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arning: mkdir(): Permission denied in /home/virtual/lib/view_data.php on line 81

Warning: fopen(upload/ip_log/ip_log_2024-11.txt): failed to open stream: No such file or directory in /home/virtual/lib/view_data.php on line 83

Warning: fwrite() expects parameter 1 to be resource, boolean given in /home/virtual/lib/view_data.php on line 84
Ti<sub xmlns="">2</sub>AlN과 Ti<sub xmlns="">2</sub>AlC 소결체의 마이크로 방전가공에서 재료물성에 따른 가공표면 특성

Ti2AlN과 Ti2AlC 소결체의 마이크로 방전가공에서 재료물성에 따른 가공표면 특성

Characteristics of Material Properties and Machining Surface in Electrical Discharge Machining of Ti2AlN and Ti2AlC Materials

Article information

J Powder Mater. 2015;22(3):163-168
a 부산대학교 융합학부 하이브리드소재응용전공
b 하이브리드 인터페이스기반 미래소재 글로벌프론티어 연구단
최 의성a, 이 창훈a, 백 경래a, 김 광호b, 강 명창a,b,
a Graduate School of Convergence Science, Pusan National University, San 30, Jangjeon-Dong, Geumjeong-Gu, Busan 609-735, Korea
b Hybrid Interface Materials, Global Frontier, 6F, Hyowon Industry-University Cooperation Building, Pusan National University, Jangjeon-dong, Geumjeong-Gu, Busan 609-735, Korea
*Corresponding author : Myung Chang Kang, TEL: +82-51-510-2361, FAX: +82-51-510-7396, kangmc@pusan.ac.kr
Received 2015 June 4; Revised 2015 June 11; Accepted 2015 June 20.

Abstract

Ti alloys are extensively used in high-technology application because of their strength, oxidation resistance at high temperature. However, Ti alloys tend to be classified very difficult to cut material. In this paper, The powder synthesis, spark plasma sintering (SPS), bulk material properties such as electrical conductivity and thermal conductivity are systematically examined on Ti2AlN and Ti2AlC materials having most light-weight and oxidation resistance among the MAX phases. The bulk samples mainly consisted of Ti2AlN and Ti2AlC materials with density close to theoretical value were synthesized by a SPS method. Machining characteristics such as machining time, surface quality are analyzed with measurement of voltage and current waveform according to machining condition of micro-electrical discharge machining with micro-channel shape.

1. 서 론

최근 정밀성과 내환경성, 내식성, 견고성, 내마모성을 요 구하는 자동차, 항공, 우주, 의료, 국방산업에 응용하기 위 한 신소재 및 난삭성 소재(Difficult-to-cut materials)의 사 용빈도가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1]. 특히, 티타늄합금 (Ti6Al4V)은 용융점이 1660°C정도로서 고온강도가 우수 하며, 내산화성 및 내식성, 조직안정성이 매우 우수하여 로켓, 항공기, 선박 엔진, 터빈, 우주선 외관 등에 널리 사 용되고 있다. 그러나 낮은 탄성계수와 열전도도 및 높은 화학적 활성으로 인해 선삭, 밀링 등의 전통적인 가공방식 으로 가공할 경우 공구의 마모 및 파손을 일으키는 원인 이 된다[2]. 이를 보완하기 위해 최근에 가장 많이 사용되 는 티타늄합금 소재 중의 하나인 Ti6Al4V의 가공성을 향 상시키고자 액화질소를 절삭유로 사용하는 냉간가공 (Cryogenic machining)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나 이 는 액화질소 탱크 및 펌프 그리고 노즐을 포함한 복잡한 가공공정시스템의 개발을 필요로 한다[3].

