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arning: mkdir(): Permission denied in /home/virtual/lib/view_data.php on line 81

Warning: fopen(upload/ip_log/ip_log_2024-05.txt): failed to open stream: No such file or directory in /home/virtual/lib/view_data.php on line 83

Warning: fwrite() expects parameter 1 to be resource, boolean given in /home/virtual/lib/view_data.php on line 84
Spindle-shaped Fe2O3 Nanoparticle Coated Carbon Nanofiber Composites for Low-cost Dye-sensitized Solar Cells
Skip Navigation
Skip to contents

Journal of Powder Materials : Journal of Powder Materials

OPEN ACCESS
SEARCH
Search

Articles

Page Path
HOME > J Powder Mater > Volume 23(2); 2016 > Article
Research Article
저비용 염료감응 태양전지를 위한 방추형 Fe2O3 나노입자가 코팅된 탄소나노섬유 복합체
오동현a, 안혜란a, 구본율b, 안효진a,b,*
Spindle-shaped Fe2O3 Nanoparticle Coated Carbon Nanofiber Composites for Low-cost Dye-sensitized Solar Cells
Dong-Hyeun Oha, HyeLan Ana, Bon-Ryul Koob, Hyo-Jin Ahna,b,*
Journal of Korean Powder Metallurgy Institute 2016;23(2):95-101.
DOI: https://doi.org/10.4150/KPMI.2016.23.2.95
Published online: March 31, 2016

a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신소재공학과

b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의공학-바이오소재 융합 협동과정 신소재공학프로그램

a Department of Materials Science and Engineering,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Seoul 01811, Korea

b Program of Materials Science & Engineering, Convergence Institute of Biomedical Engineering and Biomaterials,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Seoul 01811, Korea

*Corresponding Author: Hyo-Jin Ahn, +82-2-970-6622, +82-2-973-6657, hjahn@seoultech.ac.kr
• Received: April 6, 2016   • Revised: April 23, 2016   • Accepted: April 25, 2016

