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arning: mkdir(): Permission denied in /home/virtual/lib/view_data.php on line 81

Warning: fopen(upload/ip_log/ip_log_2024-11.txt): failed to open stream: No such file or directory in /home/virtual/lib/view_data.php on line 83

Warning: fwrite() expects parameter 1 to be resource, boolean given in /home/virtual/lib/view_data.php on line 84
Fabrication and Sintering Behavior Analysis of Molybdenum-tungsten Nanopowders by Pechini Process
Skip Navigation
Skip to contents

Journal of Powder Materials : Journal of Powder Materials

OPEN ACCESS
SEARCH
Search

Articles

Page Path
HOME > J Powder Mater > Volume 30(5); 2023 > Article
Article
페치니 공정을 이용한 몰리브덴-텅스텐 나노 분말 제조 및 소결 특성 평가
김수연a, 권태현a, 김슬기a, 이동주a,b,*
Fabrication and Sintering Behavior Analysis of Molybdenum-tungsten Nanopowders by Pechini Process
Suyeon Kima, Taehyun Kwona, Seulgi Kima, Dongju Leea,b,*
Journal of Korean Powder Metallurgy Institute 2023;30(5):436-441.
DOI: https://doi.org/10.4150/KPMI.2023.30.5.436
Published online: September 30, 2023

a 충북대학교 도시·에너지·환경 융합학부

b 충북대학교 신소재공학과

a Department of Urban, Energy,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Chungdae-ro 1, Seowon-Gu, Cheongju, Chungbuk 28644, Republic of Korea

b Department of Advanced Materials Engineering,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Chungdae-ro 1, Seowon-Gu, Cheongju, Chungbuk 28644, Republic of Korea

* Corresponding Author: Dongju Lee, TEL: +82-43-261-2414, FAX: +82-43-271-3222, E-mail: dongjulee@chungbuk.ac.kr
- 김수연·권태현·김슬기: 학생, 이동주: 교수
• Received: October 19, 2023   • Revised: October 27, 2023   • Accepted: October 28, 2023

© The Korean Powder Metallurgy Institute. All rights reserved.