1960년대 Nowotny's group에 의해 제안된 MAX phase 는 Mn+1AXn(n=1,2,3...)의 화학식에 의거하여 전기전도성 및 열전도성이 뛰어난 금속의 장점과 내열충격성(Thermal shock resistance), 내화학성, 내마모성 등이 뛰어난 세라믹 의 장점을 동시에 가지는 독특한 소재로서 오늘날 2000년 대 이후 Barsoum 등에 의해 화학적, 물리적 성질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MAX phase중 티타늄(Ti)을 함유하고 있는 Ti-Al-N계 및 Ti-Al-C계 소재는 금속과 세라 믹의 장점으로 가장 가벼우면서도 산화저항성(Oxidation resistance)이 커서 고온부품소재로 활용될 경우 많은 장점 을 가지고 있다[4, 5]. 최근 들어, 다양한 소결법을 이용하 여 Ti-Al-N 또는 C계의 소결체 제조를 통한 전기전도도 및 열전도도 등과 같은 재료의 물리적 특성과 경도, 파괴인 성과 같은 기계적 특성에 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나[4, 6] 대부분 결정구조(Crystal structure) 및 미세구조(Microstructure) 분석을 통한 재료의 미시적인 거동을 관찰하는 것에 국한되어 있는 실정으로, 이를 다양한 산업의 부품과 제품으로 응용, 확대시키기 위한 가공 기초 및 응용 연구 가 절실히 필요한 상황이다.

한편, 마이크로방전가공(Micro-electrical discharge machining) 은 비접촉식 가공공정으로서 평균적으로 0.4 μm 이하의 좋은 표면조도를 가질 수 있어 고정밀도의 형상이 요구되는 부품에 적용가능하다고 보고되고 있다. 또한, 표 면특성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방전가공인자는 전압 및 전류로서 방전가공인자에 따라 표면특성 또한 달라질 수 있다. 방전가공 중 발생하는 전압 및 전류의 신호를 센서 를 사용하여 획득하여 표면특성과의 관계를 분석하고자 하였지만[7, 8], 범용 가공조건에서의 방전가공을 적용하 여 다소 제한적인 가공영역에서만 활용가능한 결과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세라믹과 금속의 특성을 동시에 가지는 Ti2AlN과 Ti 2AlC 소결체를 제조하기 위해 Ti, Al, TiN과 TiC분말을 각각 1:1:1 비율로 합성한 후 방전플라 즈마 소결법(SPS, Spark Plasma Sintering)으로 제조하였 고, 제조된 Ti2AlN과 Ti 2AlC 소결체에 대한 재료특성분석 을 위해 X-선 회절, SEM, 상대밀도, 경도, 전기전도도 및 열전도도를 측정하였다. 이러한 재료특성이 방전 가공표 면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기 위해 Ti2AlN과 Ti 2AlC 소결체에 대해 마이크로방전가공을 수행하였다.

2. 실험 방법

2.1. Ti2AlN와 Ti 2AlC 소결체 제조 및 특성평가

Ti2AlN 및 Ti 2AlC 소결체의 제조와 특성평가는 그림 1 의 제조공정에 의해 진행되었다. Ti2AlN의 제조에 사용된 분말은 Ti(99.5%, 10 μm), Al(99.8%, 3 μm), TiN(99.5%, 3 μm) 이며, Ti 2AlC는 Ti(99.5%, 43 μm), Al(99.6%, 30μm), TiC(99.5%, 3 μm)의 분말을 사용하였다. 각각의 분말은 Ti:Al:TiN= 1:1:1과 Ti:Al:TiC=1:1:1의 비율로 혼합하여 200 rpm 1.5시간동안 어트리션 볼밀링(Attrition ball milling)을 수행하여 균일하게 혼합하였고, 직경 30 mm의 흑연몰드에 넣어 SPS 장치(SPS-825, SPS Syntex Inc.)에서 제조하였다. 제조조건은 Ti2AlN 소결온도 1250°C, 압력 40 MPa, 유지시간 10분, 그리고 Ti 2AlC는 소결온도 1100°C, 압 력 50 MPa, 유지시간 10분으로 하여 소결 제조하였다. 제조 된 소결체의 재료특성을 분석하기 위해 X-선 회절분석(Xray Diffraction, D8 advance, Bruker)을 이용하여 결정상을 확 인하였고, 주사전자현미경(Scanning Electron Microscope, S- 4800, Hitachi, Japan)을 이용하여 표면특성을 관찰하였다. 표 면조도를 측정하기 위해 광학현미경(Optical microscope, KH-8700, Hirox, Japan)을 이용하였다. 4-point probe(CMTSR1000N, Advanced Instrument Technology, USA)를 이용하 여 전기전도도를 측정하였으며 레이저섬광법(LFA-467, Netzsch, Germany)을 이용하여 열확산계수를 측정 후 열전 도도로 환산하였다. 또한 경도는 Vickers hardness(WMT-X, Matsuzawa, Japan)를 이용하였으며 밀도는 아르키메데스법 (SECURA224-1S, Germany)을 이용하여 벌크밀도를 측정 후 이론밀도로 나누어서 상대밀도로 계산하였다. 상대밀도, 전 기전도도, 열전도도 등은 각각 5회 측정후 평균값으로 계산 하여 나타내었다.

