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리카 코어 금 위성입자의 합성 및 표면 증강 라만 산란을 기반으로 한 센서로의 응용
Synthesis of Silica-Core Gold-Satellite Nanoparticles and Their Surface-enhanced Raman Scattering Based Sensing Application
Article information
Abstract
In this study, we synthesize silica-core gold-satellite nanoparticles (SGNPs) for the surface-enhanced Raman scattering (SERS) based sensing applications. They consist of gold satellite nanoparticles (AuNPs) fixed on the silica core nanoparticles, which sizes of AuNPs can be tunned by varying the amount of reactants (growth solution and reducing agent). Their surface plasmon resonance (SPR) properties were characterized by using UV-vis spectroscopy, showing that the growth of AuNPs on silica cores leads to the light absorption in the longer wavelength region. Furthermore, the size increase of AuNPs exhibited the dramatic change in SERS activity due to the formation of hot spots. The optimized SGNPs showing enhancement factor~3.8×106 exhibited a detection limit of rhodamine 6G (R6G) as low as 10−8 M. These findings suggest the importance of size control of SGNPs and their SPR properties to develop highly efficient SERS sensors.
1. 서 론
표면 증강 라만 산란(surface-enhanced Raman scattering, SERS)은 단분자 수준의 물질까지 검출이 가능한 고감도 측정 기술로 최근 많은 각광을 받고 있다. 이 SERS 효과 에 기초한 검출 기술은 감도가 뛰어나고 여러 개의 시료 를 동시에 검출 할 수 있는 장점으로 차세대 분석법으로 많은 연구가 되고 있다[1-2]. 기존의 라만 산란은 입사된 빛의 에너지가 변하는 비탄성 산란으로 빛을 특정 분자체 에 가하면 분자체 고유의 진동전이에 의해 조사된 빛과는 파장이 약간 다른 빛이 발생하는 현상을 일컫는다. 이러한 라만 산란에 기초한 라만 분광학은 분자 고유의 진동 에 너지 모드들을 보여줌으로써, 물질의 화학적 성분을 밝혀 낼 수 있다[3-5]. 하지만 빛을 받아 실제적으로 산란 시키 는 라만 산란 효율이 매우 작고 재현성이 낮기 때문에 라 만 신호 자체를 검출하는데 큰 어려움이 있다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를 극복할 수 있는 방법 중의 하나로 1974 년 Fleishmann 등에 의해 앞서 말한 SERS기술이 보고되 었다. 도체인 금속 나노입자에 존재하는 수많은 자유 전자 들이 외부에서 빛 에너지를 받았을 때, 국부 표면 플라즈 몬 공명 (localized surface plasmon resonance, LSPR) 특성 이 나타나 독특한 광학적 성질을 가진다. LSPR은 금속 나 노 입자 표면과 공기, 물 등의 유전체 사이에 빛이 입사되 면 빛이 가지는 특정 에너지의 전자기장과의 공명으로 인 하여 금속 표면의 자유 전자들이 집단적으로 진동하는 현 상을 말한다[3]. 입사되는 빛의 진동수와 표면 플라즈몬의 집단 운동의 진동수가 같을 경우, 이 표면 플라즈몬 공명 으로 알려진 자유 전자의 집단적 진동을 유도하는 핫스팟 (hot-spot)에서의 강한 전자기장 증강 현상으로 인해 금속 나노입자 표면에 흡착된 분석 물질의 라만 신호를 증폭시 킨다고 알려져 있다[4]. 이러한 이유로 금속 나노입자는 높은 SERS 감도를 나타내지만 보통 기판에 부착 시 응집 현상이 발생되어 감도가 떨어지거나 불균일한 신호를 얻 을 수 밖에 없다[6]. 