© The Korean Powder Metallurgy Institute. All rights reserved

  • 20 Views
  • 0 Download
  • 1 Crossref
  • Carbon nanofiber (CNF) composites coated with spindle-shaped Fe2O3 nanoparticles (NPs) are fabricated by a combination of an electrospinning method and a hydrothermal method, and their morphological, structural, and chemical properties are measured by field-emission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 Xray diffraction, and X-ray photoelectron spectroscopy. For comparison, CNFs and spindle-shaped Fe2O3 NPs are prepared by either an electrospinning method or a hydrothermal method, respectively. Dye-sensitized solar cells (DSSCs) fabricated with the composites exhibit enhanced open circuit voltage (0.70 V), short-circuit current density (12.82 mA/cm2), fill factor (61.30%), and power conversion efficiency (5.52%) compared to those of the CNFs (0.66 V, 11.61 mA/cm2, 51.96%, and 3.97%) and spindle-shaped Fe2O3 NPs (0.67 V, 11.45 mA/cm2, 50.17%, and 3.86%). This performance improvement can be attributed to a synergistic effect of a superb catalytic reaction of spindle-shaped Fe2O3 NPs and efficient charge transfer relative to the one-dimensional nanostructure of the CNFs. Therefore, spindle-shaped Fe2O3-NPcoated CNF composites may be proposed as a potential alternative material for low-cost counter electrodes in DSSCs.
염료감응 태양전지(Dye-Sensitized Solar Cells, DSSCs) 는 식물의 광합성 원리와 유사한 작동원리를 가지며, 태양 에너지로부터 전자의 흐름을 발생시켜 산화환원과정을 통 해 전기를 생산해 내는 시스템이다[1]. 염료감응 태양전지 는 간단한 구조, 저렴한 제조단가, 친환경성 및 소자의 투 명성과 유연성 등의 장점으로 인해 활발하게 연구가 진행 되고 있다[2]. 일반적으로 염료감응 태양전지는 염료 분자 가 흡착된 반도체 층이 도포된 작업전극, I/I3 산화환원 쌍을 포함하는 전해질과 촉매가 코팅된 상대전극으로 구 성되어있다[3, 4]. 이 중에서도 상대전극은 I/I3 산화환원 반응의 촉매 역할을 하는 구성요소로 염료감응 태양전지 의 광변환 효율 향상을 위해 우수한 촉매특성을 갖는 백 금촉매를 대표적으로 활용하고 있다. 그러나 순수 백금은 요오드 전해질과의 반응에 의한 요오드의 석출과 부식이 발생하여 광변환 효율의 감소가 야기될 뿐만 아니라 매장 량의 한계로 인해 다른 촉매들에 비하여 가격(~50 $/g)이 비싸다는 단점이 있다[5]. 이러한 이유로 최근에는 백금촉 매를 대체하기 위하여 탄소소재(탄소나노튜브, 그래핀, 탄 소나노섬유(CNFs)), 무기화합물소재(TiC, CoS, V2O5) 및 전도성 고분자소재(polyaniline, polypyrrole, poly(3,4- ethylenediozythiophene) (PEDOT)) 등이 다양하게 제시되 고 있다[6, 7]. 이 중에서도 탄소나노섬유는 저가격(~0.3 $/g), 높은 전기전도도(~105 S/cm), 넓은 비표면적(~448 m2/g) 및 요오드 전해질에 대한 화학안정성 등의 장점으로 인해 염료감응 태양전지의 상대전극으로 많은 관심을 받고 있 다[8, 9]. 그럼에도 불구하고 탄소나노섬유를 상대전극에 단독으로 사용할 경우 백금촉매보다 매우 낮은 광변환 효 율을 보이고 있어 많은 연구자들이 그들의 효율향상을 위 해 금속 및 무기화합물과의 복합화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 고 있다[10, 11]. 예를 들어 Saranya 등은 전기방사법을 이 용하여 TiC가 내재된 탄소나노섬유 복합체를 합성하였으 며, 내재된 TiC가 복합체에게 향상된 전자이동도를 제공 하여 기존 탄소나노섬유(3.1%)보다 향상된 광변환 효율 (4.5%)을 보고하였다[10]. 또한, Rameez 등은 전기방사된 탄소나노섬유에 Ni과 Co 나노입자가 내재된 복합체를 합 성하여 촉매특성과 전기전도도의 증가에 따른 탄소나노섬 유(3.13%)보다 향상된 광변환 효율(4.57%)을 보였다[11]. 이렇듯 현재까지 보고된 탄소나노섬유기반 복합체들은 전 반적으로 금속 및 무기화합물이 내재된 형태로 연구가 많 이 진행되고 있는 상황인 반면에 탄소나노섬유의 표면에 금속 및 무기화합물을 코팅하여 복합화하는 연구는 현재 까지 보고되지 않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저비용 상대전극을 개발하기 위 하여 방추형 Fe2O3 나노입자(nanoparticles, NPs)가 코팅된 탄소나노섬유 복합체를 전기방사법과 수열합성법을 이용 하여 제조하였다. 더욱이, 제조된 방추형 Fe2O3 나노입자 가 코팅된 탄소나노섬유 복합체의 형태적, 구조적, 화학적 분석을 수행하였고, 이를 통해 제작된 염료감응 태양전지 의 전기화학적 및 광기전력 특성을 평가하였다.
