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Navigation
Skip to contents

Journal of Powder Materials : Journal of Powder Materials

OPEN ACCESS
SEARCH
Search

Articles

Page Path
HOME > J Korean Powder Metall Inst > Volume 22(6); 2015 > Article
ARTICLE
뫼스바우어선원 적용을 위한 58Ni 표적체 및 Co가 확산된 Rh복합재 제조
엄영랑*, 최상무, 김종범, 손광재
Synthesis of 58Ni Target and Co Diffused Rh Composite for Application of Mössbauer Source
Young Rang Uhm*, Sang Mu Choi, Jong-bum Kim, Kwang Jae Son
Journal of Korean Powder Metallurgy Institute 2015;22(6):432-437.
DOI: https://doi.org/10.4150/KPMI.2015.22.6.432
Published online: November 30, 2015

한국원자력연구원 동위원소이용연구부

Radioisotope Research Division, Korea Atomic Energy Research Institute, Daejeon 34057, Korea

*Corresponding author: Young Rang Uhm, +82-42-868-4835, +82-42-866-6217, uyrang@kaeri.re.kr
• Received: November 11, 2015   • Revised: December 6, 2015   • Accepted: December 7, 2015

© The Korean Powder Metallurgy Institute All rights reserved

This is an Open-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3.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 209 Views
  • 2 Download
prev next
  • The en-riched 58Ni powders are dissolved in acid solution and coated on a Cu target for proton irradiation at cyclotron to produce 57Co radioisotope. The condition of the plating bath and the coating process are determined using the en-riched powders. To establish the coating conditions for 57Co, non-radioactive Co ions are dissolved in an acid solution and electroplated on to a rhodium plate. The thermal diffusion of electroplated Co into a rhodium matrix was studied to apply a 57Co Mssbauer source. The diffusion depth from surface to matrix of Co is depended on the annealing temperature and time. The deposited Co atoms diffuse completely into a rhodium (Rh) matrix without substantial loss at an annealing temperature of 1200 for 4 hours.
