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arning: mkdir(): Permission denied in /home/virtual/lib/view_data.php on line 81

Warning: fopen(upload/ip_log/ip_log_2024-11.txt): failed to open stream: No such file or directory in /home/virtual/lib/view_data.php on line 83

Warning: fwrite() expects parameter 1 to be resource, boolean given in /home/virtual/lib/view_data.php on line 84
3D 프린팅으로 제작된 AlCrFeNi 고엔트로피 합금의 분말 입도에 따른 특성 분석

3D 프린팅으로 제작된 AlCrFeNi 고엔트로피 합금의 분말 입도에 따른 특성 분석

A Study on Powder Size Dependence of Additive Manufactured AlCrFeNi HEA on Its Microstructure and Mechanical Properties

Article information

J Powder Mater. 2022;29(1):22-27
a 세종대학교 나노신소재공학과
b 한국원자력연구원 핵연료안전연구부
최 종우a, 박 혜진a, 강 결찬a, 정 민섭a, 오 기태a, 홍 성환a, 김 현길b, 김 기범a,
a Department of Nanotechnology and Advanced Materials Engineering, Sejong University, 209, Neungdong-ro, Gwangjin-gu, Seoul 05006, Republic of Korea
b Nuclear Fuel Safety Division, Korea Atomic Energy Research Institute, 989-111, Daedeok-daero, Yuseong-gu, Daejeon 34057, Republic of Korea

- 최종우·박혜진·강결찬·정민섭·오기태: 학생, 홍성환·김기범: 교수, 김현길: 책임연구원

*Corresponding Author: Ki Buem Kim, TEL: +82-2-3408-3690, FAX: +82-2-3408-3664, E-mail: kbkim@sejong.ac.kr
Received 2022 February 17; Revised 2022 February 22; Accepted 2022 February 24.

Abstract

Conventionally, metal materials are produced by subtractive manufacturing followed by melting. However, there has been an increasing interest in additive manufacturing, especially metal 3D printing technology, which is relatively inexpensive because of the absence of complicated processing steps. In this study, we focus on the effect of varying powder size on the synthesis quality, and suggest optimum process conditions for the preparation of AlCrFeNi high-entropy alloy powder. The SEM image of the as-fabricated specimens show countless, fine, as-synthesized powders. Furthermore, we have examined the phase and microstructure before and after 3D printing, and found that there are no noticeable changes in the phase or microstructure. However, it was determined that the larger the powder size, the better the Vickers hardness of the material. This study sheds light on the optimization of process conditions in the metal 3D printing field.

1. 서 론

고엔트로피 합금은(High entropy alloys, HEAs) Cantor 및 Yeh에 의하여 새롭게 제시된 합금 설계 방식으로 4-5 개 이상의 원소가 동비율의 조성으로 구성되어 있는 합금 으로 높은 배열 엔트로피로 인한 심한 격자 왜곡과 느린 확산속도를 갖게 되어 금속간 화합물을 형성하지 않고 고 용체 단상을 형성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1, 2]. 또한, 고 강도, 고인성 내마모성 및 산화저항 등 우수한 기계적 물 성을 가지며 기존 합금계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소재 로서 각광 받고 있다[3-6]. 이러한 고엔트로피 합금의 경 우 현재 주조를 통해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는데, 주조 공정의 경우 미세조직을 쉽게 제어하기 어려워 균일한 미 세조직을 얻기 힘들고 균질화 및 압연과 같은 추가적인 공정이 요구되기 때문에 여러 기술적 한계로 고엔트로피 합금 개발에 있어 실용화 측면에서 적용에 어려움이 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한 방법 중 하나로 분말 소결을 이용한 고엔트로피 합금 설계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3D 프린팅으로 알려진 적층 제조(AM, Additive manufacturing) 방식은 분말 또는 와이어를 층별로 적층제조하 는 방법으로 소형 및 고밀도 부품 제조 및 설계의 자유도 를 향상시켜준다. 크게 에너지 직접 증착(DED, Directed Energy Deposition)와 분말 적층 용융(PBF, Powder Bed Fusion) 공법으로 분류할 수 있다 에너지 직접 증착 공법 은 고출력 레이저 빔을 조사하는 동시에 금속 분말도 공 급되어 실시간으로 적층 되기 때문에 생산성이 우수하고 기존 금속 제품의 보수 작업이 가능하지만 정밀도는 떨어 진다는 단점이 있다[7]. 하지만 분말 적층 용융 공법은 분 말을 파우더 베드에 평평하게 깔고 선택적으로 레이저 빔 을 조사하여 원하는 형상의 소결체를 형성한다[8]. 이 경 우, 형상의 정확도는 우수하지만 오랜 시간이 걸려 생산성 이 떨어진다는 단점이 있다. 합금 분말의 경우 일반적으로 공급 및 용융 제어가 용이하므로 레이저 및 전자 빔의 원 료로 사용된다. 적층 제조된 부품의 품질은 원료의 특성에 크게 영향을 받으므로 3D 프린팅 기술을 이용 시 적층 제 조 방법에 맞는 조성의 성택과 고품질의 분말 제조 및 적 합한 적층 제조 공법을 선택한다면 주조보다 우수한 제품 생산이 용이할 것으로 사료된다.