방추형 Fe2O3 나노입자가 코팅된 탄소나노섬유 복합체 는 전기방사법과 수열합성법을 이용하여 제조되었다. 먼 저, 10%의 polyacrylonitrile(PAN, Mw = 150,000 g/mol, Aldrich) 를 N,N-Dimethylformamide(DMF, Aldrich)에 3 시간 동안 용해시켜 전기방사용 용액을 제조하였다. 준비된 용액을 23 gauge 스테인리스 바늘이 장착된 주사기에 옮기고, Al 포집판과 바늘 팁 사이에 DC power supply (Powertron. Co., Ltd, Korea)를 이용해 13 kV를 인가하여 전기방사를 진행하였다. 이때 Al 포집판과 바늘 팁 사이에 거리는 15 cm, 실린지 펌프의 공급유량은 0.03 ml/h로 고정하였다. 이렇게 포집된 as-spun 나노섬유를 280°C에서 2시간 동안 안정화시킨 후 고순도(99.999%) 질소 분위기에서 800°C 로 2시간 동안 탄화시켜 탄소나노섬유를 제조하였다. 다 음으로 탄소나노섬유 표면에 카복실기(-COOH)와 하이드 록실기(-OH)를 형성시키기 위해서 탄소나노섬유를 질산 (Nitric acid, Junsei) 에칭액 안에서 5시간 동안 교반하고 30분씩 3번 증류수를 이용하여 세척한 후 50°C에서 건조 시켰다. 그런 다음, 수열합성법을 이용하여 준비된 에칭 탄소나노섬유 표면에 Fe2O3를 코팅하였다. 이를 위해 에 칭 탄소나노섬유와 Fe 전구체(iron(III) chloride hexahydrate, FeCl3·6H2O) 그리고 입자성장 조절제(sodium sulfate, Na2SO4)를 증류수에 넣고 교반기를 이용하여 분산시킨 후, 준비된 용액을 수열합성 반응기로 옮겨 100°C에서 12시간 동안 수열합성을 진행하였다. 수열합성된 반응물은 위와 동일하게 세척 및 건조한 다음에 200°C에서 2시간 동안 열처리하여 최종적으로 방추형 Fe2O3 나노입자가 코팅된 탄소나노섬유 복합체를 제조하였다. 이 때, 방추형 Fe2O3 나노입자가 코팅된 탄소나노섬유 복합체와 비교 분석하기 위해 방추형 Fe2O3 나노입자를 탄소나노섬유 없이 위와 동일하게 수열합성하여 제조하였다. 따라서 최종적으로 탄소나노섬유, 방추형 Fe2O3 나노입자 및 방추형 Fe2O3 나 노입자가 코팅된 탄소나노섬유 복합체를 염료감응 태양전 지의 상대전극으로 준비하였으며, 그들의 광변환 특성은 순수 백금 상대전극과 비교분석 하였다.
상대전극용 페이스트는 N-methylpyrrolidone(NMP, SAMCHUN) 내에 제조된 샘플들과 도전제로 사용되는 ketjen black(KJB, Alfa Aesar), 바인더로 사용되는 polyvinylidene difluoride(PVDF, Alfa Aesar)를 무게비로 각각 70, 20, 10% 첨가하여 혼합하였다. 균일하게 혼합된 잉크 는 스퀴즈 프린팅법을 이용하여 F-doped SnO2 glass(FTO, 8 Ω/□, Pilkington) 위에 코팅한 후 100°C에서 12시간 동 안 건조하였다. 여기서 스퀴즈 프린팅법은 스텐실을 적치 하여 형성한 홀에 스퀴즈로 잉크를 채워 넣어 코팅하는 방법을 의미한다. 이때 특성비교를 위한 순수 백금 상대전 극의 제조는 2-propanol(Aldrich) 내에 chloroplatinic acid hydrate(H2PtCl·xH2O, Aldrich)가 혼합된 용액을 스핀 코 팅 방법을 이용하여 FTO glass에 코팅한 후 450°C에서 30 분간 소결하여 실시하였다. 또한 작업전극용 페이스트는 증류수 내에 TiO2 나노입자(P25, Degussa)와 바인더로 사 용되는 hydroxypropyl cellulose(HPC, Mw = ~80,000 g/ mol), 분산제로 사용되는 acetyl acetone(Aldrich)을 첨가 한 후 3시간 동안 혼합하여 제조한 후, 스퀴즈 프린팅법을 이용해 FTO glass위에 코팅하고 500°C에서 1시간 동안 소 결하여 준비하였다. 이렇게 준비된 작업전극은 ethanol 내 에 0.5 mM N719(Ru(dcbpy)2(NCS)2, Solaronix)가 용해되 어 있는 용액에 24시간 동안 담가 N719 염료를 담지시켰 다. 마지막으로 준비된 상대전극과 작업전극을 샌드위치 구조로 조립하여 그 사이에 요오드 전해질을 주입시켜 최 종적으로 염료감응 태양전지를 제작하였다.
모든 샘플들의 구조 분석을 실시하기 위하여 주사전자 현미경(field-emission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FESEM, Hitachi S-4800)과 투과전자현미경(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 TEM, Tecnai G2)을 이용하였다. 또한, 결정구 조 및 화학적 결합상태는 X-선 회절분석(X-ray diffraction, XRD, Rigaku Rint 2500)과 X-선 광전자 주사법(X-ray photoelectron spectroscopy, XPS, ESCALAB 250)을 이용 하여 분석하였다. 샘플들을 이용하여 제작된 염료감응 태 양전지의 전기화학 특성은 50 mV/s의 전위주사속도에서 작업전극, 기준전극(Ag/AgCl) 및 상대전극(백금)으로 구 성된 3전극 시스템을 통해 측정된 순환전압전류곡선을 이 용하여 분석되었다. 또한 염료감응 태양전지의 내부 임피 던스는 10 mV의 AC 진폭과 100 kHz ~ 0.5 Hz의 주파수 범위에서 일정전위기(potentiostat/galvanostat, Eco Chemie, PGST302N)를 이용하여 측정되었다. 염료감응 태양전지의 광변환 특성은 1 sun(100 mA/cm2) 조건에서 인공태양 모 사장치(solar simulator, HS Technologies, PEC-L01)를 이 용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그림 1은 방추형 Fe2O3 나노입자가 코팅된 탄소나노섬 유 복합체의 제조를 위한 실험과정을 간략하게 보여준다. 먼저 방추형 Fe2O3 나노입자의 지지체인 탄소나노섬유는 전기방사법을 이용하여 제조하였다(그림 1(a)). 일반적으 로 탄소나노섬유의 표면은 대체로 C-C 결합으로 이루어 져 있어 다른 물질의 코팅이 제한된다. 이를 해결하기 위 해 탄소나노섬유에 질산용액을 이용하여 산처리를 실시하 였다(그림 1(b)). 그 결과 탄소나노섬유의 표면에 C-OH와 C=O 결합이 형성되어 수열합성법을 이용한 Fe2O3의 직접 적인 코팅이 실시되었다(그림 1(c)). 따라서 전기방사법, 질산에칭, 수열합성법의 3단계 공정방법을 이용하여 방추 형 Fe2O3 나노입자가 코팅된 탄소나노섬유 복합체를 성공 적으로 제조하였다.
Fig. 1