뫼스바우어분광기에 사용되는 선원으로 가장 많이 이용 되는 것은 cobalt-57(57Co)을 Rhodium (Rh) 기지체에 균일 확산시킨 57Co/Rh 선원이다[1]. 방사성동위원소(radioisotope, RI)인 57Co은 도금기법으로 Rh기지에 코팅 된 후 열처리 로 균일 확산 시켜 제조한다. Rh금속 기지체에 균일 확산 된 57Co은 이웃한 물질들과 감마선 공명이 가능한 상태가 된다. 공명현상은 Sodium (Na)광선을 Na가스가 들어있는 유리구에 쪼일 때 황색 빛이 나오는데, 이 황색광은 Na 광 선의 광양자가 유리 구 내에 있는 Na 가스의 원자를 바닥 준위(ground state)에서 들뜬 준위(excited state)로 올릴 때 입사한 에너지를 그대로 흡수 한 후, 다시 바닥 준위로 떨 어질 때, 입사한 에너지와 같은 크기를 갖는 황색 광선을 재 방출하게 된 것이다. 즉, ΔE의 에너지 전이가 다음 물 질에도 똑같이 전달되는 개념이다. 이를 원자핵에 적용해 본다면, 핵으로부터 방출되는 감마선 (γ-ray)에 대한 공명 현상을 기대할 수 있다. 그러나 실제로는 감마선이 방출 또는 흡수될 때는 되튐에너지(recoil, ER)가 발생하게 되어, ΔE의 에너지 전이가 발생하지 않고 ΔE-ER의 전이가 발생 한다. 때문에 감마선의 공명현상은 자연적으로는 관측이 불가능하다. 그런데 감마선을 방출 또는 흡수하는 원자핵 을 고체 내에 구속시키면, 고체 전체가 되튐운동량을 흡수 하기 때문에 되튐에너지는 실질적으로 영(zero)이 된다. 이러한 퇴튐없는(recoilless) 감마선의 방출 또는 흡수를 뫼 스바우어(Mssbauer)효과라고 하며[2-3], 이 원리를 이용하여 핵물리학, 결정학, 화학, 생물학, 지질학, 물리 금속학 등의 연구에 사용되는 측정 장치가 뫼스바우어분광기이다 [3]. 일 반적으로 주기율표 내 절반이상의 원자들이 뫼스바우어효 과를 보이나 측정 장치에 응용할 수 있는 적절한 반감기를 가진 방사성동위원소(radioisotope, RI)는 57Co, 119mSn, 151Eu, 237Np, 155Gd, 197Pt정도로 요약할 수 있다[3-6]. 이중 가장 범 용으로 사용되는 RI는 57Co이다. Iron(Fe)은 지구상에 가 장 풍부한 물질로 볼 수 있으며, 이 Fe와 Fe화합물에 존 재하는 동위원소인 57Fe와 감마선 공명이 가능한 것이 57Co이다. 때문에 대부분의 뫼스바우어분광기는 57Co를 선 원으로 사용하는 장치가 많다.
이러한 57Co를 만드는 제조과정은 58Ni을 표적체에 도금 하는 것으로 시작된다. 농축동위원소인 58Ni은 일반 Ni분 말을 레이저로 기화시킨 후, 금속의 기체를 원심 분리시켜 제조한다. 이렇게 제조된 58Ni을 산에 녹여 도금용액으로 만들어 표적체에 도금 후 양성자조사를 하여 57Co을 제조 한다. 57Co의 감마선 퇴튐에너지를 없애기 위하여 Cu, Au, Fe, Pt, Rh, Pd와 같은 금속 내에 57Co을 확산시킨다. RI인 57Co를 금속 기판에 붙일 때는 전기도금기법을 활용하게 된다[7-9]. 전기도금 방식으로 선원을 코팅하는 이유는 다 른 증착 기법보다 취급이 용이할 뿐 아니라 폐기물관리와 오염 방지 측면에서 이점이 있다. 기지체로 사용되는 금속 은 Rh과 Pd과 같이 융점이 높고 Co의 되튐에너지를 0으 로 만들 수 있는 질량(원자량)이 큰 금속이 유리하다.
57Co은 양성자를 이용하는 싸이클로트론(Cyclotron) 조 사 핵종이다.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57Co 뫼스바우 어선원을 제조하는 전 공정의 최적 조건을 도출하기 위하 여 58Ni을 사용하는 싸이클로트론 조사표적 제조 및 Co를 Rh에 전기도금 후 확산 열처리조건을 도출하였다. 이헐게 개발된 제조공정은, 향 후 뫼스바우어선원을 제조하는 RI 를 사용하는 공정에 그대로 적용하고자 한다.
2.1. 싸이클로트론(Cyclotron) 조사용 표적 제조
염산(HCl)과 DI-water를 9:1 비율로 섞은 용액에 농축분 말 58Ni (Isoflex, 99.6%) 5 g을 용해하여 Ni chloride 도금 용액을 제조하였다. 본 실험에 사용된 Ni 도금용액의조성 및 도금조건이 표 1에 제시되었다. 금속 Ni을 표적에 전 기도금 하기 위해 사용한 장비는 Potentiostat/Galvanostat (Versastat3)이다. 양극(산화전극, anode)으로는 Platinum(Pt) 전극(mesh 형태, 25 mm × 135 mm × 1 mm)을 사용하였 고, 음극(환원전극, cathode)으로는 copper(Cu) 표적을 사 용하였다. 표적의 크기는 그림 1에 나타내었다.
Fig. 1.

An illustration of Cu target for proton irradiation at cyclotron.

KPMI-22-432_F1.gif
Table 1.

The basic composition of the Chloride bath for electroplating 58Ni for the target

Materials Condition (500 ml)