아크 용해법으로 제작된 AlCrFeNi 고엔트로피 합금은 Al-Ni-rich B2상 및 Cr-Fe-rich A2상의 수지상과 라멜라 (lamellar) 영역이 높은 정합성을 유지하는 미세구조를 형 성하며, 또한 1 3 89 MPa 항복강도 및 18.6% 압축 변형률 의 우수한 물성을 보인다고 보고된다[9]. 이번 연구에서는 AlCrFeNi 고엔트로피 합금 분말 입도를 제어하여 3 D 프 린팅을 이용하여 제작된 소결체의 상 및 미세구조, 경도 분석을 진행하고 이를 주조공정을 통해 제작된 주조체와 비교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금속 3 D 프린팅 제조 기술에 분말 입도가 어떤 영향을 주는지 제시하려 한다.

2. 실험 방법

본 실험에서는 가스 아토마이징법을 통해 제작된 AlCrFeNi 고엔트로피 합금 분말을 raw material로 이용하 였다. 평균 분말 입도는 d=10-150 μm이며 분말 입도에 따 른 소결의 질적 평가를 위하여 d=100 μm를 전후로 제어 하였다. 각 분말을 이용하여 3D 프린팅 방법 중 에너지 직 접 증착 공법을 활용하여 분말 입도가 제어된 시편의 경 우 직경 3mm 실린더, 혼합 분말 소결체의 경우 소결 품 질 향상을 위하여 판형의 직육면체 형상으로 제작하였다. 3D 프린팅 공정 장치는 크게 전원 공급장치(Pwp14Y04K model; Yesystem Co.), 노즐(Nz 14Y01K model; Yesystem Co.), 레이저 렌즈로 구분되고 튜브재 시편을 고정시켜주 는 지그로 구성된다[10]. 본 연구에서 레이저 소스(PF- 1500F model; HBL Co.)는 3 00 W 출력의 CW(Continuous wave) 다이오드 웨이브를 사용하였고 9l/min의 가스 유량 조건에서 진행되었으며 고온의 레이저로 인한 산화를 막 기 위해 노즐에 불활성 가스인 아르곤 가스를 주입하며 공정을 진행하였다. 별도의 열처리 없이 As-fabricated 시 편에 대해 다음과 같은 분석이 진행되었다. 미세구조 분석 을 위해 마이크로 폴리싱 후, 주사전자현미경(SEM, JEOL JSM-6390)을 이용하여 측정하였으며 결정 구조를 분석하 기 위하여 X선 회절분석(XRD, PANalytical/Empyrean/ PC), 각 상의 화학적 조성 분포는 전계방사 주사전자현미 경 분석(Field Emission SEM, Hitachi SU-8010, JEOL JSM-7800F Prime) 경도는 비커스 경도계(Vickers Hardness, Shimadzu HMV-G21DT)를 이용하여 분석되었다. 분말입 도 d<100 μm의 분말로 제작한 시편을 A, d>100 μm의 분 말로 제작한 시편을 B 시편으로 명명할 것이다. 또한 넓 은 범위의 분말 입도를 가질 때의 소결체의 합성 품질을 평가하기 위하여 혼합 분말을 이용하여 3D 프린팅 공정을 진행하였으며 직육면체 형상으로 제작하였다.

