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arning: mkdir(): Permission denied in /home/virtual/lib/view_data.php on line 81

Warning: fopen(upload/ip_log/ip_log_2024-10.txt): failed to open stream: No such file or directory in /home/virtual/lib/view_data.php on line 83

Warning: fwrite() expects parameter 1 to be resource, boolean given in /home/virtual/lib/view_data.php on line 84
이황화텅스텐 나노시트 제조를 위한 기계화학적 볼밀링 공정 연구

이황화텅스텐 나노시트 제조를 위한 기계화학적 볼밀링 공정 연구

A Study on Mechano-chemical Ball Milling Process for Fabricating Tungsten Disulfide Nanosheets

Article information

J Powder Mater. 2022;29(5):376-381
a 충북대학교 도시·에너지·환경 융합학부
b 충북대학교 신소재공학과
김 슬기a, 안 윤희a, 이 동주a,b,
a Department of Urban, Energy,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Chungdae-ro 1, Seowon-Gu, Cheongju, Chungbuk 28644, Republic of Korea
b Department of Advanced Materials Engineering,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Chungdae-ro 1, Seowon-Gu, Cheongju, Chungbuk 28644, Republic of Korea

- 김슬기·안윤희: 학생, 이동주: 교수

* Corresponding Author: Dongju Lee, TEL: +82-43-261-2414, FAX: +82-43-271-3222, E-mail: dongjulee@chungbuk.ac.kr
Received 2022 September 27; Revised 2022 October 24; Accepted 2022 October 25.

Abstract

Tungsten disulfide (WS2) nanosheets have attracted considerable attention because of their unique optical and electrical properties. Several methods for fabrication of WS2 nanosheets have been developed. However, methods for mass production of high-quality WS2 nanosheets remain challenging. In this study, WS2 nanosheets were fabricated using mechano-chemical ball milling based on the synergetic effects of chemical intercalation and mechanical exfoliation. The ball-milling time was set as a variable for the optimized fabricating process of WS2 nanosheets. Under the optimized conditions, the WS2 nanosheets had lateral sizes of 500–600 nm with either a monolayer or bilayer. They also exhibited high crystallinity in the 2H semiconducting phase. Thus, the proposed method can be applied to the exfoliation of other transition metal dichalcogenides using suitable chemical intercalants. It can also be used with highperformance WS2-based photodiodes and transistors used in practical semiconductor applications.

1. 서 론

전이금속 디칼코게나이트(Transition metal dichalcogenides; TMDs)는 화학식 MX2 로 이루어져 있으며 M은 주 기율표 4~6족에 해당하는 전이 금속이고(M = Mo, W, Hf, Ti, Nb 또는 V) X는 주기율표 7족의 칼고겐 원소(X = S, Se 또는 Te)이다[1, 2]. MX2 화합물은 구조가 그라파이트 와 유사하게 여러 층의 층상 구조를 가지며, in-plane으로 는 칼고겐 원자와 금속 원자가 공유결합을 하고 있는 XM- X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며 out-of-plane으로는 약한 반 데르발스 결합을 하고 있다. 전이금속과 칼고겐 원자의 서 로 다른 조합으로 약 40가지 이상의 종류를 갖는 TMDs 물질은 절연체에서 반도체, 금속에 이르기까지 흥미롭고 다양한 특성을 나타낸다[3-6]. 대표적인 TMDs 물질인 2차 원 이황화텅스텐(WS2)은 다양한 결정 구조와 전자구성에 서 비롯된 독특한 광학 및 전기적 특성으로 인해 많은 주 목을 받고 있다. WS2의 밴드갭(bandgap)은 벌크에서 단일 층으로 층 수가 줄어들 때 1.4 eV(indirect bandgap)에서 2.0 eV(direct bandgap)으로 변화하게 된다[4]. 이러한 특성 으로 인해 WS2는 트랜지스터, 광 검출기, 메모리 장치, 광촉매에 사용되었으며 전고체 배터리 및 슈퍼커패시터 와 같은 고전력 분야에 응용이 가능하다[7-11]. WS2는 일 반적으로 1T(정방정; tetragonal, D3d group), 2H(육방정; hexagonal, D3H group) 및 3R(능방정; rhombohedral, C53v group)의 결정구조를 갖는다[12]. 이 중 1T-WS2는 금속성 으로 인해 촉매 응용 분야에 적합하고 2H-WS2는 반도체 특성을 필요로 하는 전자 및 광학 응용 분야에 적합한 밴 드갭을 갖고 있다. WS2의 뛰어난 반도체 특성을 활용하기 위해서는 박리 과정 중 상변이 없이 2H 구조가 유지되어 야 한다.