58NiCl2·6H2O 0.187 M
H3BO3 0.4 M
NaCl 0.7 M
Saccharin 1 g
Control factors Plating condition
Applied current 750 mA (0.75A)
Current density 30 mA/cm2
Temperature 40°C
Thickness 105 µm
Plating time 10,251 s
2.2. Rh기지 확산 Co 제조
기지 체 내 Co의 확산 조건을 도출하기 위하여 CoCl2를 이용하여 원형의 Rh-foil에 전기도금 공정을 이용하여 코 팅하였다. 도금용액과 도금조건은 표 2에 나타내었다. 전 기도금 공정으로 Co 도금을 수행하기 위해 사용한 장비는 Potentiostat/Galvanostat(Versastat3)이다. Co가 0.16 M이 되도록 황산 기반의 sulfamate용액으로 제조하였다. H3BO3 를 buffer로 활용하였으며, pH는 KOH를 사용하여 2.5±0.2까 지 조절하였다. 도금 기판은 직경 5 mm의 원형 기판에 99.99%의 Rh foil을 음극으로 사용하였다. 양극기판은 Pt 가 코팅된 Ti mesh를 사용하였다. 도금된 Co의 확산 열처 리는, 1000, 1100, 1200°C에서 전기로를 이용하여 Ar 분위 기 하에서 열처리시간에 변화를 주면서 수행하였다. 열처 리 전 진공을 빼고 Ar을 흘려주었다. 열처리 중 압력은 100 mTorr를 유지하였다.
Table 2.

Thickness of coating layer of Co and annealing condition for Co/Rh

Sample Plating Thickness Heating Condition

1-1 4.5 mm 1100 - 1h 100 mTorr / Ar
1-2 4.5 mm 1100 - 3h 100 mTorr / Ar
1-3 4.5 mm 1100 - 5h 100 mTorr / Ar
2-1 4.5 mm 1200 - 1h 100 mTorr / Ar
2-2 4.5 mm 1200 - 3h 100 mTorr / Ar
2-3 4.5 mm 1200 - 4h 100 mTorr / Ar
2-4 4.5 mm 1200 - 5h 100 mTorr / Ar
제조된 58Ni 표적 및 Co도금 층 평가는 주사전자현미경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SEM)을 이용하여 관찰하 였으며, 확산 열처리 후 Co의 Rh기지체 확산은 Energy dispersive X-ray spectra (EDS)를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표적제조를 위하여 안정동위원소인 58Ni을 녹여 도금용 액으로 제조 하였다. 농축분말은 제조 과정 중 기체 상태 에서 원심분리공정을 거쳐 58Ni과 62Ni 등으로 분리되고, 냉각과정을 거쳐 분말 화 된다. 도금 용액을 제조하는 과 정에서 Ni분말을 강산에 용해시키는데, 농축분말 제조 과 정에서 부동태 피막 및 질화물 등의 형성으로 강산에도 녹지 않는 분말이 생성되어 약 13%가 녹지 못하고 남게 됨을 확인하였다. 용액 내 몰 농도 확인을 위하여 ICPmass를 측정하여 이 값으로 도금용액 내 금속 Ni의 농도 가 0.187 M (Mole)임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싸이클로트론 (Cyclotron) 조사용 표적으로 사용을 위해, 이 도금용액을 이용하여 타원 표적 체 표면에 전기 도금하였다. 도금은 그림 2와 같이 용액 내에서 NiCl2가 양이온 Ni2+로 존재하 면서 전류를 흘리게 되면 불용성 기판인 양극에서 생성된 용액 내 2e−와 반응하여 Cu기판 표면에서 환원되어 전착 하게 된다. 전착 시 전류밀도는 30 mA/cm2를 사용하여 도 금 하였다. 표적의 두께가 109 μm가 되도록 도금시간을 결정하였다. 도금 시간은 faraday 법칙에 의하여 결정된다 [7]. 도금된 기판의 두께는 SEM을 이용하여 일정 두께로 코팅되었음을 확인 하였다. 또한 조사용 표적은 경사표적 으로 그림 3(a)와 같다. 또한, 경사표적에 코팅된 58Ni의 단면을 SEM으로 측정하여 그림 3(b)에 나타내었다. 도금 층이 균일하게 코팅된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이렇게 균일 하게 도금된 표적을 양성자 조사로 58Ni(p,2p), 58Ni(p,pn), 58Ni(p,2n) 반응을 하여 57Co로 변환 시킨다. 표적체에 코 팅되어 변환된 57Co은 0.5 M 질산(HNO3) 용액으로 코팅 부분만 녹여 이온교한 수지로 57Co만 분리한 후 0.1 M 염 산 (HCl) 용액 내에 CoCl2 상으로 보관한다.
Fig. 2.

Schematic illustration for the mechanism of electroplating.

