-Si-B-C 합금계 연자성 분말을 다양 한 절연 코팅 조건에 따라 제조한 뒤 그 특성을 비교하였 다. 실험에 사용된 초기 분말은 상용 철계 연자성 분말 (KUAMET 6B2, ATMIX)을 사용하였다. 정밀한 분급을 위해 45 μm 크기의 구멍을 갖는 체를 이용하였으며, 체 분급기를 사용하여 1.5 mm 진폭의 조건으로 15분 동안 3 회 반복하여 분급하였다. 이때 분말로 인해 체의 구멍이 막히는 것을 방지하고자 분말과 함께 직경 2mm의 실리 카 볼을 넣어 분급이 원활하도록 하였다. 절연막 코팅을 진행하기 위해 유기 절연 재료로 Epoxy siloxane(LK052, Teakyoung Corporation)을 사용하였고, 무기 절연 재료로 산화철(Fe2O3, Sigma Aldrich)과 산화 티타늄(TiO2, Sigma Aldrich)을 사용하였다. 절연막 코팅의 최적 조건 탐색을 위해 표 1과 같은 조건으로 시편을 제조하였다. 이 때 유 기코팅만을 진행한 시험편은 유기물 함량에 따라 각각 Organic 1, 2로, 하이브리드 코팅을 진행한 시험편은 각 유 기물 및 무기물 함량에 따라 Hybrid 1~4로 명명하였다. 철 분말 표면의 절연막 코팅 공정으로는 약 40°C 물 중탕 분 위기에서 에탄올(95%, Daejung Chemical Co., Korea) 300 ml에 유기 재료를 첨가한 뒤 균일한 분산을 위해 기계적 교반기를 이용하여 10분간 혼합하였다. 이때, 교반 속도는 200 rpm으로 진행되었으며, PTFE로 코팅된 교반봉(shaft) 과 날(blade)을 사용하여 코팅 공정 중 화학반응 또는 불 순물을 최소화하였다. 이후 무기 재료를 각각 첨가한 뒤 추가적으로 20분간 교반을 진행하여 절연 코팅 용액을 제 조하였다. 이때, 유기 절연 코팅 조건의 경우 하이브리드 절연 코팅 조건과 동일한 분산 조건을 가하기 위하여 추 가적으로 20분간 교반하였다. 이후 제조된 절연 코팅 용 액에 연자성 분말을 1 0 g 추가한 뒤 에탄올이 모두 증발 할 때까지 동일 분위기에서 교반을 진행하였다. 수득된 코 팅 분말은 전기오븐에서 70°C 하에 24시간 동안 건조를 진행하였다.

Denomination of each sample with various coating conditions

절연막 코팅 공정에 따른 분말 표면의 형상을 관찰하기 위해 전계방사 주사전자현미경(Field emission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FE-SEM, JSM 7410F, JEOL Co., Japan)과 에너지 분산 분광기(Energy dispersive spectrometer; EDS, X-max, Oxford Instruments Ltd., United Kingdom) 를 이용하였다. 분말의 선명한 이미지를 얻기 위해서 분말 을 홀더 위에 고정한 후, Pt 코팅을 통해 표면에 잔류하는 전자를 방출시켰다. 자기적 특성을 분석하기 위해 시료 진 동시료자력계(Vibrating Sample Magnetometer; VSM, Lakeshore 7404, USA)을 이용하여 -5000 Oe £ H £ 5000 Oe의 인가 자장 범위에서 보자력과 포화자화 값을 측정하 였다.

3. 실험결과 및 고찰

그림 1은 본 실험에 사용된 Fe-Cr-Si-B-C 합금 분말과 유기 절연 코팅 분말의 표면을 관찰한 FE-SEM 이미지이 다. 유기 절연 코팅 재료의 분율은 표 1에 제시된 바와 같 다. 초기 분말의 경우 비정질 연자성 분말로서 결정질 분 말과 달리 매끄러운 표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반적으로 결정질 분말의 경우 분말 제조 공정 중에 분말 표면과 그 인접 부위에서 결정화가 시작되어 거친 표면을 갖고 구상화도가 저하되는 반면 비정질 분말의 경우 결정 립이 존재하지 않고 제조 당시 용적(droplet)의 형상과 유 사한 상태로 냉각되기 때문에 구상화도가 높고 매끄러운 표면을 갖는다[7-11]. 유기 절연막 코팅 분말의 경우 초기 분말과 유사한 형상을 갖고, 분말의 표면에 전체적으로 유 기 재료가 코팅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유기 재료로 사용된 에폭시 실록산이 축합반응을 일으킨 결과로 볼 수 있다. 실록산의 실리콘에 존재하는 수산화기가 철 분말 표 면의 수산화기와 반응할 수 있고, 그 반응식은 아래와 같다:

Fig. 1

SEM images of (a) as-powder, (b) Organic 1, and (c) Organic 2.