현재까지 기계적 박리[13], 액상 박리[14], 알칼리 이온 삽입[15], 화학 기상 증착(Chemical vapor deposite; CVD) [16] 및 볼밀링 공정[17] 등 소수층 TMDs를 얻기 위한 여 러 방법이 연구되고 있다. 기계적 박리는 고품질 WS2 나 노시트를 생성할 수 있지만 생산 수율이 낮아 대량 생산 에 적합하지 않으며, 초음파 처리를 통한 액상 박리는 공 정은 간단하나 제조된 WS2 나노시트의 크기가 작아 응용 에 제한이 될 수 있다. 알칼리 이온 삽입은 알칼리 이온 (Li+, Na+, K+)이 벌크 WS2 층의 반데르발스 간극으로 침 투하여 층을 분리하는 방법으로 비교적 얇은 층을 쉽게 얻을 수 있지만 결정 구조가 2H 구조에서 1T 구조로 상 변이가 발생한다. CVD는 웨이퍼 크기의 단층 WS2를 합 성할 수 있지만, 전사 공정과 고온이 필요한 한계가 있다. 볼밀링 공정은 대량 생산에 적합하지만 볼밀링 과정에서 의 충격 에너지로 인해 결정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고품질의 WS2 나노시트를 대량으로 제조할 수 있 는 기술개발은 여전히 중요한 과제로 남아 있다.

본 연구에서는 화학적 삽입과 기계적 박리의 시너지 효 과를 이용한 볼밀링 공정을 통해 고품질의 WS2 나노시트 를 제조하였다. 박리 공정에 필요한 기계적 전단력은 유지 하면서 WS2 나노시트의 결정성을 저하시킬 수 있는 볼의 충격 에너지를 액상 볼밀링 공정을 통해 감소시켜 고품질 의 WS2 나노시트를 얻고자 하였다. 본 공정의 핵심은 intercalant와 co-intercalant의 역할을 하는 hydrazine(N2H4) 과 N-Methyl-2-pyrrolidone(NMP) 분자가 볼의 전단력이 작용할 때 WS2의 층간을 확장시켜 박리 과정을 촉진시킨 다는 것이다. 볼밀링 공정 변수에 따른 WS2 나노시트의 특성 평가를 실시했으며, 특성 향상을 위한 최적화 연구를 진행하였다.

2. 실험방법

기계화학적 전단 박리 방법은 2 g의 bulk WS2(2 μm, 99%; Sigma-Aldrich) 분말을 N-Methyl-2-pyrrolidone(NMP; Samchun Chemical)와 hydrazine(N2H4; JUNSEI Chemical) 의 혼합 용액(NMP : N2H4= 19 : 1) 20ml와 100 g의 스틸 볼(직경: 8 mm)과 같이 jar에 장입한 후 유성형 볼밀 (Pulverisette 5; Fritsch)을 이용해 박리 공정을 진행하였다. 박리 공정은 200 rpm의 회전 속도로 진행하였으며, 볼밀 링 공정 시간에 따른 WS2 나노시트 미세조직 분석을 위 해 볼밀링 시간은 12, 24, 36, 48시간의 조건으로 변수를 설정하였다. 볼밀링 공정 후 얻어진 생성물은 진공여과장 치를 이용하여 여과 후, 볼밀링 공정시 발생할 수 있는 Fe 이온 잔여물을 100mL의 염산(HCl, 37%; Sanchun Chemical) 수용액을 이용해 제거한 후 pH가 7이 될 때까지 여 러 번 증류수로 세척 후 진공 오븐에서 24시간 동안 건조 하였다. 이후 건조된 WS2 분말을 NMP(1 L)에 분산 시켜 형성된 WS2 분산 용액을 2000 rpm에서 30분 동안 원심분 리하여 박리 공정 시 미처 박리되지 못한 두꺼운 시트들 을 제거해 주었다. 원심분리 공정 후 얻어진 상층액을 진 공 여과를 통해 용매를 여과한 후 진공 오븐에서 24시간 동안 건조하여 최종적으로 WS2 나노시트를 제조하였다.