KPMI-22-432_F2.gif
Fig. 3.

Photographs of a target before and after electroplating 58Ni for irradiation at cyclotron. A cross section image of a electroplated 58Ni on Cu target.

KPMI-22-432_F3.gif
감마선 공명 현상을 보이는 57Co/Rh선원제조를 위하여 Rh foil에 Co를 도금하는 조건을 도출할 필요가 있다. 도 금조건 도출을 위한 실험은 방사성동위원소가 아닌 CoCl2 를 이용하여 제조하였다. Co의 도금은 음극에 Rh기판을 놓고 양극에 Pt이 코팅된 전극을 사용하였으며, 전류를 흘 려 줄 때 양이온인 Co2+ 이온이 2e와 반응하여 Rh 기판 표면에서 환원되어 코팅되게 된다. 도금 조건은 전류밀도 를 20 mA/cm2로 유지하고 27°C에서 수행하였다. 도금 두 께는 4.5 μm이 되도록, Faraday 법칙으로부터 도금 시간 을 결정하였다[10]. 도금된 Rh기판의 확산열처리는 진공 후 Ar 분위기에서 수행하였다. 도금조건과 확산 열처리 조건은 표 2에 나타내었다. 열처리 조건은 진공 후 Ar 분 위기에서 압력은 100 mTorr를 유지하였다. 이전 연구에서 Co가 Cu에 코팅된 경우는 900°C 부터 Co의 이동이 가능 하였으나 기지 체가 Cu보다는 융점이 월등히 낮으므로 1100°C 부터 확산열처리를 시작하였고, 실제로 1시간 경 과 후부터 Co원자가 Rh 내부로 침투하기 시작하여 3시간 이 경과 하면 Co원자들이 Rh 기지 체 내부에 위치함을 확 인할 수 있었다[11].
그림 4는 Co가 도금된 Rh기판의 표면과 단면, 그리고 EDS 결과이다. Rh표면에 구형의 Co가 균일한 입도로 코 팅되어 있음을 학인 할 수 있었다. 또한 단면 사진에서 Co 가 Rh기판 위에 일정 두께로 코팅 된 것을 확인 하였으며, EDS분석으로 표면에는 Co가 존재하고 기판에는 Rh원소 만이 분포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코팅 층의 두께는 도금 후 바로 광학 현미경으로도 확인하였다.
Fig. 4.

SEM images for (a) surface of Co layer on Rh foil, (b) corss section images for Co coated Rh foil. Mapping of EDS for (c ) Co layer, and (d) Rh layer in SEM image of (b).

KPMI-22-432_F4.gif
코팅된 Co/Rh 기판을 열처리 온도 및 시간의 변화를 주 면서 코팅 기판 단면을 EDS를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열처 리 조건에 따른 확산 정도를 비교한 결과 같은 온도에서 시간이 길수록 확산이 잘됨을 확인 하였다.
그림 5는 1100°C에서 1시간 열처리한 경우와 열처리 시 간을 늘려, 3시간과 5시간까지 열처리를 수행한 결과이다. 도금 두께 4.5 μm인 Co/Rh 판을 열처리 한 것이다. EDS 분석 결과 5시간 열처리를 수행한 경우, Co입자가 확산되 어 Rh기지 내부까지 확산 되어있음을 확인 하였다. Rh의 융점인 1966°C이고 Co의 융점은 1495°C 이므로 확산 열 처리 시 융점이 낮은 Co가 먼저 움직인다. 온도를 1100°C 와 1200°C에서 똑같이 1시간 열처리한 경우 그림 6과 같 이 도금 층의 두께는 4.5 μm였으며, 온도가 높아지면서 Co의 이동속도가 좀더 빨라졌음을 확인하였다.
Fig. 5.

Mapping of EDS for Co layer annealed at 1100°C for (a) 1h, (b) 3 h, and (c) 5h, and Rh layer for (a') 1h, (b') 3 h, and (c') 5h.

KPMI-22-432_F5.gif
Fig. 6.

Mapping of EDS for Co layer annealed at (a) 1100°C, and 1200°C (b), and Rh layer annealed at (a') 1100°C, and (b') 1200°C for 1h.