Fig. 1.

Schematic diagram for material evaluation and fabrication of Ti2AlN and Ti 2AlC ceramic composites.

2.2. 마이크로 방전가공 장치 및 가공특성평가

그림 2는 Ti2AlN 및 Ti 2AlC 소결체의 표면특성평가를 위한 마이크로 방전가공장치 및 실험방법을 나타내었다. 실험에 사용된 마이크로 방전가공기(Hyper-15, Hybrid precision, Korea)는 마이크로 펄스 발생이 용이한 RC-type 의 전원공급장치를 사용하였으며 130 mm (X-axis) × 75 mm (Y-axis) × 75 mm(Z-axis)의 이송거리를 가지고 있다. 서보 제어기(Servo controller)는 전극과 가공물이 수 μm 이내로 가까워지면 절연액(Dielectric fluid)의 절연강도를 넘어선 절연파괴가 진행되어 전극과 가공물 사이에 연속적으로 방전이 발생하며, 이때 원활한 방전을 위해 서보제어기는 방전 gap제어를 하여 일정한 방전 gap을 유지한다. 방전 가공 중 발생하는 전압, 전류신호를 획득하기 위해 전압신 호(1:1, 400V/700kHz)는 증폭기(Amplifier)를 통해서 획득 하였고, 전류신호는 1 mA/5 mV와 20V/700 kHz의 성능을 가지는 Hall sensor(CT-1, Tektronix)를 사용하였다. 발생되 는 신호의 증폭을 위해 신호변환장치(DAQP-HV, LV, DEWETRON)를 사용하였다. 전압, 전류의 세분화된 데이 터 획득을 위해서 DEWETRON사의 샘플링 주파수 5Ms/s, 분해능 16Bit의 A/D 컨버터(Orion0816-5M)와 계측전용 소프트웨어(DEWESoft 7.1)를 사용하였다. 가공형상은 100 μm의 가공깊이(Depth of cut)로 1,000 μm의 가공거리 (Length of cut)만큼 설정된 미세채널형상이다. 표 1에서와 같이 실험조건은 방전에너지의 주요인자인 전압 및 커패 시터를 변화시켰다. 또한, 전극직경 300 μm의 텅스텐 전 극과 두께 1,000 μm의 제조된 소결체를 사용하였으며 고 순도의 광물유(mineral oil)를 절연액으로 사용함으로서 극 간의 방전발생을 더욱 원활하게 하였다.

Fig. 2.

Schematic diagram of experimental set-up and machining method in micro-EDM process.

Experimental conditions for Micro-EDM process

3. 실험결과 및 고찰

3.1. 고밀도를 가진 소결체의 재료특성

제조된 Ti 2AlC와 Ti2AlN 소결체 및 Ti6Al4V의 XRD 분 석을 그림 3과 같이 나타내었다. 본 연구에서 도입된 SPS 소결방법에 의해 제조된 소결체들의 결정상은 HP(Hot press) 또는 HIP(Hot istatic press) 등의 기존공정으로 보고 되고 있는 Ti2AlN 및 Ti 2AlC 상과 잘 일치함을 알 수 있 었다. 또한 비교적 저온에서 급속소결이 가능한 장점이 있 어 Ti2AlN과 Ti 2AlC가 소결온도 1400°C이상에서 제조된 경우 상대밀도가 각각 99.07%[6]와 96.59%[9]에 비교해 보 았을 때 1250°C 및 1100°C에서도 고치밀화된 소결체의 제 조가 가능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각 분말의 소결 반응은 다결정화의 형성에 기인하여 발생함을 알 수 있다[3].

Fig. 3.

XRD pattern of sintered Ti6Al4V, Ti2AlN and Ti 2AlC materials.