A schematic illustration of a fabrication process of spindle-shaped Fe2O3 NP coated CNF composites.

KPMI-23-95_F1.gif
그림 2는 (a) 탄소나노섬유, (b) 방추형 Fe2O3 나노입자, (c) 방추형 Fe2O3 나노입자가 코팅된 탄소나노섬유 복합체 의 주사전자현미경 이미지를 보여준다. 전기방사법으로 제조된 탄소나노섬유는 그림 2(a)에서 보여지듯이 매끄러 운 표면을 갖는 일차원 나노섬유의 형태를 보이며 약 181- 229 nm의 직경을 갖는다. 그림 2(b)에서 방추형 Fe2O3 나 노입자의 형성은 수열합성에 사용되는 Na2SO4에 의한 결 과이다. 즉, Na2SO4의 SO42−이 Fe이온과 결합하여 Fe2O3 가 형성되는데, 이 과정에서 SO42−의 O원자는 c-축과 평행 한 Fe 원자(5.02 Å) 보다는 원자간격이 유사한 c-축과 수 직인 Fe 원자(2.88 Å)에 흡수되어 c-축과 수직인 면의 성 장을 억제하게 된다[12, 13]. 이에 따라 Fe2O3 나노입자는 비등방성 성장을 통해 방추형 형상을 갖게 된다. 이에 반 해 그림 2(c)에서 방추형 Fe2O3 나노입자가 코팅된 탄소나 노섬유 복합체는 일차원 나노섬유 표면에 방추형 Fe2O3 나노입자가 고르게 코팅되어 거친 표면형상을 나타나며, 직경은 약 202-236 nm로 탄소나노섬유보다 다소 증가하 였다. 이러한 결과는 수열합성법을 통해 방추형 Fe2O3 나 노입자가 탄소나노섬유 표면에 성공적으로 코팅되었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탄소나노섬유 표면에 코팅된 방추형 Fe2O3 나노입자에 대해 더 자세히 조사하기 위하여 투과 전자현미경 분석을 실시하였다.
Fig. 2

FESEM images of (a) CNFs, (b) spindle-shaped Fe2O3 NPs, and (c) spindle-shaped Fe2O3 NP coated CNF composites.