제조한 WS2 나노시트의 상 분석은 X선 회절 분석기(Xray Diffractometer, JP/SmartLab, Rigaku)를 이용해 진행하 였고 표면 분석은 X선 광전자 분광기(X-ray photoelectron spectroscopy, K-Alpha+, ThermoFisher Scientific)를 이용 해 진행하였다. 투과전자현미경(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e, JEM-ARM200F, JEOL)을 이용하여 WS2 나 노시트의 미세조직을 분석하였다. WS2 나노시트의 층 수 를 분석하기 위해 라만 스펙트럼 측정은 RAMAMtouch (Nanophoton) 장비를 사용하였다.

3. 결과 및 고찰

Fig. 1은 WS2 나노시트의 제조 볼밀링 공정 모식도이다. 공정에 사용된 N2H4 용액은 WS2층간에 intercalation되는 동시에 일부가 N2H5+로 산화되며, 산화된 N2H5+는 불안정 하여 공정 중 N2, NH3, H2와 같은 가스로 분해된다. 층간 에 intercalation된 N2H4 분자의 분해 및 가스화로 인해 벌 크 WS2의 층간 간격이 팽창하게 되고(Fig. 1b), 층간 간격 이 넓어진 WS2에 N2H4 분자 구조보다 큰 NMP 분자가 co-intercalation되어 Fig. 1과 같이 WS2의 층간 간격이 좀 더 팽창하게 된다. N2H4와 NMP 분자의 intercalation에 의해 층간 간격이 팽창된 WS2에 볼의 회전에 의한 전단력이 작 용하게 되어 최종 박리가 진행된다. 이때, NMP 용액은 볼 밀링 공정 중 intercalation 뿐만 아니라 WS2에 가해지는 볼 의 충격 에너지를 줄여주어 WS2의 손상을 최소화시키고, 박리된 나노시트들의 재적층(restacking)을 방지해준다[18].

Fig. 1

Schematic illustration of the exfoliation mechanism of WS2. (a) as-received WS2. (b) Hydrazine is intercalated into the layer, to form an expanded WS2 structure. (c) Exfoliation due to the shear force of the ball as additional NMP molecules are intercalated.

볼밀링 공정 시간에 따른 WS2의 상분석 결과를 Fig. 2 에 나타내었다. Fig. 2a XRD 결과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14.3°, 28.8°, 32.7°, 33.5°, 39.5°, 43.9°, 49.6°, 55.8°, 58.4° 및 69.1°의 2θ값에서 회절 피크가 나타났으며, 이는 각각 WS2의 (002), (004), (100), (101), (102), (103), (006), (105), (106), (110) 및 (108) 면에 해당하는 것을 통해 벌크 WS2 와 동일한 2H 구조를 유지하고 있음을 확인했다(JCPDS card no.08-0237). 이를 통해 볼밀링 공정 중 WS2 나노시 트의 구조가 변하지 않았음을 알 수 있다. 또한, 48시간의 볼밀링 공정 후 얻어진 WS2나노시트는 흡착 활성 부위에 해당하는 결정면인 (100)에 해당하는 피크의 강도가 상대 적으로 가장 높았다. 이는, 48시간의 공정 후 얻어진 WS2 나노시트가 가장 많은 가장자리 활성 부위를 포함하고 있 음을 알 수 있다[19]. Fig. 2b-c는 볼밀링 공정 시간에 따 른 (002) 면에 해당하는 피크의 반치전폭(Full Width at Half Maximum; FWHM)을 분석한 결과이다. 볼밀링 공정 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반치전폭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 며, 이는 WS2 나노시트의 크기가 감소하는 것을 의미한다.

Fig. 2

(a) XRD patterns, (b) magnified XRD pattern, and (c) trend of FWHM value of WS2 nanosheets as function of ball milling time.

TEM 이미지를 통해 볼밀링 공정 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WS2 나노시트의 층 수가 점차 감소하는 것을 확인했다 (Fig. 3). 48시간의 공정 시간으로 얻어진 WS2 나노시트는 1~2개의 층을 가진다. 또한, 볼밀링 공정 시간이 12, 24, 36, 48시간으로 증가함에 따라, 얻어진 WS2 나노시트의 크기가 701.1 nm, 673.8 nm, 616.7 nm, 563.8 nm로 감소하 는 것을 알 수 있으며, 이는 반치전폭 결과와 일치한다. 따 라서, 본 연구에서는 볼밀링 공정 시간을 48시간으로 최 적화하였다.