그러므로 기판에 부착된 입자의 응집 현상을 제어하려면, 입자의 제조 외에도 추가적으로 나노 입자의 고밀도 패킹 및 규칙적인 배열 공정이 필요하며 [6], 이는 비용, 시간 및 노동력이 부가적으로 소요된다. 따 라서 본 연구에서는, 보다 효율적인 SERS 기판 제조공정 을 위하여 금 나노입자를 실리카 나노입자 위에 고밀도로 고정시킨 실리카 코어 금 위성입자를 합성하였다. 이는 입 자의 제조공정 과정에서 이미 실리카 나노입자 표면에 금 나노입자를 배열시킨 구조이므로, 추후 기판에 부착 시에 도 그 배열이 유지가 되어 추가 공정이 필요하지 않는 장 점을 가진다. 또한 안정적인 금 나노입자 배열로 인해 규 칙적이고 감도가 높은 라만 신호를 얻을 것으로 기대된다. 그러므로 보다 실용적인 SERS 센서 기판으로 활용하기 위해 제안한 입자를 합성하고, 입자의 구조를 조정하여 SERS 감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2. 실험방법
2.1. 실리카 코어 금 위성입자의 제조
실리카 코어 나노입자 제조를 위하여 ethanol 450 ml에 ammonium hydroxide 27 ml를 넣어 완전히 섞은 후, tetraethoxysilane(TEOS) 13.5 ml를 천천히 투입시켜 900 rpm 으로 교반 시키면서 15 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이 후 원심 분리기를 이용하여 10000 rpm의 속도로 5분 간 3번 세척 한 후, ethanol 500 ml에 분산시켰다. 입자의 평균 크기는 100±10 nm의 직경을 나타내었다. 이렇게 합성된 실리카 코어입자 표면에 금 나노입자를 도입하기 위하여 3- aminopropyltriethoxysilane(APTES) 75 ml와 ammonium hydroxide 187.5 ml 를 천천히 투입한 후 12 시간 동안 반 응 시켰고, 80°C에서 1시간 동안 curing 시킨 후 원심분리 기를 이용하여 3번 세척하고 ethanol에 재분산 하였다. 한 편 실리카 코어입자에 고정시킬 금 나노입자는 [7]에 보고 된 방법으로 합성되었다. 0.2 M NaOH 용액에 tetrakis (hydroxymethyl) phosphonium chloride(THPC) 4 ml 를 투 입하고, 25 mM gold (III) chloride 용액 8 ml 를 천천히 투입하여 5분간 교반 하여 제조하였다. 실리카 코어입자 용액에 제조한 금 나노입자 용액을 1:1 부피 비로 혼합 후 24 시간 동안 교반 시켜 금 나노입자를 실리카 코어입자 표면에 고정시킨다. 이렇게 제조된 입자를 seed 입자로 명 명한다.
Seed 입자에 고정된 금 나노입자를 성장시키기 위하여 금 이온 용액을 성장 용액으로 사용하고, 환원제로는 glucose를 이용하였다[8]. 성장 용액은 D.I water 185 ml 에 0.05 g potassium carbonate 를 완전히 용해시킨 후, 5 mM gold (III) chloride 용액 15 ml를 넣어 제조하였다 [7]. 먼저 성장 용액에 따른 금 나노입자의 성장 정도를 확 인하기 위해, 온도는 80°C 를 유지하면서 seed 입자 분산 용액 1 ml 에 성장 용액을 각각 1 ml, 2.5 ml, 3 ml를 넣 고 혼합액이 충분히 섞인 후, 5 mM glucose 용액 0.75 ml 을 넣고 일정시간 동안 교반 시켰다. 그리고 환원제의 양 에 따른 금 나노입자의 성장 정도를 확인하기 위해, 동일 한 온도에서 seed 입자 용액 1 ml 에 성장 용액 2.5 ml를 투입하고 충분히 섞은 후, 5 mM glucose를 각각 1.5 ml, 3 ml 투입하였다. 또한, 동일한 온도에서 seed 입자 용액 1 ml에 성장 용액 3 ml를 투입하고 충분히 섞은 후 5 mM glucose 4 ml를 투입하였다. 이 때 glucose 투입 후 1~2분 사이에 보라색 또는 남색으로 용액 색상이 변하면 그로부 터 일정 시간 후에 세척 후 D.I water에 분산시켰다. 특히 seed 입자, 성장용액 및 환원제의 양을 조정하여 실리카 코어 금 위성 나노입자 제조 공정의 최적화 및 라만 신호 를 조절하였다. 자외-가시선 분광광도계(Ultraviolet/Visible spectrometer, CARY 5000)을 이용해 입자의 광 흡수도를 측정하였고, 전계 방사형 투과현미경(Field Emission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e, JEOL-JEM 2100) 및 전계 방사형 주사전자현미경(Field Emission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CZ/MIRA I LMH)을 이용하여 입자 의 크기와 금 위성 입자의 성장 정도를 확인하였다.