  • 125 Views
  • 3 Download
prev
  • Molybdenum-tungsten (Mo-W) alloy sputtering targets are widely utilized in fields like electronics, nanotechnology, sensors, and as gate electrodes for TFT-LCDs, owing to their superior properties such as hightemperature stability, low thermal expansion coefficient, electrical conductivity, and corrosion resistance. To achieve optimal performance in application, these targets’ purity, relative density, and grain size of these targets must be carefully controlled. We utilized nanopowders, prepared via the Pechini method, to obtain uniform and fine powders, then carried out spark plasma sintering (SPS) to densify these powders. Our studies revealed that the sintered compacts made from these nanopowders exhibited outstanding features, such as a high relative density of more than 99%, consistent grain size of 3.43 μm, and shape, absence of preferred orientation.
몰리브덴(Mo)은 높은 융점, 우수한 전도성 및 부식 저 항성, 낮은 임피던스 등과 같은 특성으로 인해 다양한 전 자 부품에서 널리 응용되고 있다[1]. 특히, 텅스텐(W)을 Mo에 첨가하면 고온에서의 기계적 안정성이 향상되며 낮 은 열팽창계수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상업에 사용되는 Mo-W 합금은 30~50 wt.%의 W을 포함하고 있는데, 그 중 에서도 Mo-30wt.%W은 높은 융점, 우수한 가공성, 고온에 서의 향상된 강도 및 내산화성으로 전자, 나노 기술, 센서 및 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s(TFT-LCDs) 등 과 같은 응용분야에 전극 및 배리어층 형성을 위한 스퍼 터링 타겟 소재로 사용되고 있다[2-7].
Mo-W 합금 타겟의 미세조직은 박막의 품질을 결정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며, 원하는 특성을 얻기 위해서 타겟의 순도, 상대 밀도 및 결정립 크기를 고려하여 제어할 필요 가 있다. 타겟 제조 시 이종상 또는 기공의 존재는 박막의 특성을 저하시키며, 특정 방향 없이 형성된 결정립은 매끄 럽고 연속적인 박막을 형성하며, 결정립의 크기가 작아질 수록 스퍼터링 속도가 향상된다[8, 9]. 현재 Mo-W 합금 타겟은 arc melting과 같은 주조 공정을 통해 제조되는데 이 경우 응고 시 형성되는 수지상(dendtride)으로 인해 불 균일한 미세조직이 형성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 후처리 공정이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반면에 분말야금공정을 통 해 Mo-W 합금 타겟을 제조할 경우 주조공정에 비해 균 일한 미세조직을 얻을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으나, Mo-W 합금은 고융점 금속으로 소결 온도가 높아 치밀화 가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공정 상 어려움을 극복 하고 고밀도의 균일한 미세조직 특성을 가지는 타겟을 제 조하기 위해서는 높은 소결 온도 및 압력을 가하거나 입 자 크기가 작은 나노 분말을 사용해야 한다. 소결의 추진 력은 분말의 비표면 에너지를 따르며 나노급 분말은 높은 비표면 에너지로 인해 소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소결하 고자 하는 분말의 입자 크기 및 균일성은 소결 중 치밀화 거동에 영향을 미치며 최종적으로 소결체의 미세구조에 큰 영향을 미친다[10].
본 연구에서는 높은 밀도와 작은 결정립을 가지는 타겟 을 제조하기 위해서 Pechini 방법을 이용하여 Mo-W 산화 물 분말을 제조하였다. Pechini 공정은 금속염을 함유하는 유기용액을 기반으로 분말을 제조하는 공정으로 분말 형 성과정에서 수지화 반응이 일어나 네트워크가 형성되며 점성 용액이나 gel 형태를 가지게 된다. 형성된 gel은 열 처리 공정을 통해 유기 매트릭스가 연소되고 최종 분말이 형성되는데, 이때 수지상으로 인해 열처리 과정 중에 발생 할 수 있는 편석을 억제할 수 있으며, 균일하고 입자 크기 가 작으며 순도가 높은 분말로 제조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11-14]. Pechini 공정을 통해 제조된 Mo-W oxide 분 말은 하소(calcination) 및 환원 공정(reduction)을 통해 Mo-W 합금 분말을 제조하였다. 이후, 방전 플라즈마 소결 (spark plasma sintering, SPS)을 통해 높은 밀도의 소결체 를 제조하였으며, 소결체의 미세구조 및 상대 밀도 분석을 진행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Pechini 방법을 이용하여 Mo-W 산화물 분말을 제조하고 수소 환원 공정을 통해 Mo-W 합금 분 말을 제조하였으며, Fig. 1에 전체적인 공정 과정을 모식 도로 나타내었다. Mo-W 산화물 분말을 제조하기 위한 전 구체로는 (NH4)6Mo7O24·4H2O(Ammonium molybdate tetrahydrate, 99.98%, Sigma-Aldrich), (NH4)6H2W12O40(Ammonium metatungstate, 99.5%, Aladdin)를 사용하였다. 