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한국생산기술연구원
b 전북대학교 금속공학과
a Korea Institute of Industrial Technology (KITECH), 1110-9 Oryong-dong, Buk-gu, Gwangju-city 500-480, Korea
b Division of Advanced Materials Engineering, Chonbuk National University, Jeonbuk 561-756, Korea
© The Korean Powder Metallurgy Institute. All rights reserved.
Cu-Mn compact | Density (%) | Grain size (μm) | ||
---|---|---|---|---|
|
||||
PCAS | Ref, | PCAS | Ref. | |
|
||||
Center | 99.2 | 98.3 | 23.91 | 52.4 |
Edge | 99.1 | 97.4 | 21.47 | 63.7 |
Cu-Mn 소결체는 520°C부터 급격하게 소결이 진행되 며, 700°C 온도에서 소결이 완료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소결압력이 증가할수록 입자간의 평균자유행로가 짧아져 소결이 빨리 진행되고 상대밀도 또한 증가하였다. 특히 700°C-60 MPa조건에서 소결된 소결체의 상대밀도는 이론 밀도에 가까운 100%의 고밀도를 얻을 수 있었다.
Cu-Mn 소결체의 X선 회절분석 결과, 모든 압력조건 에서 초기 원료분말과 동일한 Cu단일상만 분석되었다. 가 스 분술물의 혼입으로 인한 금속산화물과 같은 제 2차상 은 관찰되지 않았으며, 이는 고진공 하에서의 공정 및 단 시간의 소결에 의한 결과라고 생각된다. Mn의 미분석 이 유로는 고용한도 이내로 첨가되어 전율고용체로 존재하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소결압력 변화에 따라 제조된 소결체는 소결압력이 증가할수록 73.1%에서 최대 100%로 고밀도의 상대밀도 를 가지는 것으로 분석되었고, 마찬가지로 소결압력이 증 가할수록 31.4 μm에서 22.1 μm 크기의 미세결정립을 가 지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소결압력이 증가할수록 고밀도 및 미세결정립을 가지는 이유는 소결시 인가된 소결압력 은 소결에 대한 구동력을 증가시키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소결온도 700°C, 소결 압력 60 MPa로 제조된 소결체 의 순도 측정결과 초기 분말 99.992%와 동일한 99.992% 의 순도를 확인하였으며, 이는 펄스통전활성 소결공정 시 분말과 분말사이에 스파크 발생으로 인하여 소결체의 청 정효과를 통한 불순물의 혼입 억제가 가능한 것으로 판단 된다.
소결온도 변화에 따른 Cu-Mn 소결체의 파단면의 소 결거동을 관찰한 결과 소결온도 600°C에서 소결압력 유무 에 따라 취성파괴 및 딤플파괴가 발생하였다. 600°C 이후 의 소결온도에서는 취성파괴보다는 딤플파괴 현상만이 발 생하였다. 이는 분말과 분말의 결합력 상승에 따른 소성변 형에 의한 것으로 판단된다.
펄스통전활성 소결법 및 주조법으로 제조된 타겟을 이용하여 Cu-Mn 박막 제조시 플라즈마 발화를 위한 최초 아크 발생을 제외한 공정 중 아크 발생은 발생하지 않았 다. 두 박막 모두 약 450 nm 크기의 라멜라 구조를 가진 박막으로 제조되었으며, 4 point probe를 이용한 비저항 측정결과 펄스통전활성 소결법으로 제조된 박막이 6.112 × 10−6 Ωcm로 좀 더 높은 특성을 가지는 것으로 분석되 었다.
Cu-Mn compact | Density (%) | Grain size (μm) | ||
---|---|---|---|---|
|
||||
PCAS | Ref, | PCAS | Ref. | |
|
||||
Center | 99.2 | 98.3 | 23.91 | 52.4 |
Edge | 99.1 | 97.4 | 21.47 | 63.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