2.2. 라만 신호 측정
표면증강 라만 신호를 측정하기 위해, 제조한 입자를 다 음과 같이 기판에 코팅하였다. 먼저 Si wafer를 piranha 용 액(H2O2:H2SO4=1:3 v/v)으로 세척 한 후, 1% poly-4- vinylpyridine(PVP) 용액(100 mg PVP/10 ml ethanol)에 12 시간 동안 침지시켜 코팅한다. 이 후 기판을 ethanol 로 세 척한 후 건조시킨다. PVP 코팅 기판을 5 mm × 5 mm의 크기로 자르고 합성한 실리카 코어 금 위성입자 용액 10 μl 를 떨어뜨린 후 건조시킨다. 모든 기판에 코팅된 입 자의 개수는 종류와 상관없이 약 3.9 × 109 개로 동일하며, 라만 활성물질로는 benzenethiol 과 rhodamine 6G(R6G)을 이용하였다. benzenethiol의 경우 1 mM benzenethiol 용액 (1:1 v/v water-ethanol 혼합용액)에 입자가 고정된 기판을 1시간 동안 침지시킨 후, water-ethanol (1:1 v/v) 용액으로 세척하고 건조시킨다. R6G의 경우, 10−3~10−12 M 농도의 용액(ethanol solution) 으로 사용했으며, 입자가 코팅된 기 판에 10 μl를 떨어뜨린 후 건조시켜 측정하였다. 전계방사 형 주사전자현미경을 사용하여 기판 위의 입자 분산 정도 를 관찰하였고, 라만 스펙트로미터(High Resolution Raman Spectrometer, HORIBA)는 633 nm의 레이저 파장 (power = 2.01 mW) 을 사용하여 10초의 acquisition time 으로 라만 신호를 얻었고 이를 기판 내 5 군데에서 반복 측정하여 평균 값을 얻었다.
3. 결과 및 고찰
본 연구에서는 표면증강 라만 산란(Surface-enhanced Raman Scattering, SERS) 효과를 얻기 위하여, 그림 1과 같은 순서로 실리카 코어 금 위성 입자를 합성하였다. 졸 -젤 법을 이용하여 합성한 실리카 나노 입자 표면에 APTES로 처리하여 금속입자를 고정할 수 있는 NH3 기를 도입하고, 이에 작은 크기의 금 나노입자를 고정시켜 seed 입자를 제조하였다. 이에 성장용액인 금 이온 용액과 환원 제인 glucose 양을 조정하여 실리카 표면의 금 나노입자의 크기를 조정하였다.
Seed 입자 환원 공정의 최적화를 위하여, 우선 일정한 온도에서 환원 시간을 달리하여 금 나노입자의 성장 정도 를 TEM 사진으로 확인하였다(그림 2). 그림 2(a)는 80°C 에서 seed 입자가 분산된 용액에 성장 용액과 환원제를 투 입한 직 후, 그림 2(b), 2(c), 2(d)는 각각 3분, 5분 및 10분 동안 환원반응 후 입자의 변화를 나타내고 있다. 반응시간 3분일 때는 실리카 코어가 변형되지 않고 형태가 유지되 며, 실리카 표면의 금 나노입자의 크기가 2±1 nm 에서 25 ±5 nm 로 성장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그림 2(b)). 그러 나 5분 이상의 반응시간 조건에서는 실리카의 변형이 확 인되며(그림 2(c)), 특히 10분 동안 환원시킨 모든 실리카 코어가 변형되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그림 2(d)). 또한, 80°C에서 seed 입자에 glucose 용액만 넣어 일정 시간 동 안 반응시켰을 때에는 코어입자가 변형되지않았으나(그림 2(e)), 성장 용액만 넣어 동일조건에서 반응 시 실리카 입 자의 변형이 발생하였다(그림 2(f)). 이 결과를 기반으로 하였을 때, 80°C에서 실리카 나노 입자의 용해 및 변형은 5 분 이상 금 이온용액에 접촉 시 발생하는 것으로 확인된다.