먼저, 증류수 200 mL에 (NH4)6Mo7O24·4H2O, (NH4)6H2W12O40를 용해하였다. 이때, 전구체 무게는 최종 조성이 Mo-30 wt.%W가 되도록 정량하였다. 이후, C6H8O7(Citric acid, 99.5%, Samchun Chemicals)와 C2H6O2(Ethylene glycol, 99.5%, Junsei Chemical)를 혼합 용액에 첨가한 후, 혼합 용액의 gelation이 일어날 때까지 80°C 온도로 교반하였다. 형성된 gel을 500°C에서 2시간 동안 하소하여 Mo-W 산 화물 분말을 얻었다. 형성된 산화물 분말을 900°C에서 2 시간 동안 수소 분위기 하에서 환원하여 최종적으로 Mo- W 합금 분말을 제조하였다.
Fig. 1
Schematic illustration of preparation process of Mo-W sintered compact.
KPMI-30-5-436_F1.gif
제조된 합금 분말의 소결을 위해 graphite 몰드 내에 분 말을 충진시키고 SPS 장비(JP/SPS-1030; Weltech)를 이용 하여 30MPa의 압력과 1400°C(승온속도 100°C/min)의 온 도로 1분간 공정을 진행했다. 이후 소결체를 d iamond suspension으로 연마하여 미세 조직을 분석하였다. 결정립 크기 분석을 위해 KOH(Potassium hydroxide, 95.0%, Samchun Chemicals), C6N6FeK3(Potassium ferricyanide, 99.95%, Aladdin)를 이용해 Murakami etchant를 제조하여 소결체 를 etching하였다.
제조한 Mo-W 분말과 소결체의 상분석은 X선 회절 분 석기(X-ray Diffractometer, JP/SmartLab, Rigaku)를 이용해 진행하였고 미세 조직 분석은 주사전자현미경(Scanning Electron Microscope, Crossbeam 540, ZEISS)을 통해 진행 하였다. 소결체의 상대밀도는 A rchimed es 방법을 이용하 여 측정하였다. 소결체의 결정립 크기 분석은 이미지 분석 (ImageJ, National Institutes of Health, Bethesda)을 통해 진 행하였다. 소결체의 결정립 방향성 분석을 위해서 후방산 란전자 회절(Electron backscatter diffraction, EBSD) 분석 을 전계방사형 주사전자현미경(UHR FE-SEM, SU8230, Hitachi)을 통해 진행하였다.
Fig. 2에 Pechini 공정을 통해 제조한 as-synthesized 분 말, 하소 후 분말, 수소 환원 후 분말의 XRD 회절 패턴을 나타내었다. As-synthesized 분말은 Pechini 공정 후 형성 된 gel을 건조한 분말이며, XRD 회절 pattern 결과, broad 한 형태를 보여 비정질상으로 형성된 것을 확인하였다. 하 소 공정 후에는 Mo0.5W0.5O3(JCPDS No.76-1280), MoO3 (JCPDS No.80-0347) 및 WO3(JCPDS No.83-0950) 회절 피크가 나타났으며, 이를 통해 하소 공정 과정에서 비정질 상이 결정질로 상변화가 일어났음을 확인하였다[2].
Fig. 2
XRD pattern o f powder during the p rocess, (a) a ssynthesized, (b) after calcination, (c) after hydrogen reduction.
KPMI-30-5-436_F2.gif
Mo0.5W0.5O3 결정상의 형성은 균질한 gel의 형성으로부 터 시작되는데, 물에 용해된 (NH4)6Mo7O24·4H2O, (NH4)6 H2W12O40식(1), (2)와 같이 금속염인 [Mo7O24]6-, [H2 W12O24]6-으로 존재하며, 이는 citric acid의 carboxylic acid 부분과 결합하여 균질하고 안정한 complex를 형성한다 [15, 16]. 이후 ethylene glycol과 반응하여 citric acid와 ethylene glycol 사이에 금속 이온이 갇힌 공유 결합 고분 자 네트워크가 형성되면서 H2O 발생하고 gel형태를 가진 다. 형성된 gel은 250°C의 온도에서 비정질상이며, 온도가 350°C로 증가하면서 Mo0.5W0.5O3 결정상이 나타난다.
(1)
KPMI-30-5-436_EQ1.gif
(2)
KPMI-30-5-436_EQ2.gif
이때 고분자 네트워크를 형성하지 못한 금속염으로 인 해 하소 중 MoO3, WO3 결정상이 일부 생성된 것으로 보 인다[17-19]. (NH4)6Mo7O24·4H2O의 경우, 50~75°C의 온도에 서 [NH4]6Mo7O24.4H2O 상에서 [NH4]4(Mo8O24.8(O2)1.2(H2O)2) (H2O)4 상으로의 상전이가 유도되었으며, 100~200°C에서 는 [NH4]8Mo10O34 상으로 변형된다. 225~275°C의 온도에 서는 중간상인 [NH4]4[Mo8O26]이 형성되며, 이 상은 325 °C 이상의 온도에서 MoO2.5(OH)0.5, MoO2.69(OH)0.31 및 MoO3−x로 재결정화 되며, 반응식은 다음과 같다[20].
(3)
KPMI-30-5-436_EQ3.gif
(NH4)6H2W12O40의 경우, 25~200°C에서 암모니아와 수 증가가 방출되고, 200~380°C에서 암모니아와 수증기가 방 출과 동시에 비정질의(NH4)2[W12O37]이 형성된다. 이후 400~500°C로 온도를 높이면, 잔류하는 암모니아와 수증기 가 모두 증발하고 최종적으로 WO3가 형성되며, 이때 반 응식은 다음과 같다[12, 21].
(4)
KPMI-30-5-436_EQ4.gif