3. 실험 결과 및 고찰

3.1. AlCrFeNi 고엔트로피 합금 분말 특성

Fig. 1은 AlCrFeNi 분말의 형상과 상 및 미세구조적 특 성을 보여주고 있다. Fig. 1a, b는 분말 입도 d=100 μm 전 후의 AlCrFeNi 고엔트로피 합금 분말의 SEM 분석 결과 를 보여주고 있다. 분말의 형상은 대체로 구의 형태를 보 이고 있다. 특히 분말 입도 d=100 μm 미만의 경우 d=20- 3 0 μm 크기의 미세 분말들이 존재하지만 d=100 μm 이상 의 분말의 경우 대체로 균일한 분말 입도를 보이고 있다. Fig. 1c는 AlCrFeNi 고엔트로피 합금 분말의 XRD 패턴 분석 결과를 보여주고 있다. 주조체와 유사하게 B2 및 BCC 상이 형성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그 외의 보고 되지 않은 피크의 존재를 확인할 수 있었다. Fig. 1d는 단 일 분말의 내부의 SEM-BSE 이미지를 보여주고 있다. XRD 패턴 결과와 유사하게 BCC 및 B2 상 분리가 발생 한 것으로 보인다.

Fig. 1

The characteristic of the raw AlCrFeNi HEA powder. (a), (b) the SEM image of above and below d=100 μm powder, respectively, (c) the XRD pattern and (d) SEM-BSE image of single powder.

3.2. 3D 프린팅 공정으로 제조된 AlCrFeNi 고엔트로피 합금 소결체 특성

Fig. 2는 3 D 프린팅 공정을 이용하여 제작된 시편의 합 성 품질을 보여주고 있다. Fig. 2a는 입도가 제어된 분말 을 이용하여 제작한 각 시편을 보여주고 있으며 시편 A는 시편 B보다 비교적 불균일한 표면이 형성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더 자세한 분석을 위해 Fig. 2b, c는 A와 B 시편 의 표면 SEM 이미지를 보여주고 있다. A 시편의 경우 소 결되지 않은 수많은 미세 분말이 존재하지만 B 시편의 경 우 표면에 소결되지 않은 분말의 수가 비교적 적다. 이는 d=100 μm 미만의 경우 d=20-30μm의 미세 분말의 존재로 인한 것으로 보이며 이를 통해 분말 입도가 금속 3D 프린 팅을 통한 합금 소결 시 중요한 인자로 작용하는 것을 확 인할 수 있었다.

Fig. 2

The synthesis quality of the 3D printing AlCrFeNi HEAs. (a) the real-cylinder shape : left and right are A, B specimen fabricated by below and above d=100 μm powder, respectively, (b) and (c) the surface SEM images of the A and B specimens, respectively.

Fig. 3은 각 시편의 상 및 미세구조적 특징을 보여주고 있다. Fig. 3a는 XRD 패턴 분석 결과를 보여주고 있으며 분말의 XRD 패턴 결과와 유사하게 B2 및 BCC 상의 형 성이 확인되었고 보고되지 않은 피크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F ig. 3 b, c를 통해 A와 B 시편 모두 라멜라 구조를 보이고 있으나 분말 입도가 클수록 조대한 미세조직을 형 성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AlCrFeNi 고엔트로피 합 금 분말의 3 D 프린팅 합성 전후 상과 미세구조의 뚜렷한 변화는 확인되지 않는다.

Fig. 3

The phase and microstructural characteristic of the 3D printing AlCrFeNi HEAs dependent to the powder size. (a) the XRD patterns of A and B specimens, (b), (c) the SEM-BSE images of A and B specimens, (d) the FESEM image and (e) the elements distribution mapping by energy-dispersive spectroscopy of Al, Cr, Fe and Ni.