KPMI-23-95_F2.gif
그림 3은 (a, c) 탄소나노섬유와 (b, d) 방추형 Fe2O3 나 노입자가 코팅된 탄소나노섬유 복합체의 투과전자현미경 이미지를 나타낸다. 그림 3(a)에서 보여지는 탄소나노섬유 는 전체적으로 균일한 명암을 보여준다. 이는 탄소나노섬 유가 단일상으로 구성되어 있음을 의미한다. 방추형 Fe2O3 나노입자가 코팅된 탄소나노섬유 복합체(그림 3(b)) 의 경우는 내부 영역에 밝은 명암을 띄는 나노섬유가 존 재하고, 그 표면 위로 어두운 명암을 띄는 방추형 형태의 나노입자들이 보여진다. 여기서 밝은 명암은 탄소나노섬 유에 어두운 명암은 Fe2O3 상에 해당되며, 이를 통해 수열 합성법을 통한 Fe2O3 나노입자가 탄소나노섬유 표면에 균 일하게 코팅되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그림 3(c)3(d)의 고배율 투과전자현미경 이미지에서도 확인되며, 표면에 존재하는 방추형 Fe2O3 나노입자의 우수한 촉매특 성과 He 등이 일차원 구조의 TiO2 나노튜브로 향상된 전 하이동특성을 보여 염료감응 태양전지의 광변환 특성을 향상시킨 결과를 나타낸 것[14]과 같이 내부에 존재하는 일차원 탄소나노섬유의 효율적인 전하이동에 의해 염료감 응 태양전지의 광변환 특성을 향상 시킬 수 있다.
Fig. 3

(a-b) Low-resolution and (c-d) high-resolution TEM images of CNFs and spindle-shaped Fe2O3 NP coated CNF composites, respectively.

KPMI-23-95_F3.gif
그림 4는 탄소나노섬유, 방추형 Fe2O3 나노입자 및 방추 형 Fe2O3 나노입자가 코팅된 탄소나노섬유 복합체의 X-선 회절분석 회절피크를 보여준다. 탄소나노섬유는 약 25° 부근에서 넓고 완만한 회절피크가 나타나며, 이는 비정질 구조를 갖는 graphite의 (002) 면에 해당한다[14]. 방추형 Fe2O3 나노입자의 경우는 24.8°, 33.2°, 35.8°, 41.1°, 50.1°, 53.5°, 61.3°, 63.6°에서 회절피크들이 관찰되며, 이는 rhombohedral 구조의 Fe2O3 (012), (104), (110), (113), (024), (116), (214), (300) 면(JCPDS card No. 040802, space group R3c[167])과 각각 일치한다. 이에 반해 방추형 Fe2O3 나노입자가 코팅된 탄소나노섬유 복합체는 graphite 의 완만한 회절피크와 Fe2O3의 (104), (110), (113), (024), (116), (300) 면에 해당하는 회절피크들이 동시에 나타난다. 이것은 방추형 Fe2O3 나노입자가 코팅된 탄소나노섬유 복 합체가 탄소나노섬유와 Fe2O3로 구성된 복합체임을 의미 한다. 일반적으로 염료감응 태양전지에서의 촉매반응은 촉매표면에서 발생하는 I의 흡착에너지와 크게 관련이 있 으며, 특히 Fe2O3의 흡착에너지(0.51 eV)는 순수 백금 (0.52 eV)과 거의 유사한 값을 가지고 있어 우수한 촉매특 성 가지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15, 16].
Fig. 4

XRD patterns obtained from CNFs, spindle-shaped Fe2O3 NPs, and spindle-shaped Fe2O3 NP coated CNF composites. The reference line of pure Fe2O3 phases is shown in the bottom (JCPDS card No. 040802).

KPMI-23-95_F4.gif
그림 5는 ((a)-(b)) 탄소나노섬유와 ((c)-(e)) 방추형 Fe2O3 나노입자가 코팅된 탄소나노섬유 복합체를 구성하 는 원소의 X-선 광전자 주사법 스펙트럼을 보여준다. 모 든 X-선 광전자 주사법 피크들은 C 1s line의 284.5 eV를 이용하여 보정하였다. 그림 5(a)5(c)에 각각 보여지는 C 1s X-선 광전자 주사법 스펙트럼은 ~284.6 eV, ~285.9 eV, ~287.4 eV 및 ~288.7 eV에서 피크들이 나타나며, 이는 CC, C-O, C=O 및 O-C=O 결합을 각각 의미한다[18]. 또한 탄소나노섬유(그림 5(b))와 방추형 Fe2O3 나노입자가 코팅 된 탄소나노섬유 복합체(그림 5(d))의 O 1s 스펙트럼의 경 우는 ~532.5 eV, ~531.5 eV 및 ~530.2 eV에서 피크들이 공통적으로 보여지며, 이는 각각 O-C, O-H 결합 및 absorbed oxygen에 해당한다[19, 20]. 흥미롭게도 방추형 Fe2O3 나노입자가 코팅된 탄소나노섬유 복합체의 O 1s 스 펙트럼에서는 O-Fe 결합(~529.5 eV)에 해당하는 추가적인 피크가 확인된다[20]. 이러한 결과는 수열합성된 방추형 Fe2O3 나노입자가 탄소나노섬유 표면에 존재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에 따라 방추형 Fe2O3 나노입자가 코팅된 탄 소나노섬유 복합체에서는 그림 5(e)과 같은 Fe 2p X-선 광 전자 주사법 스펙트럼이 나타나며, 총 6개의 피크들로 나 누어진다. 여기서 ~710.1 eV와 ~723.0 eV에 해당하는 피 크들은 Fe2+, ~711.8 eV와 ~724.7 eV에 해당하는 피크들 은 Fe3+을 의미하며, Fe 이온들의 위성 피크에 해당하는 피크들이 ~718.8 eV와 ~713.4 eV에서 나타난다[21, 22]. 이러한 결과는 복합체에 Fe2O3 상이 존재한다는 것을 의 미한다. 따라서 주사전자현미경, 투과전자현미경, X-선 회 전분석 및 X-선 광전자 주사법 결과를 통해 방추형 Fe2O3 나노입자가 코팅된 탄소나노섬유 복합체가 성공적으로 제 조 되었음을 알 수 있다.
Fig. 5

