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마그마엔지니어링코리아
b (주)나우산업
c 새한용사엔지니어링
a MAGMA Engineering KOREA, Republic of Korea
b NOW Industries Co., Ltd., Republic of Korea
c SAE HAN METALLIZING, Republic of Korea
© The Korean Powder Metallurgy Institute. All rights reserved.
1. 산소 양이 부족한 경우 [그림 3], [그림 4], [그림 5]의 산소 양 1 kg/cm2과 같이 불안전 연소되어 붉은색의 불꽃을 일으키며 합금 분말이 분사되지 않았고 과다 한 경우 산소 양 3 kg/cm2 과 같이 점화되지 않거나 점화되더라도 푸른색의 불꽃을 일으키며 과도하게 연소되었다.
2. 아세틸렌 양이 부족한 경우 [그림 3], [그림 4], [그림 5]의 아세틸렌 양 1 kg/cm2과 같이 낮은 열원으로 인 해 합금 분말이 정상적으로 용융되지 않은 상태에서 분사되었고 과다한 경우 아세틸렌 양 3 kg/cm2과 같 이 연소가 되지 않거나 높은 열원으로 인해 합금 분 말이 완전히 용융되어 모재와 충돌 시 적층되지 않고 흘러내리는 현상이 발생하였다.
3. 산소, 아세틸렌 양이 동일한 상태에서 용사 건 거리 가 2 0 0mm와 같이 너무 가까운 경우 용사 건과 모재 사이의 거리가 가까워 분사 시 합금 분말이 비산되었 고 3 00mm와 같이 너무 멀어지면 합금분말이 제대로 적층되지 않았다.
(1) 합금 분말과 용사 시편에 대한 경도 경향 차이가 발 생하였는데 이는 용사 과정 중 합금 분말이 재용융 (fusing)되면서 원자들의 확산에 의해 경도 경향 차이 가 발생하여 분말 경도에 비해 경도값 범위는 줄어 드는 것으로 나타났다.
(2) 용사 코팅층의 경도는 모재의 종류와는 관계없고 작 업 조건(아세틸렌, 산소 양, 용사 건 거리 등)에 따라 서 경향 차이가 발생하였다. 특히 작업 변수 중에서 용사 건 거리가 용사 시편 경도에 미치는 영향도가 큰 것으로 확인되었다.
(3) 모재의 조도값은 용사코팅층과의 접합강도에 큰 영 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단되어 본 연구 결과 모재의 조도값이 큰 경우 용사 코팅층과의 결합력을 높일 수 있었으며 용사 작업 전 모재 표면에 대한 전처리 가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