Fig. 4 및 Table 1은 주조체 및 A, B 시편의 비커스 경 도를 보여주고 있다. 분석결과, 주조체보다 소결체의 비커 스 경도가 더 높은 값을 보여주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A 시편보다 B 시편의 경도가 더 높은 값을 가지며 이는 A 시편의 작은 분말 입도로 인하여 분말의 일부가 소결되지 않았기 때문으로 사료된다. 이를 통해 분말 입도 제어를 통한 소결의 질적 향상은 높은 경도를 보장하는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XRD 결과를 통해 B2 및 BCC 상 외의 추가적인 상의 형성을 확인할 수 있었는데, 추가적인 상의 형상 등의 요인으로 인해 두 시편 사이의 경도 차이 가 발생한 것으로 사료된다.

Fig. 4

The Vickers hardness results of the arc casting and 3D printing-fabricated specimens.

The Vicker hardness results of the arc casting and 3D printing-fabricated specimens

3.3. 혼합 분말을 이용한 3D 프린팅 공정으로 제조된 AlCrFeNi 고엔트로피 합금

분말 입도가 3 D 프린팅 공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이 해를 위해 3 .2 절에서 언급한 A, B 두 종류의 AlCrFeNi 고엔트로피 합금 분말을 혼합하여 3D 프린팅 합성을 진행 하였다. Fig. 5는 혼합 분말을 이용한 3D 프린팅 공정으로 제조된 AlCrFeNi 고엔트로피 합금 소결체를 보여주고 있 다. Fig. 5a를 통해 약한 응력에도 쉽게 균열이 발생한 것 을 확인할 수 있으며 고르지 못한 표면 형상 또한 확인할 수 있다. 해당 표면을 마이크로 폴리싱을 통해 연마한 후 분석한 결과를 Fig. 5b에 나타내었다. 연마 과정 중의 응 력으로 인하여 균열의 정도가 심해졌으며 Fig. 5c의 SEM 이미지를 통해 확인할 수 있듯이 균열 내부에 합성되지 않은 수많은 분말들이 존재함을 확인하였다. 합성되지 않 은 분말의 대부분은 d=20-3 0μm 이하의 미세한 분말들로, 이로 인해 경계면에서 적절한 합성이 이루어지지 않은 것 으로 사료된다. 따라서 고엔트로피 합금 분말을 활용한 3D 프린팅 합성 시 최종 소결체에 최적화된 합성 품질을 보장하기 위해서는 합성되기 어려운 미세 분말의 수를 최 소화하고 균일하고 적절한 분말 입도를 제어하는 것이 중 요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d=20-30μm 분말에 적합한 레이 저 파워 및 가스 유량과 같은 공정 변수 제어를 통해 넓 은 범위의 분말 입도의 소결이 가능할 것으로 예측된다.

Fig. 5

The 3D printing AlCrFeNi HEA by mixed AlCrFeNi HEA powders (a) the real image, (b) the polished surface and (c) the SEM image inside the crack.

4. 결 론

이번 논문에서는 3 D 프린팅 공정을 이용하여 AlCrFeNi 고엔트로피 합금을 제작하였다. 아토마이징한 분말을 d=100 μm 전후 입도로 제어하였으며 각각 3 D 프린팅 공 정을 이용하여 AlCrFeNi 고엔트로피 합금을 제작하였다. A 시편(입도 d=100 μm 미만)의 경우 작은 입도로 인하여 합성되지 않은 미세 분말이 표면에 존재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통해 3 D 프린팅 합성 시 적절한 분말 입도 제어가 필수적인 것으로 사료된다. 상 및 미세구조 분석 결과, 주조체와 유사하게 Al-Ni-rich B2 및 Cr-Fe-rich BCC 상이 라멜라 조직을 형성했으며 입도 가 작은 분말일수록 더 미세한 미세조직이 형성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3D 프린팅 공정 전후로 AlCrFeNi 고엔 트로피 합금 분말의 두드러지는 상 및 미세구조적 변화는 관찰되지 않았지만 분말 입도가 작을 경우 합성 품질이 현저하게 떨어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비커스 경도계 를 통한 물성 분석 결과, 3D 프린팅 공정을 통해 제작된 시편이 아크용해공정을 통해 주조한 시편보다 높은 경도 를 보였으며, 입도가 큰 분말을 사용했을 때 경도 값이 향 상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주조공정을 통한 실용화에 한계가 있는 고엔트로피 합금 의 경우 3D 프린팅 공정을 활용한 제품 생산을 통해 물성 의 우수함과 공정상의 효율성 및 경제성을 동시 구현할 수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