KPMI-22-432_F6.gif
그림 7은 1200°C에서 3시간, 4시간 5시간을 열처리한 결과이다. 1200°C까지 높이면 확산열처리가 매우 균일하 게 잘된다. 1200°C에서 3~4시간 열처리 하는 것만으로도 매우 높은 확산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하지만 열처리 시간 이 5시간 이상 길어지면서 Co가 표면으로 몰리면서 표면 거칠기가 매우 심해지고 박리가 나타나는 것을 확인 하였다. 때문에 확산열처리 조건을 무조건 고온-장시간으로 유지하 는 것보다 적절한 시간을 확인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림 67을 비교해보면, 1100°C 5시간과 1200°C 3시간이 거의 유사 함을 확인 할 있다. 그러나 1100°C 5시간 열처리한 경우에 는 균일 확산이 되었어도, 시편 위 쪽 표면의 색이 더 진한 것으로 보여, 표면 쪽에 좀더 많은 Co가 존재하고 있음을 확 인 할 수 있었다. 1200°C에서 5시간 이상 열처리할 경우 Co 가 많이 움직이면서 표면에서 Rh기판이 드러나는 것을 볼 수 있다. 이 경우 Co원자간의 응집이 심해져 Rh원자들 사이 에 존재하는 경우보다는 Co끼리 뭉치는 경우가 있어 퇴튐에 너지를 0으로 만들지 못하여 뫼스바우어공명 흡수선의 흡수 율이 떨어질 우려가 있어 균일 확산 조건은 Ar분위기로 열 처리 할 경우 1200°C에서 4시간 유지시켜주는 것이 바람직 할 것이다. 향 후, 이 조건으로 57Co를 사용하여 그대로 제조 하여 밀봉선원으로 제조 한 후 뫼스바우어 분광기에 사용하 여 25~30 μm 두께를 갖는 α-57Fe foil을 측정하여 흡수율과 공명흡수선의 위치가 정확한지 여부를 확인하여 제조조건 을 확립할 것이다.
Fig. 7.

Mapping of EDS for Co layer annealed at 1200°C for (a) 3h, (b) 4 h, and (c) 5h, and Rh layer for (a') 3h, (b') 4 h, and (c') 5h. Photographs for Co/Rh foil annealed at 1200°C for (a'') 3h, (b'') 4 h, and (c'') 5h.

KPMI-22-432_F7.gif
뫼스바우어선원용 57Co제조를 위하여 사이클로트론 조사 용 58Ni표적을 제조하였다. 농축분말 58Ni의 도금 조건을 도 출하였으며 표적체 제조를 위한 도금조를 설계하였다. 제조 된 표적의 두께는 105 μm로 균일하였다. 또한, Co/Rh의 제 조조건을 도출하기 위하여, Co-sulfamate 용액을 제조 후 Rh plate 기판에 두께가 4.5 μm가 되도록 코팅하였다. Co가 Rh 기지 내에 구속되는 확산열처리 조건은 Ar 분위기에서 온도 를 1200°C로 4시간 유지시켜 줄 경우 균일 확산이 잘되는 것을 확인하여 이를 RI사용 실험에 적용할 것이다.
Acknowledgements
이 연구는 한국원자력연구원 2015년도 창의연구사업으 로 수행되었습니다.
  • 1. CJ Song and JG Mullen, Nucl. Instrum. Methods. (1977) 140 –81.
  • 2. CS Kim, SY An, YR Uhm, SW Lee, YB Kim and CS Kim, J. Appl. Phys. (1998) 83 –6929.
  • 3. A Mustachi, Nucl. Instrum. Methods. (1964) 26 –219.
  • 4. J Stephen, Nucl. Instrum. Methods. (1964) 26 –269.
  • 5. V Rusanov, V Gushterov, L Tsankov, LH Bttger and AX Trautwein, Nucl. Instrum Methods Phys. Res. B. (2010) 269 –145.
  • 6. W Zhang, Z Wang, S Aibao, S Dengqui, T Fan and Q Su, Appl. Radiat. Isot. (1990) 41 –783.
  • 7. I Cieszykowska, M óttowska and M Mielcarski, Appl. Radiat. Isot. (2011) 69 –142.
  • 8. R Gonzales-Ram rérz, H Jiménez-Dominguez, O Solorza-Feria, E Ordonez-Regil, A Cabral-Prieto and S Bulbulian, J. Radioanal. Nucl. Chem. (1993) 174 –291.
  • 9. Cieszykowska Izabela, Zółtowska Ma gorzata, Zachariasz Piotr, Piasecki Andrzeja, Janiak Tomasz and Mielcarski Mieczysław, Appl. Radiat. Isot. (2011) 69 –1193.
  • 10. YR Uhm, KY Park and SJ Choi, Res. Chem. Intermed. (2015) 41 –4141.
  • 11. SM Choi and YR Uhm, J. Korean. Mag. Soc. (2014) 24 –1, (Korean).