수소 환원 공정 후 제조된 분말에서는 40.5°, 58.6°, 73.6°의 2θ값에서 회절 피크가 나타났으며, 이는 Mo-W 합 금의 (110), (200), (211) 면에 해당하는 것을 통해 Mo-W 단일상이 합성되었음을 확인하였다[22]. 또한 고분자 네트 워크를 형성하지 못해 복합화되지 않은 산화물 일부가 환 원 공정 중 alloying된 것을 확인하였으며, crystallite size 분석을 위해 Scherrer equation을 이용하였으며, 식은 다음 과 같다.
(5)
KPMI-30-5-436_EQ5.gif
D는 crystallite size, K는 형성인자 상수로 0.89로 나타 내며, λ는 분석 시 사용한 X-ray의 파장으로 1.54Å, β와 θ는 각각 반가폭과 회절각으로 main peak인 2θ = 40.5°의 피크를 통해 값을 얻었다. 이를 통해 분말의 crystallite size를 분석하였을 때, 92.17 nm 크기의 crystallite size를 가지는 것을 확인하였다[23].
Fig. 3는 제조 공정 단계에 따른 분말의 디지털 이미지 와 미세조직 분석결과이다. Pechini 공정 후 형성된 gel(assynthesized) 은 푸른색을 띄며(Fig. 3(a) inset), 하소 공정 후에는 연두색의 분말을 얻었으며(Fig. 3(b) inset), 이는 MoO3 분말과 WO3 분말이 각각 녹색과 노란색을 띄기 때 문이다. 수소 환원 공정 이후에는 짙은 회색 분말을 형성 하였다. 또한, SEM 분석 결과 하소 후 생성된 oxide 분말 은 0.74~ 2 μm의 particle 크기의 둥근 형태 분말을 가지며, 환원 공정 후 생성된 Mo-W 합금 분말은 200~300 nm의 크기를 가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는 수소 환원 공정 중 분말의 급격한 부피 감소로 인해 분말 표면에 균열이 발 생하고, 이러한 표면 균열 사이로 수소 가스가 들어가 분 말의 환원이 이루어지며 입자의 크기를 감소시키는 것으 로 판단된다[24, 25]. 또한, EDS mapping을 통해서 Mo와 W 원소가 고르게 분포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Fig. 3
SEM image of (a) as-synthesized powder, (b) oxide powder after calcination, and (c) SEM and EDS image of MoW powder after hydrogen reduction.
KPMI-30-5-436_F3.gif
Mo-W 합금 나노 분말을 이용해 SPS로 소결 공정을 진 행한 소결체의 XRD 회절 pattern을 Fig. 4에 나타냈다. Mo-W 합금의 (110), (200), (211) 면에 해당하는 39.9°, 58.1°, 73.1°의 2θ 값에서 회절 피크가 나타나 소결 후에도 산화물이나 Mo2C, W2C 또는 WC와 같은 이차상 형성 없 이 Mo-W 단일상만을 가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Fig. 4
XRD pattern of sintered compact made MoW powder.
KPMI-30-5-436_F4.gif
Fig. 5는 Mo-W 소결체의 표면의 SEM 및 EDS 이미지 를 나타낸 것으로 1400°C에서 30MPa의 압력으로 소결된 소결체 내부에 pore가 존재하지 않는 것을 확인하였다. 소 결체의 밀도는 Archimedes 방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상대 밀도를 분석한 결과를 Table 1에 나타냈다. 그 결과, 99% 이상의 상대 밀도를 가지는 것을 통해 치밀한 소결 체가 형성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Pechini 공정을 통 해 제조된 나노 분말의 크기가 미세하고 형태가 균일해 소결 구동력의 향상과 더불어, SPS의 빠른 승온 및 냉각 속도로 인한 것으로 판단된다. EDS mapping을 통해서도 소결체 내부에 Mo와 W 원소가 모두 고르게 분포함을 확 인하여 합금 원소의 균일성 또한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Fig. 5
SEM and EDS image of compact made Mo-W powders.
KPMI-30-5-436_F5.gif
Table 1
Relative density of Mo-W sintered compact
Mass in air (g) Mass in water (g) Theoretical density (g/cm3) Relative density (g/cm3)
4.927 4.511 11.9 11.84
Fig. 6(a)는 결정립 크기 분석을 위해 etched surface를 분석한 결과로 특정 방향성 없이 5 μm 이하의 결정립이 균일하게 분포하는 것을 가지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Fig. 6(b)의 결정립 크기 분포 결과에서 볼 수 있듯이 평균 3.43 μm 크기의 결정립을 가짐을 확인하였다. Fig. 7은 Mo-W 소결체의 inverse pole figure(IPF)를 나타내며, 이를 통해 특정 방향성 없이 결정립이 형성되었음을 확인하였다.
Fig. 6
(a) SEM image of sintered compact on the etched surface. (b) Grain size distribution.
KPMI-30-5-436_F6.gif
Fig. 7
Inverse pole figure of the Mo-W sintered compact.
KPMI-30-5-436_F7.gif
본 연구에서는 Pechini 공정 및 하소, 한원 공정을 통해 Mo-W 합금 분말을 제조하고, SPS를 통해 Mo-W 소결체 를 제조하고, 미세조직 및 상대밀도 분석을 진행하였다. 제조된 소결체는 SPS의 빠른 승온 및 냉각 속도와 Pechini 공정으로 인한 분말 미세화와 균일성으로 인해 99% 이상 의 높은 밀도 및 평균 3.43 μm 크기의 미세한 결정립을 가 짐을 확인하였다. 이를 우수한 특성의 Mo-W 타겟 제조가 가능할 것으로 기대되며, 다양한 응용분야에서 고순도 박 막 제조에 응용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Acknowledgements