Fig. 3

TEM image of WS2 nanosheets with varying milling time. (a, b) 12 hr, (c, d) 24 hr, (e, f) 36 hr, and (g, h) 48 hr.

Fig. 4는 50개의 WS2 나노시트를 TEM으로 분석한 lateral size와 평균 층수(average number of layers)를 바탕 으로 한 히스토그램이다. 최적화된 볼밀링 공정으로 얻어 진 WS2 나노시트는 300~600 nm의 평균 측면 크기와 2개 의 평균 층수를 가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고분해능 투과 전자 현미경(High-Resolution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 HR-TEM)을 통해서도 WS2의 (100) 결정면에 해당 하는 W 원자 사이의 간격인 0.27 nm가 관찰되었다(Fig. 5a). Fig. 5b는 HR-TEM 이미지를 통해 얻은 FFT(Fast Fourier transform) 회절패턴이다. 얻어진 WS2 나노시트의 회절패턴은 2H 구조에서 전형적인 six-fold symmetry(6중 대칭 구조)를 나타내며, 이는 WS2 나노시트의 2H 구조가 볼밀링 공정 동안 손상을 거의 받지 않았음을 의미한다.

Fig. 4

Histogram data representing the distributions of (a) the lateral size and (b) the number of layers for 50 sheets.

Fig. 5

(a) High-resolution TEM images and (b) FFT patterns of WS2 nanosheets.

Fig. 6은 최적화 볼밀링 공정을 통해 얻어진 WS2 나노 시트의 라만 스펙트럼이다. WS2의 경우 350 cm-1에서 E1 2g 모드를 관찰하고 420 cm-1에서 A1g 모드를 관찰한다. 이 때의 두 피크 간의 간격(Frequency difference)으로 얻어진 WS2 나노시트의 층 수를 정의할 수 있다. WS2는 층 수가 감소함에 따라 두 피크 간 간격은 점차 감소한다. E1 2g 모 드의 진동으로 인해 발생하는 산란은 쿨롱 퍼텐셜 (coulomb potential)에 비례한다. 층 수가 감소할수록 영향 을 주는 원자 수가 줄어들어, 원자간의 쿨롱 퍼텐셜로 인 한 영향이 감소하게 되고 입사 레이저의 에너지 손실은 줄어든다. 이로 인해 Raman shif t가 증가하는 청색 편이를 발생시킨다. 황 원자가 수직 방향으로 진동하며 발생하는 A1g 모드는 층 수가 감소할수록 분자 진동으로 인해 발생 하는 입사 레이저의 에너지 손실이 커지게 된다. 이는 A1g 피크의 Raman shif t가 감소하는 적색 편이를 일으킨다. 따 라서, WS2의 층 수가 감소할수록 각 진동모드의 적색 편 이와 청색 편이로 인하여 E1 2g와 A1g피크 간의 간격이 점 차 감소하게 된다. WS2 나노시트의 라만 스펙트럼에서 E1 2g 피크와 A1g 피크는 각각 352.4 cm-1와 417.8 cm-1에서 가장 높은 강도를 보였으며, 두 피크의 간격은 약 65.4 cm-1로 1~2개의 층을 가진 WS2 나노시트가 얻어졌음을 알 수 있다[20, 21].

Fig. 6

Raman spectra of as-received WS2 and WS2 nanosheets.

WS2 나노시트의 화학 결합 분석을 위해 진행한 XPS 결 과를 Fig. 7에 나타냈다. Fig. 7a는 WS2 나노시트의 survey 그래프로 W, S, O, C 원소가 관측되었다. Fig. 7b의 W 4f 고해상도 스펙트라에서 32.7 eV와 34.9 eV에서 각각 W4f7/2 와 W4f5/2에 해당하는 피크가 관찰되었다. W5p3/2에 해당 하는 피크가 38.2 eV에서 약하게 나타났으며, 이는 WS2 표면에 형성된 비정질 WOx 또는 W에 흡착된 수분에서 비롯된다. S 2p 스펙트라에서도 유사하게 S 2p3/2와 S 2p1/2 에 해당하는 피크가 162.7 eV와 163.8 eV에서 나타났다 (Fig. 7c). W 4f 스펙트라에서 1T 구조에 해당하는 32.4 eV와 34.6 eV에서의 피크는 나타나지 않아 WS2 나노시트 가 박리 공정 중 상변이가 발생하지 않고 2H 구조를 유지 하는 것을 알 수 있다. C 1s 스펙트라에서는 284.6 eV, 285.9 eV과 286.7 eV에서 각각 sp3 C(C-C 결합), C-O 결 합 및 C=O 결합에 해당하는 피크가 관찰되었다(Fig. 7d). Fig. 7e의 O 1s 스펙트라에서 O=C 결합과 WOx에 해당하 는 피크가 각각 531.2 eV와 532.5 eV에서 나타났다. 또한, 볼밀링 공정 중 형성될 수 있는 Fe 이온 잔여물은 Fig. 7f 의 Fe 2p의 스펙트라를 통해 염산 수용액을 이용한 세척 과정에서 모두 제거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Fig. 7