XPS spectra of the (a) C 1s and (b) O 1s core-levels obtained from CNFs and (c) C 1s, (d) O 1s, and (e) Fe 2p core-levels obtained from spindle-shaped Fe2O3 NP coated CNF composites.

KPMI-23-95_F5.gif
그림 6(a)는 I/I3 산화환원 시스템에서 측정된 탄소나노 섬유, 방추형 Fe2O3 나노입자 및 방추형 Fe2O3 나노입자 가 코팅된 탄소나노섬유 복합체 상대전극의 순환전압전류 법(cyclic voltammetry, CV) 곡선을 보여준다. 이때 순수 백금 상대전극을 준비하여 순환전압전류법 곡선을 비교분 석하였다. 일반적으로 순수 백금 상대전극으로 구성된 염 료감응 태양전지의 순환전압전류법 곡선에서는 I-/I3- 산화 환원반응에 따라 두 쌍의 피크가 나타나며, 여기서 왼쪽 쌍은 3I↔I3+2e 반응을, 오른쪽 쌍은 3I2+2e↔2I3의 반 응을 의미한다. 따라서 순환전압전류법 곡선에서 I/I3 산 화환원반응을 의미하는 왼쪽 쌍의 전류밀도 크기가 커질 수록 빠른 반응속도를 의미하므로 염료감응 태양전지의 성능과 크게 관련이 있다[23]. 순환전압전류법 곡선을 분 석한 결과, 산화 피크는 0.39 V에서 각각 3.72 mA/cm2(순 수 백금), 2.50 mA/cm2(탄소나노섬유), 2.53 mA/cm2(방추 형 Fe2O3 나노입자) 및 3.54 mA/cm2(방추형 Fe2O3 나노입 자가 코팅된 탄소나노섬유 복합체)의 전류밀도를 보이고, 환원 피크는 -0.08 V에서 -4.15 mA/cm2(순수 백금), -2.41 mA/cm2(탄소나노섬유), -2.61 mA/cm2(방추형 Fe2O3 나노 입자) 및 -3.61 mA/cm2(방추형 Fe2O3 나노입자가 코팅된 탄소나노섬유 복합체)의 전류밀도를 보여준다. 따라서 모 든 샘플들이 순수 백금 상대전극보다는 낮은 전류밀도를 가지고 있으나, 상대적으로 방추형 Fe2O3 나노입자가 코 팅된 탄소나노섬유 복합체는 탄소나노섬유와 방추형 Fe2O3 나노입자보다 향상된 전류밀도를 가지고 있다. Yang등은 Fe2O3 나노입자가 담지된 그래핀 복합체를 이용 하여 향상된 촉매특성을 나타내었는데[24], 이를 바탕으로 본 실험의 경우도 표면에 존재하는 방추형 Fe2O3 나노입 자의 우수한 촉매반응과 탄소나노섬유의 효율적인 전하이 동에 의한 결과로 염료감응 태양전지 내에서의 I/I3 산화 환원반응속도를 촉진시켜 광변환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 을 것으로 기대된다.
Fig. 6

(a) CV curves of pure Pt, CNFs, spindle-shaped Fe2O3 NPs, and spindle-shaped Fe2O3 NP coated CNF composites measured at a scan rate of 50 mV/s from -0.3 to 1.1 V. (b) Nyquist plot of symmetrical cells obtained from the pure Pt, CNFs, spindle-shaped Fe2O3 NPs, and spindle-shaped Fe2O3 NP coated CNF composites. (c) Photoconversion efficiency from solar energy to electricity obtained from DSSCs fabricated with the pure Pt electrode, CNFs, spindle-shaped Fe2O3 NPs, and spindleshaped Fe2O3 NP coated CNF composites.