본 연구는 2020년도 정부(산업통상자원부)의 재원으로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의 지원(20011520, 스크랩을 활 용한 정밀가공용 100 nm급 텅스텐계 소재 및 공구제조기 술 개발) 및 2021년도 정부(산업통상자원부)의 재원으로 한국에너지기술평가원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 (20217510100020, 저품위 공정 폐액으로부터 희소금속 회 수 공통 핵심(농축, 분리회수)공정 플랫폼 구축 및 소재화 기술 개발).
  • 1. H.-K. Park, J.-H. Ryu, H.-J. Youn, J.-M. Yang and I.-H. Oh: Mater.Trans., 53 (2012) 1056.Article
  • 2. Q. Chen, S. Liang, B. Li, Z. Chen, X. Song and L. Zhuo: Int. J. Refract. Met. Hard Mater., 100 (2021) 105668.Article
  • 3. H. Zhang and G.-H. Zhang: Met. Mater. Int., 27 (2021) 1649.Article
  • 4. S. Majumdar, G. Kale and I. Sharma: J. Alloys Compd., 394 (2005) 168.Article
  • 5. S. Chakraborty, S. Banerjee, G. Sanyal, V. Bhave, B. Paul, I. Sharma and A. Suri: J. Alloys Compd., 501 (2010) 211.Article
  • 6. B. Paul, P. Limaye, R. Hubli and A. Suri: Int. J. Refract. Met. Hard Mater., 44 (2014) 77.Article
  • 7. R. Ohser-Wiedemann, U. Martin, A. Müller and G. Schreiber: J. Alloys Compd., 560 (2013) 27.Article
  • 8. J.-K. Chen, B.-H. Tsai and H.-S. Huang: Mater. Trans., 56 (2015) 665.Article
  • 9. C. A. Michaluk: J. Electron. Mater., 31 (2002) 2.Article
  • 10. R. H. Castro and D. Gouvêa: J. Am. Ceram. Soc., 99 (2016) 1105.Article
  • 11. M. Zhao, J. Wang, W. Liu and M. Zhou: J. Phys. Conf. Ser., 188 (2009)Article
  • 12. F. Eder, M. Weil, W.-D. Schubert and C. Gierl-Mayer: Cryst. Growth Des., 21 (2021) 6195.Article
  • 13. Y. Chai, F. Ha, F. Yam and Z. Hassan: Procedia Chem., 19 (2016) 113.Article
  • 14. A. E. Danks, S. R. Hall and Z. Schnepp: Mater. Horiz., 3 (2016) 91.Article
  • 15. A. G. Porter, H. Hu, X. Liu, A. Raghavan, S. Adhikari, D. R. Hall, D. J. Thompson, B. Liu, Y. Xia and T. Ren: Dalton Trans., 47 (2018) 11882.ArticlePubMed
  • 16. M. Juelsholt, O. Aalling-Frederiksen, T. L. Christiansen, E. T. Kjær, N. Lefeld, A. Kirsch and K. M. Jensen: (2023).
  • 17. W. R. Thalgaspitiya, T. K. Kapuge, J. He, D. Rathnayake, P. Kerns and S. L. Suib: ACS Appl. Mater. Interfaces, 12 (2020) 5990.Article
  • 18. M. Sharma, M. Pathak and P. N. Kapoor: Asian J. Chem., 30 (2018) 1405.Article
  • 19. L. Dimesso: Handbook of Sol-Gel Science and Technology, 2 (2016) 1.Article
  • 20. A. Chithambararaj, D. B. Mathi, N. R. Yogamalar and A. C. Bose: Mater. Res. Express, 2 (2015) 055004.Article
  • 21. E. Lassner and W.-D. Schubertr: Springer Science & Business Media, (1999).
  • 22. P. K. Sahoo, S. K. Srivastava, S. S. K. Kamal and L. Durai: Int. J. Refract. Met. Hard Mater, 51 (2015) 124.Article
  • 23. V. Uvarov and I. Popov: Mater. Charact., 58 (2007) 883.Article
  • 24. M. Saghafi, S. Heshmati-Manesh, A. Ataie and A. Khodadadi: Int. J. Refract. Met. Hard Mater., 30 (2012) 128.Article
  • 25. S. H. Kim, D.-G. Kim, Y. I. Seo and Y. D. Kim: Rev. Adv. Mater. Sci, 28 (2011) 141.