감사의 글

이 논문은 2018년도 정부(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재원 으로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NRF- 2018R1A2B3007167).

References

1. B. Cantor, I. T. H. Chang, P. Knight and A. J. B. Vincent: Mater. Sci. Eng. A., 375 (2004) 213. 10.1016/j.msea.2003.10.257.
2. J. W. Yeh, Y. L. Chen, S. J. Lin, S. K. Chen: Mater. Sci. Forum, 560 (2007) 1. 10.4028/www.scientific.net/MSF.560.1.
3. J. Yeh, S. Chen, S. Lin, J. Gan, T. Chin, T. Shun, C. Tsau and S. Chang: Adv. Eng. Mater., 6 (2004) 299. 10.1002/adem.200300567.
4. J.-W. Yeh: Eur. J. Control, 31 (2006) 633. 10.3166/acsm.31.633-648.
5. O. N. Senkov, G. B. Wilks, J. M. Scott and D. B. Miracle: Intermetallics, 19 (2011) 698. 10.1016/j.intermet.2011.01.004.
6. Y. J. Zhou, Y. Zhang, Y. L. Wang and G. L. Chen: Appl. Phys. Lett., 90 (2007) 181904. 10.1063/1.2734517.
7. M. Javidani, J. Arreguin-Zavala, J. Danovitch, Y. Tian and M. Brochu: J. Therm. Spray Technol., 26 (2017) 587. 10.1007/s11666-016-0495-4.
8. V. Bhavar, P. Kattire, V. Patil, S. Khot, K. Gujar and R. Singh: Addit. Manuf. Handbook, CRC Press, (2017) 251.
9. E. Jumaev, M. A. Abbas, S. C. Mun, G. Song, S.-J. Hong and K. B. Kim: J. Alloys Compd., 868 (2021) 159217. . 10.1016/j.jallcom.2021.159217.
10. H. G. Kim, I. H. Kim, Y. I. Jung, D. J. Park, J. Y. Park and Y. H. Koo: J. Nucl. Mater. 465 (2015) 531. 10.1016/j.jnucmat.2015.06.030.

Article information Continued

Fig. 1

The characteristic of the raw AlCrFeNi HEA powder. (a), (b) the SEM image of above and below d=100 μm powder, respectively, (c) the XRD pattern and (d) SEM-BSE image of single powder.

Fig. 2

The synthesis quality of the 3D printing AlCrFeNi HEAs. (a) the real-cylinder shape : left and right are A, B specimen fabricated by below and above d=100 μm powder, respectively, (b) and (c) the surface SEM images of the A and B specimens, respectively.

Fig. 3

The phase and microstructural characteristic of the 3D printing AlCrFeNi HEAs dependent to the powder size. (a) the XRD patterns of A and B specimens, (b), (c) the SEM-BSE images of A and B specimens, (d) the FESEM image and (e) the elements distribution mapping by energy-dispersive spectroscopy of Al, Cr, Fe and Ni.

Fig. 4

The Vickers hardness results of the arc casting and 3D printing-fabricated specimens.

Table 1

The Vicker hardness results of the arc casting and 3D printing-fabricated specimens

Fig. 5

The 3D printing AlCrFeNi HEA by mixed AlCrFeNi HEA powders (a) the real image, (b) the polished surface and (c) the SEM image inside the crac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