2는 Ti6Al4V, Ti 2AlC 및 Ti2AlN 소결체의 재료물성 을 나타내었다.

Comparisons of material properties for Ti6Al4V, Ti2AlN and Ti2AlC

기존 상용소재인 Ti6Al4V 소재에 비해 소결체의 경도 및 용융점은 약 1.5배 정도 높고 전기전도도는 약 3배 높 게, 열전도도는 약 2배 높게 측정되었다. 이를 통해 Ti 2AlC와 Ti2AlN는 금속과 세라믹의 특성을 동시에 가지 는 소결체임을 확인하였다.

3.2 소결체의 방전가공특성

그림 4는 전압 및 커패시터에 따라 Ti6Al4V 합금 및 Ti2AlN과 Ti 2AlC 소결체의 가공시간을 나타내었다. 전압 과 커패시터 증가에 따라 가공시간이 전반적으로 감소하 는 경향이 보이며 표 2에서의 전기전도도 및 열전도도의 경우 Ti2AlN 소결이 가장 높았으며 가공시간 또한 가장 빨랐다. 이는 전기전도도 및 열전도도가 높을수록 방전가 공성능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의미하며, Ti 2AlC와 Ti6Al4V에 대해서도 이를 잘 반영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방전가공에서 가공특성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는 전압과 커패시터로서 단발방전에너지 식 (1)에 따른다. 전압(V)은 방전갭(Spark gap)의 크기에 영향을 미치고 커패시터(C)는 방전흔(Crater)과 같은 표면특성에 영향을 미친다.

Fig. 4.

Evaluation of machining time with cutting conditions and workpiece.

(1)Energy=12CV2

따라서 전압 및 커패시터가 증가하면 방전갭 증가 및 방 전흔의 크기 증가로 이어지고 이는 곧 재료제거량이 증가 하는 원인이 되어 가공시간이 감소할 수 있으나 만약 전 압 및 커패시터가 높을 경우 전극마모 및 표면조도가 증 가하여 표면특성에 악영향을 미친다.

그림 5는 전압과 커패시터가 증가할 경우 가공시에 발 생하는 전압 및 전류의 신호파형을 획득한 그래프이다. 그림 5(a)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커패시터가 증가하면 커 패시터가 저장할 수 있는 전압에너지의 양(level)이 증가 하기 때문에 전압이 가공물 표면에 인가된 후 커패시터에 충전되기까지의 시간이 길다. 이는 커패시터가 증가할수 록 낮은 커패시터에 비해 오랜시간 동안 가공물 표면에 높은 방전에너지가 전달되는 것을 의미하며 방전흔의 크 기, 즉 표면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보여준다. 전압 또한 방전에너지 식 (1)에 의하면 방전에너지의 양을 결정하는 중요한 인자이며 커패시터가 높더라도 전압이 낮으면 이 또한 RC회로를 사용하는 방전가공특성에 영향을 미치므 로 방전가공 시 중요하게 고려해야한다. 그림 5(b)는 전압 및 커패시터가 증가할 경우 높은 정전용량에서 높은 전류 가 발생하는 것을 알 수 있다. 하지만, 전류가 발생하는 시 간은 같으며, 이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커패시터가 크 면 전압에너지를 저장할 수 있는 공간이 많아진다는 의미 이다. 또한, 전극이 가공물에 수 μm 근처로 접근할 시 같 은 단위시간 동안 커패시터 크기에 따라 가공물 표면에 인가되는 전압에너지의 양이 다르다는 것을 의미하며 재 료의 전기전도도 및 열전도도에 따라서 방전에너지가 재 료에 전달되는 정도가 좋아질 수 있고, 이는 방전가공성 및 표면특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Fig. 5.

Voltage and current waveform according to machining condition of micro-EDM process.