Figure & Data

References

    Citations

    Citations to this article as recorded by  

      • Cite this Article
        Cite this Article
        export Copy Download
        Close
        Download Citation
        Download a citation file in RIS format that can be imported by all major citation management software, including EndNote, ProCite, RefWorks, and Reference Manager.

        Format:
        • RIS — For EndNote, ProCite, RefWorks, and most other reference management software
        • BibTeX — For JabRef, BibDesk, and other BibTeX-specific software
        Include:
        • Citation for the content below
        Synthesis of 58Ni Target and Co Diffused Rh Composite for Application of Mössbauer Source
        J Korean Powder Metall Inst. 2015;22(6):432-437.   Published online December 1, 2015
        Close
      • XML DownloadXML Download
      Figure
      • 0
      • 1
      • 2
      • 3
      • 4
      • 5
      • 6
      Synthesis of 58Ni Target and Co Diffused Rh Composite for Application of Mössbauer Source
      Image Image Image Image Image Image Image
      Fig. 1. An illustration of Cu target for proton irradiation at cyclotron.
      Fig. 2. Schematic illustration for the mechanism of electroplating.
      Fig. 3. Photographs of a target before and after electroplating 58Ni for irradiation at cyclotron. A cross section image of a electroplated 58Ni on Cu target.
      Fig. 4. SEM images for (a) surface of Co layer on Rh foil, (b) corss section images for Co coated Rh foil. Mapping of EDS for (c ) Co layer, and (d) Rh layer in SEM image of (b).
      Fig. 5. Mapping of EDS for Co layer annealed at 1100°C for (a) 1h, (b) 3 h, and (c) 5h, and Rh layer for (a') 1h, (b') 3 h, and (c') 5h.
      Fig. 6. Mapping of EDS for Co layer annealed at (a) 1100°C, and 1200°C (b), and Rh layer annealed at (a') 1100°C, and (b') 1200°C for 1h.
      Fig. 7. Mapping of EDS for Co layer annealed at 1200°C for (a) 3h, (b) 4 h, and (c) 5h, and Rh layer for (a') 3h, (b') 4 h, and (c') 5h. Photographs for Co/Rh foil annealed at 1200°C for (a'') 3h, (b'') 4 h, and (c'') 5h.
      Synthesis of 58Ni Target and Co Diffused Rh Composite for Application of Mössbauer Source
      Materials Condition (500 ml)

      58NiCl2·6H2O 0.187 M
      H3BO3 0.4 M
      NaCl 0.7 M
      Saccharin 1 g
      Control factors Plating condition
      Applied current 750 mA (0.75A)
      Current density 30 mA/cm2
      Temperature 40°C
      Thickness 105 µm
      Plating time 10,251 s
      Sample Plating Thickness Heating Condition

      1-1 4.5 mm 1100 - 1h 100 mTorr / Ar
      1-2 4.5 mm 1100 - 3h 100 mTorr / Ar
      1-3 4.5 mm 1100 - 5h 100 mTorr / Ar
      2-1 4.5 mm 1200 - 1h 100 mTorr / Ar
      2-2 4.5 mm 1200 - 3h 100 mTorr / Ar
      2-3 4.5 mm 1200 - 4h 100 mTorr / Ar
      2-4 4.5 mm 1200 - 5h 100 mTorr / Ar
      Table 1. The basic composition of the Chloride bath for electroplating 58Ni for the target

      Table 2. Thickness of coating layer of Co and annealing condition for Co/Rh


      Journal of Powder Materials : Journal of Powder Materials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