이처럼 입자의 변형 없이 외부 금 나노입자를 성장시켜 실리카 코어 금 위성 나노입자를 제조할 수 있는 조건으 로 우선 반응시간을 3분으로 설정하였다. 라만 신호 증강 을 위해 금 나노입자 간 hot-spot이 형성될 수 있도록 성 장 용액과 환원제 용액의 부피비율을 조정하였고 그에 따 른 금 나노입자의 성장 정도 및 흡광 특성을 조사하였다 (그림 3). 성장용액의 양이 금 나노입자의 성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Seed 입자가 분산된 용액 부피 1 ml 당 금 이온 용액을 각각 1 ml(그림 3(a)), 2.5 ml(그림 3(b)), 3.0 ml(그림 3(c)) 를 투입하였고, glucose 용액의 양 은 각각 동일한 양(0.75 ml) 을 투입하여 환원시켰다. 또 한 환원제의 양이 금 나노입자의 성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동일한 양의 성장용액(2.5 ml) 조건 하에서 환원제를 각각 1.5 ml(그림 3(d)), 3 ml(그림 3(e)) 투입하 여 환원시켰다. 그리고 그림 3(f)는 seed 입자 분산 용액 1 ml당 성장 용액 3 ml, 환원제 4 ml를 투입하여 얻은 입 자를 나타내고 있다. 실리카 표면의 금 위성 나노입자의 크기를 조사한 결과, seed 입자에 붙어있던 금 나노입자가 평균 약 2.5 nm의 직경이었으나, 성장 용액의 양이 증가 할수록 각각 7 ± 2 nm(그림 3(a)), 10 ± 2 nm(그림 3(b)), 13 ± 2 nm(그림 3(c)) 로 입자 크기가 증가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와 마찬가지로, 동일 조건에서 환원제의 양이 증가할수록 각각(그림 3(d)) 17 ± 3 nm, (그림 3(e)) 23 ± 3 nm로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성장용액과 환원제의 양 모두 앞의 시료보다 많이 투입하였을 때는, 표면의 금 위성 입자의 크기가 31 ± 3 nm 수준까지 증가하였고 환원 반응 중 금 나노 입자의 크기가 커지면서 입자 간 병합이 발생하여 Au platelet 이 실리카 표면에 형성되어 거의 shell과 같은 형태가 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그림 3(f)). 제 조한 입자들의 UV-vis 흡수 스펙트럼을 확인해보면(그림 3(g)), 가시광선에서 아무런 흡광 peak을 보이지 않았던 seed 입자와는 달리 각각 548 nm(그림 3(a)), 577 nm(그림 3(b)), 607 nm(그림 3(c)), 623 nm(그림 3(d)), 636 nm(그림 3(e)), 665 nm(그림 3(f)) 에서 최대 흡광 peak 을 나타냄 을 관찰하였다. 또한 금 위성 입자의 크기가 커질수록 최 대 흡수 peak 이 red-shift 하고 입자 간 병합에 의해 흡수 peak의 폭이 넓어짐을 확인하였다[9].
실리카 코어 금 위성입자의 라만 증강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앞서 합성한 입자 중 각각(그림 3(b)) 577 nm, (그림 3(c)) 607 nm, (그림 3(e)) 636 nm, (그림 3(f)) 663 nm 영 역에서 UV-vis 최대 흡광 peak 을 나타내는 실리카 코어 금 위성 입자들을 선별하고 동일한 농도로 PVP 기판에 고 정하였다. 그림 4(a)#x007E;(d)의 SEM 사진에서 보는 것처럼 4 종의 입자의 기판 내 분산도 및 응집도는 유사하였다. 라 만 레이저는 633 nm의 파장을 사용하였고, 준비된 기판을 라만 활성 물질 benzenethiol 용액을 사용하여 금 위성 입 자 표면에 코팅시켰다. 그림 4(e)의 라만 스펙트럼에서 볼 수 있는 것처럼, benzenethiol만 있을 경우, 아무런 신호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Seed 입자 기판의 경우에도 마찬가지 로 라만 신호를 발견할 수 없었다. 그러나 실리카 코어 금 위성 입자 기판에서는 692, 997, 1021, 1072, 1181, 1572 cm-1 에서 확연히 라만 peak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는 Benzenthiol의 주요 peak과 일치하였다[10-11]. 또한 실리 카 코어 표면의 금 위성입자의 크기가 커질수록 라만 peak의 세기가 증가함을 확인 하였다. 이는 환원반응으로 인하여 금 위성입자가 성장함에 따라 입자 간격이 좁아지 면서 이에 강력한 전자기장이 형성되는 hot-spot이 생성되 기 때문인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레이저 파장인 633 nm 와 거의 일치하는 흡광 파장을 보이는 입자(그림 4(c))가 가장 높은 라만 신호세기를 보였지만, 가장 장파장대의 흡 광 peak(663 nm) 을 보이는 입자(그림 4(d))의 경우 오히 려 라만 peak 세기가 낮아지는 결과가 나타났다. 특히 라 만 레이저 파장과 유사한 흡광 파장을 보이는 입자가 라 만 신호의 최대 증가 값을 보였는데, 이는 입자의 표면 플 라즈몬 공명(surface plasmonic resonance, SPR) 현상으로 인하여 전자기장 증대가 최대가 되어 나타나는 현상으로 사료된다[12-13]. 또한 라만 신호 증강을 나타내는 인자 Enhancement Factor (EF)는 다음 식으로 계산할 수 있다.