(1) RSi(OH)3+HOMRSi(OH)2OM+H2O

이러한 반응으로 인해 실리콘 원소를 중심으로 유기 재 료와 무기 재료 간에 안정적인 화학 결합이 유도되어 분 말 표면에 전체적으로 유기 재료가 코팅될 수 있다. 그러 나 O rg anic 2 시편의 경우 분말 표면에 명암의 차이가 관 찰되는 것으로 보아 코팅층이 다소 균일하지 못한 것으로 판단된다. 즉 O rg anic 1은 전체적으로 유기 재료가 분말 표면에 코팅되었지만, Organic 2의 경우 유기 재료의 분율 이 상대적으로 낮기 때문에 부분적으로 코팅이 되지 않은 분말의 표면이 더 밝게 관찰된 것으로 판단된다.

그림 2는 표 1에 제시된 분율 조건으로 하이브리드 코 팅을 진행한 분말의 표면을 관찰한 이미지이다. 전체적으 로 분말 표면에 나노 크기의 산화물 입자들이 유기 코팅 재료와 함께 분산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Hybrid 1의 경우 분말의 표면에 산화물이 존재하지 않는 부분을 볼 수 있는데, 이는 Fe2O3의 응집력으로 인해 코팅 용액 내에서 분산이 제대로 이뤄지지 못하였고 최종적으로 철 분말의 표면에 고르게 코팅되지 못했기 때문인 것으로 판 단된다. 이와 달리 TiO2가 포함된 하이브리드 절연막 코팅 의 경우 분말의 표면에 전체적으로 나노 크기의 산화물 입자들이 고르게 퍼져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절 연 및 분산제로서 첨가한 TiO2로 인해 Fe2O3 분말들의 응 집을 해소되었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Hybrid 4 코팅 분말 의 경우 코팅 재료의 분율이 다른 조건에 비해 상대적으 로 낮음에도 불구하고 분말 표면에 전체적으로 분산된 것 을 관찰할 수 있다. 그림 3은 제조된 하이브리드 절연 코 팅 분말의 표면을 EDS로 분석한 결과이다. 제조된 절연 코팅 분말들은 절연막에 포함된 원소들이 분말 표면에서 전체적으로 고르게 분포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일반적 으로 코팅재의 분율이 높을 경우 비자성체의 분율이 높아 짐으로 자기적 희석을 유도하여 최종 성형체의 포화자화 값을 낮추는 결과를 수반할 수 있기 때문에 절연 코팅은 코팅재의 분율을 최소화함과 동시에 전체적으로 절연이 이뤄질 수 있어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진행된 절연 코팅 조건은 Hybrid 4가 가장 낮은 코팅 재료의 분율에도 불구하고 자기적 특성의 저하를 최대한 방지할 수 있었기 때문에 최적의 분율을 가진 것으로 판단된다.

Fig. 2

SEM images of (a) Hybrid 1, (b) Hybrid 2, (c) Hybrid 3, and (d) Hybrid 4.

Fig. 3

EDS analysis results of (a) Hybrid 1, (b) Hybrid 2, (c) Hybrid 3, and (d) Hybrid 4.