Figure & Data

References

    Citations

    Citations to this article as recorded by  

      • PubReader PubReader
      • Cite this Article
        Cite this Article
        export Copy Download
        Close
        Download Citation
        Download a citation file in RIS format that can be imported by all major citation management software, including EndNote, ProCite, RefWorks, and Reference Manager.

        Format:
        • RIS — For EndNote, ProCite, RefWorks, and most other reference management software
        • BibTeX — For JabRef, BibDesk, and other BibTeX-specific software
        Include:
        • Citation for the content below
        Fabrication and Sintering Behavior Analysis of Molybdenum-tungsten Nanopowders by Pechini Process
        J Powder Mater. 2023;30(5):436-441.   Published online October 1, 2023
        Close
      • XML DownloadXML Download
      Figure
      • 0
      • 1
      • 2
      • 3
      • 4
      • 5
      • 6
      Related articles
      Fabrication and Sintering Behavior Analysis of Molybdenum-tungsten Nanopowders by Pechini Process
      Image Image Image Image Image Image Image
      Fig. 1 Schematic illustration of preparation process of Mo-W sintered compact.
      Fig. 2 XRD pattern o f powder during the p rocess, (a) a ssynthesized, (b) after calcination, (c) after hydrogen reduction.
      Fig. 3 SEM image of (a) as-synthesized powder, (b) oxide powder after calcination, and (c) SEM and EDS image of MoW powder after hydrogen reduction.
      Fig. 4 XRD pattern of sintered compact made MoW powder.
      Fig. 5 SEM and EDS image of compact made Mo-W powders.
      Fig. 6 (a) SEM image of sintered compact on the etched surface. (b) Grain size distribution.
      Fig. 7 Inverse pole figure of the Mo-W sintered compact.
      Fabrication and Sintering Behavior Analysis of Molybdenum-tungsten Nanopowders by Pechini Process
      Mass in air (g) Mass in water (g) Theoretical density (g/cm3) Relative density (g/cm3)
      4.927 4.511 11.9 11.84
      Table 1 Relative density of Mo-W sintered compact


      Journal of Powder Materials : Journal of Powder Materials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