KPMI-23-95_F6.gif
그림 6(b)는 모든 샘플들의 상대전극으로 구성된 대칭셀 (symmetrical cell)을 사용하여 100 kHz-0.5Hz의 주파수 범 위와 10 mV의 진폭에서 측정된 전기화학적 임피던스 분 석법(electrochemical impedance spectra, EIS)의 결과를 보 여준다. 본 결과에서 보여지는 곡선은 나이퀴스트 선도라 고 하며, 여기서 직렬저항(series resistance, Rs)는 투명전 극의 면저항에 영향을 받는 인자이고 전하이동저항 (charge transport resistance, Rct)는 상대전극과 전해질 사 이의 계면에서 발생하는 전하이동에 영향을 받는 인자이 다[25]. 따라서 제조된 상대전극의 Rs값은 동일한 면저항 을 갖는 FTO 투명전극(8 Ω/□)의 사용으로 인해 동일한 값을 보이고 있다. 그에 반해 측정된 Rct값은 순수 백금의 경우 ~19.7 Ω, 탄소나노섬유의 경우 ~43.6 Ω, 방추형 Fe2O3 나노입자의 경우 ~40.2 Ω 및 방추형 Fe2O3 나노입 자가 코팅된 탄소나노섬유 복합체의 경우 ~23.2 Ω로 샘플 간의 차이가 존재한다. 흥미롭게도 순환전압전류법 분석 결과와 유사하게 방추형 Fe2O3 나노입자가 코팅된 탄소나 노섬유 복합체의 Rct값이 탄소나노섬유와 방추형 Fe2O3 나 노입자보다 향상된 결과를 나타낸다. 이는 우수한 촉매특 성을 보이는 방추형 Fe2O3와 효율적인 전하이동을 제공하 는 탄소나노섬유가 복합체를 형성한 결과로 염료감응 태 양전지 내에서 효율적인 전하이동을 제공하여 광변환 특 성에 영향을 끼칠 수 있다[26].
그림 6(c)는 모든 샘플들로 제조된 염료감응 태양전지의 전류(current density, J)- 전압(voltage, V) 곡선을 나타내며, 이를 통해 측정된 광변환 특성들을 표 1에 요약하였다. 염 료감응 태양전지의 광변환 효율(power-conversion efficiency, PCE)은 다음 식을 통해 계산되었다[27].
Table 1.

Parameter summary of photoconversion properties for the pure Pt, CNFs, spindle-shaped Fe2O3 NPs, and spindle-shaped Fe2O3 NP coated CNF composites

Samples VOC (V) JSC (mA/cm2) FF (%) PCE (%)