그림 4는 VSM을 이용하여 초기 분말 및 절연 코팅 분 말의 자기적 특성을 비교한 그래프이며, 측정한 결과의 자 세한 수치는 표 2에 나타내었다. 그림 4 (a)에서 유기 절 연 코팅 시편이 초기 분말보다 B-H 곡선의 기울기가 다소 낮아지는 것을 관찰할 수 있는데, 이는 절연 코팅에 의해 투자율이 다소 감소되었음으로 볼 수 있다. 비자성체인 유 기 절연막이 분말 표면에 코팅됨에 따라 외부 자기장이 분말 내의 자구(domain)에 영향을 끼치기까지 절연막에 의해 다소 방해를 받아 자기모멘트들의 정렬이 지연된 것 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러한 투자율의 감소는 자기적 특 성의 저하로 볼 수 있지만, 표 2의 각 시편의 보자력과 포 화자화 값을 비교하여 보면 초기 분말 대비 유기 코팅 재료 의 보자력은 낮아지고, 포화자화는 다소 높은 수치가 측정 됨을 알 수 있다. 선행 연구들에 의하면 유기 및 무기 절연 막 형성으로 포화자화는 약 10~25 emu/g 감소하고 보자력 은 약 1~5Oe 증가하는 것으로 보고된 바 있다[14, 19, 20]. 따라서 자기적 특성의 분석 결과를 종합적으로 보면, 유기 절연 재료에 의해 투자율은 다소 감소할 수 있으나 보자 력과 포화자화 수치를 크게 저하시키지 않을 정도로 적절 히 코팅된 것으로 판단된다. 그림 4 (b)의 하이브리드 절 연 코팅 시편의 분석 결과를 보면, 초기 분말 대비 약간의 투자율 감소는 확인할 수 있으나, 유기 절연 코팅 시편의 투자율 감소보다 개선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하이브리드 코팅 재료에 포함된 Fe2O3가 자성을 띄기 때문으로 볼 수 있다. 외부 자기장이 분말에 가해짐에 따라 자성체인 Fe2O3가 비정질 연자성 분말의 자기 모멘트의 정렬에 중 간 매개체 역할을 할 수 있어 유기 절연 코팅 분말보다 투 자율 감소를 약화시킬 수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하지만 표 2의 결과를 보면, Fe2O3가 포함된 하이브리드 코팅 분 말(Hybrid 1, Hybrid 3, Hybrid 4)의 경우 보자력이 초기 분말보다 증가하였다. 이는 하이브리드 절연막에 포함된 Fe2O3의 영향으로 볼 수 있다. 일반적으로 Fe2O3는 연자성 보다 경자성에 가까운 특성을 나타내며, 연자성체와 달리 외부 자기장에 의해 자화 및 탈자화가 어려운 자성체로서 상대적으로 높은 보자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 서 Fe2O3로 인해 자기적 희석을 방지하여 포화자화의 감 소는 방지할 수 있었으나, 보자력이 다소 증가된 것으로 판단된다. 이와 달리 TiO2만 첨가된 절연 코팅 분말의 경 우 보자력 수치의 변화는 미미하지만 포화자화가 다른 코 팅 분말에 비해 낮아진 것으로 보아 비자성체 분율의 증 가로 인한 자기적 희석이 발생했음을 알 수 있다.

Fig. 4

B-H curves of (a) as-powder, Organic 1 and Organic 2; (b) as-powder, Hybrid 1, Hybrid 2, Hybrid 3, and Hybrid 4.

The coercivity(iHc) and saturated magnetization(Ms) of each sample

4. 결 론

본 연구에서는 비정질 연자성 분말 표면에 유기 및 하 이브리드 절연막을 제조하고, 그 특성을 비교하였다. 절연 코팅을 위해 실록산이 포함된 에폭시를 이용하여 유기 재 료와 무기 재료 간에 화학적인 결합을 유도한 결과 보다 안정적인 절연막을 확보할 수 있었다. 또한 무기 재료로서 Fe2O3를 절연막에 분산시켜 자기적 희석을 방지할 수 있 는 절연막을 제조하였다. 이와 동시에 TiO2를 사용함으로 써 Fe2O3의 응집을 해소하여 나노 크기의 산화물 분말들 이 철 분말 표면에 전체적으로 고르게 분산된 하이브리드 절연막을 확보했다. 특히, Hybrid 4 조건에서 절연 코팅한 경우, 약간의 보자력 상승은 보이지만 코팅재의 분율 조절 로 인해 자기적 희석을 방지하여 투자율과 포화자화의 감 소를 억제할 수 있었다. 이러한 하이브리드 코팅을 통해 유기 및 무기 절연 코팅의 단점을 보완하여 자기적 특성 을 향상시키고, 보다 안정적인 절연막을 제조할 수 있었다.

감사의 글

This research was financially supported from the Civil- Military Technology cooperation program (No.18-CM-MA- 15) and by the Ministry of Trade, Industry and Energy (MOTIE) and Korea Institute for Advancement of Technology (KIAT) through the International Cooperative R&D program (P0006837).