XPS spectra of WS2 nanosheets; (a) survey, (b) W 4f, (c) S 2p, (d) C 1s, (e) O 1s, and (f) Fe 2p.

4. 결 론

본 연구에서는 2차원 물질 중 하나인 이황화텅스텐 (WS2)의 2H 구조를 유지하면서 반응성을 최대화할 수 있 는 얇고 넓은 WS2 나노시트를 제조 하기 위하여 기계 화 학적 박리 공정을 개발하고 이를 통해 제조된 WS2 나노 시트의 특성평가를 진행하였다. 본 공정은 화학적 삽입과 기계적 박리의 시너지 효과를 통해 고결정성의 WS2 나노 시트를 제조하였다. 최적의 볼밀링 공정을 찾기 위해 공정 시간을 변수로 두어 박리 공정을 진행했을 때, 공정 시간 이 증가함에 따라 WS2 나노시트의 크기와 두께가 감소하 였으며, 최적화 공정으로 얻어진 WS2 나노시트는 2H 구 조를 유지하며, 500-600 nm의 크기와 1-2개의 층을 가지 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공정은 기계적 박리, 액상 박리, 이온 삽입 등으로 제조된 WS2 나노시트보다 고품질의 2H 구조 WS2 나노시트 대량 제조가 가능하며, 다양한 용매에 서 우수한 분산 안정성을 보일 수 있어 용액 공정 기반 광 센서, 포토다이오드 등의 응용분야에서 적용이 가능할 것 으로 기대된다.

감사의 글

본 연구는 2021년도 정부(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재원 으로 한국연구재단(No.2021R1F1A1058854), 한국산업기 술평가관리원의 지원(20011520, 스크랩을 활용 한 정밀가 공용 100 nm급 텅스텐계 소재 및 공구제조기술 개발) 및 2021년도 정부(산업통상자원부)의 재원으로 한국에너지기 술평가원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2021 7510100020, 저품위 공정 폐액으로부터 희소금속 회수 공통 핵심(농축, 분리 회수) 공정 플랫폼 구축 및 소재화 기술 개발).