3.3. 소결체의 가공조건별 표면특성

그림 6은 Ti2AlN과 Ti 2AlC 소결체 및 Ti6Al4V 합금을 마이크로 방전가공 후 표면특성에 대해 주사전자현미경 으로 표면을 관찰한 이미지이며, 그림 7은 광학현미경을 사용하여 표면조도를 측정한 그래프이다. Ti2AlN과 Ti 2AlC는 소결체로서의 재료특성을 고려하여 중심선평균 거칠기 Ra 및 10점 평균거칠기인 Rz 값을 각각 비교하였 다. 그림 6에서 전압과 커패시터가 증가함에 따라 Ti6Al4V의 경우 방전흔의 크기가 커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Ti2AlN과 Ti 2AlC 소결체 또한 마찬가지로 방전흔의 크기가 커지는 반면 Ti6Al4V의 표면특성과는 상당히 다 른 것을 확인할 수 있다. Ti2AlN과 Ti 2AlC 소결체의 경우 높은 방전에너지가 전달될 경우 절연액의 냉각효과에 의 해 표면이 급속도로 냉각되며 보고되고 있는 바와 같이 잔류응력이 표면에 남게 된다[7]. 표면의 잔류응력이 재료 의 인장강도를 초과할 시 globules, microcrack, thermal spalling이 발견되는데 이는 주로 세라믹소재의 방전가공 표 면특성이다[10-13]. 본 연구에서 제조된 Ti2AlN과 Ti 2AlC 소결체는 방전가공조건에 관계없이 표면에 세라믹의 방전 가공 후 표면특성이 발견되었다. 이를 통해 세라믹의 재료 특성을 가지는 소재라는 것을 확인하였다.

Fig. 6.

Surface property after micro-EDM according to variation of machining condition and materials.

Fig. 7.

Characteristics of observed machined surface roughness according to EDM conditions and materials.

그림 7은 방전가공조건에 따라 Ra와 Rz 값을 소재에 따 라 나타낸 그래프이다. 전압과 정전용량이 증가할수록 표 면조도가 증가하는 경향이 있고, 높은 방전가공조건의 경 우(200V, 47,000pF) Ti6Al4V의 표면조도가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Ti 2AlC 소결체의 경우 Ra, Rz가 감소 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Ti6Al4V의 경우 낮은 열전도 도 및 전기전도도를 가지고 있으므로 방전에너지가 전달 되면 이를 재료가 흡수하질 못하고, 표면에 남게 되며 이 는 방전흔의 크기가 깊고 넓게 생성되어 표면조도가 상당 히 증가하는 원인이 된다고 보고되고 있다[14, 15]. 반면 Ti 2AlC의 경우 그림 6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세라믹의 특 성을 가지기 때문에 방전가공 메카니즘으로 방전에너지가 표면에 전달될 경우 microcrack의 전파로 인해 표면이 얇 은 박판형상으로 떨어져 나가는 thermal spalling 현상에 의해 오히려 표면조도가 감소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하지 만 Ti2AlN 소결체의 경우 Ti 2AlC와는 달리 Ti6Al4V의 표 면조도와 같은 경향을 보인다. 이는 표 2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전기전도도 및 열전도도가 가장 높으며, 경도 또한 6.3 GPa로 가장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전 기전도도 및 열전도도가 높으면 방전가공성능이 좋아진다 고 알려져 있으나, 만약 소재의 경도가 높을 경우 전극의 마모가 더욱 심해진다고 보고되고 있다[16]. 이는 전극과 가공물간의 가공부스러기가 증가하는 원인이 되며 연속방 전이 아닌 2차방전의 결과로 이어진다고 생각된다. 이로 인해 전압과 정전용량이 증가할수록(방전에너지증가) 표 면조도가 증가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4. 결 론

Ti:Al:TiN과 Ti:Al:TiC 분말의 몰 비율을 1:1:1로 혼합한 후 고에너지 방전플라즈마소결법을 이용하여 Ti2AlN과 Ti 2AlC 소결체를 제조하였다. 제조된 Ti2AlN과 Ti 2AlC 소 결체의 상대밀도는 98.80%와 98.60%로 고치밀화되었으 며, 경도는 6.3 GPa과 5.1 GPa로 측정되었다. 또한, 전기전 도도는 4.347 S/m와 4.170 S/m 였으며 열전도도는 55.80W/ m·k와 46.00 W/m·k으로 Ti6Al4V 합금에 비해 2~3배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Ti2AlN과 Ti 2AlC 소결체의 경우 Ti6Al4V 합금에 비해 약 2~3배 높은 전기전도도 및 열전 도도로 인해 마이크로방전가공시 Ti6Al4V 합금에 비해 가공시간 및 표면조도가 향상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두 소결체에 있어서 Ti2AlN의 높은 경도의 영향으로 Ti 2AlC보다 높은전압과 높은 커패시터의 경우 표면조도가 2~2.5배 증가하였으며 Ti 2AlC의 경우 가공조건이 증가할 수록 표면조도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감사의글

이 논문은 정부(미래창조과학부)의 재원으로 한국연구 재단-글로벌프론티어사업 (재)하이브리드 인터페이스기반 미래소재연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No. 2013M3A6B1078874).