References

1. C. Suryanarayana and A. Inoue: Int. Mater. Rev., 58 (2013) 131. . 10.1179/1743280412Y.0000000007.
2. R. Hasegawa: J. Magn. Magn. Mater., 215 (2000) 240. . 10.1016/S0304-8853(00)00126-8.
3. H. Kim: J. Korean Magn. Soc., 21 (2011) 77. . 10.4283/JKMS.2011.21.2.077.
4. S. Nagappan, J. J. Park, S. S. Park, S.-H. Hong, Y. S. Jeong, W.-K. Lee and C.-S. Ha: Compos. Ineterfaces, 20 (2013) 33. . 10.1080/15685543.2013.762892.
5. F. Kong, C. Chang, A. Inoue, E. Shalaan and F. Al-Marzouki: J. Alloy. Compd., 615 (2014) 163. . 10.1016/j.jallcom.2014.06.093.
6. Y. B. Kim, D. Jang, H. Seok and K. Kim: Mater. Sci. Eng. A, 449 (2007) 389. . 10.1016/j.msea.2006.02.394.
7. C. Chang, Y. Dong, M. Liu, H. Guo, Q. Xiao and Y. Zhang: J. Alloy. Compd., 766 (2018) 959. . 10.1016/j.jallcom.2018.07.055.
8. B. Zhou, Y. Dong, L. Liu, L. Chang, F. Bi and X. Wang: J. Magn. Magn. Mater., 474 (2019) 1. . 10.1016/j.jmmm.2018.11.014.
9. L. Xiaolong, D. Yaqiang, L. Min, C. Chuntao and W. X. Min: J. Alloy. Compd., 696 (2017) 1323. . 10.1016/j.jallcom.2016.11.241.
10. T. Zhao, C. Chen, X. Wu, C. Zhang, A. A. Volinsky and J. Hao: J. Alloy. Compd., 857 (2021) 157991. . 10.1016/j.jallcom.2020.157991.
11. S. Y. Kim, A. Y. Lee, E. J. Cha, D. H. Kwon, S. U. Hong, M. W. Lee, H. J. Kim and M. H. Lee: J. Korean Powder Metall. Inst., 25 (2018) 246. . 10.4150/KPMI.2018.25.3.246.
12. I. Hemmati, H. M. Hosseini and A. Kianvash: J. Magn. Magn. Mater., 305 (2006) 147. . 10.1016/j.jmmm.2005.12.004.
13. Y. Chen, L. Zhang, H. Sun, F. Chen, P. Zhang, X. Qu andE. Fan: J. Alloy. Compd., 813 (2020) 152205. . 10.1016/j.jallcom.2019.152205.
14. L. Liu, Q. Yue, G. Li, K. Xu, J. Wang, Z. Wu and X. Fan: J. Phys. Chem. Solids, 132 (2019) 76. . 10.1016/j.jpcs.2019.04.016.
15. Z. Chen, X. Liu, X. Kan, Z. Wang, R. Zhu, W. Yang, Q. Wu and M. Shezad: J. Alloy. Compd., 783 (2019) 434. . 10.1016/j.jallcom.2018.12.328.
16. D. Luo, C. Wu and M. Yan: J. Magn. Magn. Mater., 452 (2018) 5. . 10.1016/j.jmmm.2017.12.005.
17. A. Taghvaei, H. Shokrollahi and K. Janghorban: J. Alloy. Compd., 481 (2009) 681. . 10.1016/j.jallcom.2009.03.074.
18. L. Evangelista, G. Tontini, A. Ramos Filho, L. Machado, B. Silva, I. Silva, G. Hammes, R. Binder, C. Binder and N. Batistela: J. Magn. Magn. Mater., 497 (2020) 166023. . 10.1016/j.jmmm.2019.166023.
19. F. Luo, Z. Luo, W. Hu, J. Wang, Z. Wu, G. Li, Y. Li and X. Liu: J. Magn. Magn. Mater., 498 (2020) 166084. . 10.1016/j.jmmm.2019.166084.
20. F. Luo, Z. Luo, W. Hu, J. Wang, Z. Wu, G. Li, Y. Li and X. Liu: J. Magn. Magn. Mater., 493 (2020) 165744. . 10.1016/j.jmmm.2019.165744.

Article information Continued

Table 1

Denomination of each sample with various coating conditions

Fig. 1

SEM images of (a) as-powder, (b) Organic 1, and (c) Organic 2.

Fig. 2

SEM images of (a) Hybrid 1, (b) Hybrid 2, (c) Hybrid 3, and (d) Hybrid 4.

Fig. 3

EDS analysis results of (a) Hybrid 1, (b) Hybrid 2, (c) Hybrid 3, and (d) Hybrid 4.

Fig. 4

B-H curves of (a) as-powder, Organic 1 and Organic 2; (b) as-powder, Hybrid 1, Hybrid 2, Hybrid 3, and Hybrid 4.

Table 2

The coercivity(iHc) and saturated magnetization(Ms) of each samp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