ISERS는 실리카 코어 금 위성입자의 라만 신호 세기이며, IREF는 라만 활성 물질로 사용된 benzenethiol의 라만 신호 세기이다. 또한 NREF와 NSERS는 각각 라만 레이저가 조사 되는 영역에 존재하는 benzenethiol 분자 수 및 실리카 코 어 금 위성입자에 존재하는 benzenethiol 분자 수 이다. 제조 한 실리카 코어 금 위성입자의 EF는 가장 높은 라만 신호 세기를 나타내는 입자의 경우 3.8 × 106로 계산되었다.
실리카 코어 금 위성입자의 라만 검출 한계를 확인하기 위해 범용되고 있는 라만 활성물질인 rhodamine 6G (R6G) 을 사용하였고, 10−3~10−12 M 범위의 농도로 준비 하여 실리카 코어 금 위성입자가 고정된 기판에 떨어뜨 린 후 측정하였다. 이 때 이용한 실리카 코어 금 위성입 자는 앞서 라만을 측정한 입자 중 라만 신호의 세기가 가 장 높게 나오고 흡광 파장대가 636 nm인 입자(그림 4(c)) 를 기준으로 측정하였다. 그림 5과 같이, 순수 R6G 용액 만 측정했을 때 10−3 M의 농도에서는 높은 라만 신호를 보이나, 그 이하의 농도에서는 라만 신호가 나타나지 않 았다. 이에 비해 실리카 코어 금 위성입자와 R6G를 함께 측정했을 때는 전체적으로 라만 신호의 세기가 더 강하 였으며, 10−8 M 농도에서도 라만 신호가 나타남을 확인하 였다. 이는 실리카 코어 금 위성입자의 SERS 효과에 의 한 결과로 보여지며, 이로 인해 R6G 용액의 검출이 약 105 배의 낮은 농도까지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4. 결 론
본 연구에서는 환경 및 바이오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 되는 표면증강라만산란(surface-enhanced Raman scattering, SERS) 기반 센서에 적용하기 위해 실리카 코어 금 위성입자 를 합성하고, SERS 효과에 의한 신호 증강능을 확인하였다. 라만 신호 증강을 위하여 실리카 표면의 금 위성입자의 크 기를 조절하고자 환원제와 성장용액의 비율을 조정하였다. 그 결과 표면 금 나노입자의 성장 정도에 따른 라만 신호의 변화를 확인하였으며, 라만 레이저 파장과 유사한 파장에서 최대 흡광능을 보이는 입자가 가장 큰 SERS 효과를 보임을 확인하였다. 최적화된 실리카 코어 금 위성입자의 enhancement factor는 3.8 × 106으로 계산되었고, rhodamine 6G 의 검출 한계는 10−8 M까지 가능하며 실리카 코어 금 위 성입자가 존재하지 않을 때 보다 약 105 배나 낮은 농도에서 검출이 가능하였다. 추가로 입자의 배열 및 패킹공정 없이 입자 제조공정만으로도 SERS 감지능을 증가시킬 수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이는 다양한 분야에서 SERS 기반 고감도 감 지센서로의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감사의 글
본 연구는 재료연구소 주요사업의 일환인“인지니어링 감지소재 기술개발 (분자감지용 초고감도 라만 증강소재 기술개발)” 사업의 연구비 지원으로 수행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