References

1. Miura H. J. Korean Powder Metall. Inst 2013. 5323.
2. Heo JY, Jeong YK, Kang MC, Busnaina A. J. Korean Powder Metall. Inst 2013. 4285. (Korean).
3. Sun S, Brandt M, Palanisamy S, Matthew S. Dargusch. J. Mater. Process. Tech 2015. 221243.
4. Liu Y, Shi Z, Wang J, Qiao G, Jin Z, Shen Z. J. Eur. Ceram. Soc 2011. 311–863.
5. Zhu J, Gao J, Yang J, Wang F, Niihara K. Mat. Sci. Eng. A 2008. 49062.
6. Bai Y, He X, Zhu C, Chen G. J. Am. Ceram. Soc 2012. 95358.
7. Liu K, Lauwers B, Reynaerts D. Int J Adv Manuf Tech 2010. 4711.
8. Liu K, Reynaerts D, Lauwers B. CIRP Annals - Manufacturing Technology 2009. 58217.
9. Lin ZJ, Zhuo MJ, Li MS, Wang JY, Zhou YC. Scripta Mater 2007. 561115.
10. Liu CC, Huang JL. British Ceramic Transactions 2000. 4149.
11. Liu CC, Huang JL. Ceram. Int 2003. 29679.
12. Wei C, Zhao L, Hu D, Ni J. CIRP Annals - Manufacturing Technology 2013. 64187.
13. Lauwers B, Kruth JP, Liu W, Eeraerts W, Schacht B, Bleys P. J. Mater. Process. Tech 2004. 149347.
14. Fonda P, Wang Z, Yamazaki K, Akutsu Y. J. Mater. Process. Tech 2008. 202583.
15. Jabbaripour B, Sadeghi MH, Faridvand Sh, Shabgard MR. Mach. Sci. Technol 2012. 16419.
16. Lee S, Kim T, Hong MJ. J. Ksmte 2012. 21658. (Korean).

Article information Continued

Fig. 1.

Schematic diagram for material evaluation and fabrication of Ti2AlN and Ti 2AlC ceramic composites.

Fig. 2.

Schematic diagram of experimental set-up and machining method in micro-EDM process.

Table 1.

Experimental conditions for Micro-EDM process

Electrode

Material Diameter (μm) Tungsten (W, Korea tungsten)
300

Workpiece

Material Thickness (μm) Ti2AlN, Ti2AlC, Ti6Al4V
1,000

Machining condition

Electrical circuit (R-C type) Resistance (KΩ) 1
Capacitance(pF) 10,000, 47,000

Applied voltage(V) 100, 200
Spindle speed (rpm) 1,000
Feed rate (μm/s) 10
Dielectric fluid Mineral oil (IME-MH, Germany)

Fig. 3.

XRD pattern of sintered Ti6Al4V, Ti2AlN and Ti 2AlC materials.

Table 2.

Comparisons of material properties for Ti6Al4V, Ti2AlN and Ti2AlC

Properties Ti6Al4V Ti2AlN Ti2AlC

Density (%) 98.8 98.8 98.6
Hardness (GPa) 3.5 6.3 5.1
Melting point (°C) 1,668 2,520 2,920
Electrical conductivity (S/m) 1.317 4.347 4.170
Thermal conductivity (W/m·k) 21.90 55.80 46.00

Fig. 4.

Evaluation of machining time with cutting conditions and workpiece.

Fig. 5.

Voltage and current waveform according to machining condition of micro-EDM process.

Fig. 6.

Surface property after micro-EDM according to variation of machining condition and materials.

Fig. 7.

Characteristics of observed machined surface roughness according to EDM conditions and material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