References

1. K.-A. N. Duerloo, Y. Li and E. J. Reed: Nat. Commun., 5 (2014) 4214. 10.1038/ncomms5214. 24981779.
2. S. Kim, W. Park, D. Kim, J. Kang, J. Lee, H. Y. Jang, S. H. Song, B. Cho and D. Lee: Nanomaterials, 10 (2020) 1045. 10.3390/nano10061045. 32486096. PMC7352925.
3. M. Chhowalla, H. S. Shin, G. Eda, L.-J. Li, K. P. Loh and H. Zhang: Nature Chemistry, 5 (2013) 263. 10.1038/nchem.1589. 23511414.
4. Q. H. Wang, K. Kalantar-Zadeh, A. Kis, J. N. Coleman and M. S. Strano: Nat. Nanotechnol., 7 (2012) 699. 10.1038/nnano.2012.193. 23132225.
5. X. Huang, Z. Zeng and H. Zhang: Chemical Society Reviews, 42 (2013) 1934. 10.1039/c2cs35387c. 23344899.
6. S. Z. Butler, S. M. Hollen, L. Cao, Y. Cui, J. A. Gupta, H. R. Gutiérrez, T. F. Heinz, S. S. Hong, J. Huang, A. F. Ismach, E. Johnston-Halperin, M. Kuno, V. V. Plashnitsa, R. D. Robinson, R. S. Ruoff, S. Salahuddin, J. Shan, L. Shi, M. G. Spencer, M. Terrones, W. Windl and J. E. Goldberger: ACS Nano, 7 (2013) 2898. 10.1021/nn400280c. 23464873.
7. S. Jo, N. Ubrig, H. Berger, A. B. Kuzmenko and A. F. Morpurgo: Nano Lett., 14 (2014) 2019. 10.1021/nl500171v. 24669957.
8. M. Bernardi, M. Palummo and J. C. Grossman: Nano Lett., 13 (2013) 3664. 10.1021/nl401544y. 23750910.
9. S. Ratha and C. S. Rout: ACS Appl. Mater. Interfaces, 5 (2013) 11427. 10.1021/am403663f. 24125029.
10. L. Cheng, W. Huang, Q. Gong, C. Liu, Z. Liu, Y. Li and H. Dai: Angew. Chem. Int. Ed., 53 (2014) 7860. 10.1002/anie.201402315. 24838978.
11. R. Bhandavat, L. David and G. Singh: J. Phys. Chem., 3 (2012) 1523. 10.1021/jz300480w. 26285632.
12. R. J. Toh, Z. Sofer, J. Luxa, D. Sedmidubský and M. Pumera: Chem. Commun., 53 (2017) 3054. 10.1039/C6CC09952A. 28239725.
13. W. Zhao, Z. Ghorannevis, L. Chu, M. Toh, C. Kloc, P.-H. Tan and G. Eda: ACS Nano, 7 (2013) 791. 10.1021/nn305275h. 23256505.
14. A. Jawaid, D. Nepal, K. Park, M. Jespersen, A. Qualley, P. Mirau, L. F. Drummy and R. A. Vaia: Chem. Mater., 28 (2016) 337. 10.1021/acs.chemmater.5b04224.
15. D. Voiry, H. Yamaguchi, J. Li, R. Silva, D. C. B. Alves, T. Fujita, M. Chen, T. Asefa, V. B. Shenoy, G. Eda and M. Chhowalla: Nature Materials, 12 (2013) 850. 10.1038/nmat3700. 23832127.
16. Y.-H. Lee, X.-Q. Zhang, W. Zhang, M.-T. Chang, C.-T. Lin, K.-D. Chang, Y.-C. Yu, J. T.-W. Wang, C.-S. Chang, L.-J. Li and T.-W. Lin: Adv. Mater., 24 (2012) 2320. 10.1002/adma.201104798. 22467187.
17. C. Han, Y. Zhang, P. Gao, S. Chen, X. Liu, Y. Mi, J. Zhang, Y. Ma, W. Jiang and J. Chang: Nano Lett., 17 (2017) 7767. 10.1021/acs.nanolett.7b03968. 29148814.
18. L. H. Li, Y. Chen, G. Behan, H. Zhang, M. Petravic and A. M. Glushenkov: J. Chem., 21 (2011) 11862. 10.1039/c1jm11192b.
19. S. Lu, W. Luo, Z.-S. Chao, Y. Liu, S. Han and J. Fan: J. Mater. Sci., 57 (2022).
20. H. Zeng, G.-B. Liu, J. Dai, Y. Yan, B. Zhu, R. He, L. Xie, S. Xu, X. Chen, W. Yao and X. Cui: Sci. Rep., 3 (2013) 1608. 10.1038/srep01608. 23575911. PMC3622914.
21. K. H. Shin, M.-K. Seo, S. Pak, A.-R. Jang and J. I. Sohn: Nanomaterials, 12 (2022) 1393. 10.3390/nano12091393. 35564101. PMC9101887.

Article information Continued

Fig. 1

Schematic illustration of the exfoliation mechanism of WS2. (a) as-received WS2. (b) Hydrazine is intercalated into the layer, to form an expanded WS2 structure. (c) Exfoliation due to the shear force of the ball as additional NMP molecules are intercalated.

Fig. 2

(a) XRD patterns, (b) magnified XRD pattern, and (c) trend of FWHM value of WS2 nanosheets as function of ball milling time.

Fig. 3

TEM image of WS2 nanosheets with varying milling time. (a, b) 12 hr, (c, d) 24 hr, (e, f) 36 hr, and (g, h) 48 hr.

Fig. 4

Histogram data representing the distributions of (a) the lateral size and (b) the number of layers for 50 sheets.

Fig. 5

(a) High-resolution TEM images and (b) FFT patterns of WS2 nanosheets.

Fig. 6

Raman spectra of as-received WS2 and WS2 nanosheets.

Fig. 7

XPS spectra of WS2 nanosheets; (a) survey, (b) W 4f, (c) S 2p, (d) C 1s, (e) O 1s, and (f) Fe 2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