Pure Pt 0.72 13.30 64.60 6.22
CNFs 0.66 11.61 51.96 3.97
Spindle-shaped Fe2O3 NPs 0.67 11.45 50.17 3.86
Spindle-shaped Fe2O3 NP coated CNF composites 0.70 12.82 61.30 5.52
PCE(%)=(JSC×VOC×FF)/Pin×100%
위 식에서 JSC(photocurrent density)는 광전류밀도, VOC(open circuit voltage)는 개방전압, FF(fill factor)는 충전율, Pin(intensity of incident light)는 조사된 빛의 강도를 의미 한다. 탄소나노섬유의 경우는 순환전압전류법 및 전기화 학적 임피던스 분석법 결과에서 보여지는 낮은 촉매 특성 으로 인해 낮은 VOC(0.66 V), JSC(11.61 mA/cm2) 및 FF(51.96%)를 보여준다. 게다가 방추형 Fe2O3나노입자는 Fe2O3에 의한 높은 촉매특성에도 불구하고 탄소나노섬유 와 유사한 VOC(0.67 V), JSC(11.45 mA/cm2) 및 FF(50.71%) 를 보이며, 이는 Fe2O3 나노입자의 불연속적인 구조가 낮 은 전하이동을 제공한 결과로 판단된다[28]. 이에 반해 방 추형 Fe2O3 나노입자가 코팅된 탄소나노섬유 복합체는 탄 소나노섬유와 방추형 Fe2O3 나노입자보다 향상된 VOC(0.70 V), JSC(12.82 mA/cm2) 및 FF(61.30%)를 보여준 다. 일반적으로 염료감응 태양전지의 VOC는 작업전극의 Fermi level과 전해질의 산화환원 종의 potential level 차이 에 의해 결정된다. 하지만 사용된 작업전극과 전해질의 조 성이 동일할 경우에는 VOC가 상대전극의 촉매반응에 의해 형성된 전하량에 의존하게 된다. 따라서 방추형 Fe2O3 나 노입자가 코팅된 탄소나노섬유 복합체는 표면에 존재하는 방추형 Fe2O3나노입자의 향상된 촉매반응과 탄소나노섬유 의 효율적인 전하이동의 시너지효과에 의해 Rct가 감소하 게 되어 VOC의 증가뿐만 아니라 JSC와 FF의 증가를 야기 한다. 따라서 방추형 Fe2O3 나노입자가 코팅된 탄소나노 섬유 복합체로 제조된 염료감응 태양전지는 탄소나노섬유 (PCE = 3.97%)보다는 약 39.0%, 방추형 Fe2O3 나노입자 (PCE = 3.86%)보다는 약 43.0%만큼 향상된 5.52%의 광 변환 효율을 제공하며, 이러한 결과를 통해 순수 백금 상 대전극을 대체할 수 있는 염료감응 태양전지의 상대전극 으로 제안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전기방사법과 수열합성법을 이용하여 방 추형 Fe2O3 나노입자가 코팅된 탄소나노섬유 복합체를 제 조하였다. 이를 위해 전기방사된 탄소나노섬유을 질산에 칭하여 C-OH와 C=O 결합을 그들 표면에 형성시켜 Fe2O3 가 코팅될 사이트를 형성시켰고, 그런 다음 Na2SO4가 포 함된 용액을 통해 수열합성하여 Fe2O3를 탄소나노섬유 표 면에 균일하게 코팅시켰다. 그 결과 탄소나노섬유 표면에 방추형 Fe2O3나노입자가 서로 연속적으로 코팅된 일차원 나노구조가 형성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그들의 향 상된 광변환 특성을 확인하기 위해 탄소나노섬유와 방추 형 Fe2O3 나노입자와 비교분석을 실시하였다. 특히 순환 전압전류법과 전기화학적 임피던스 분석법 결과에서 방추 형 Fe2O3 나노입자가 코팅된 탄소나노섬유 복합체가 표면 에 존재하는 우수한 촉매특성을 갖는 방추형 Fe2O3나노입 자와 효율적인 전하이동을 제공하는 탄소나노섬유의 시너 지효과에 의해 향상된 촉매반응을 나타낸다는 것을 확인 하였다. 이에 따라 방추형 Fe2O3 나노입자가 코팅된 탄소 나노섬유 복합체는 다른 샘플들과 비교하여 향상된 VOC(0.70 V), JSC(12.82 mA/cm2), FF(61.30%)에 의한 우수 한 광변환 효율(5.52%)를 나타냈다. 따라서 제조된 방추형 Fe2O3 나노입자가 코팅된 탄소나노섬유 복합체는 백금촉 매를 대체할 수 있는 염료감응 태양전지의 저비용 상대전 극으로써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Acknowledgements
This study was financially supported by the Research Program funded by the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 1. K H Ko, Y C Lee, and Y J Jung: J. Colloid Interface Sci., (2005) 283 482.
  • 2. N Kakuta, T Oku, A Suzuki, K Kikuchi, and S Kikuchi: J. Ceram. Process. Res., (2012) 13 28.
  • 3. H Sun, Y Luo, Y Zhang, D Li, Z Yu, K Li, and Q Meng: J. Phys. Chem. C., (2010) 114 11673.
  • 4. S I Noh, T-Y Seong, and H-J Ahn: J. Ceram. Process. Res., (2012) 13 491.
  • 5. S-H Park, H-R Jung, and W-J Lee: Electrochim. Acta., (2013) 102 423.
  • 6. M Ye, X Wen, M Wang, J Iocozzia, N Zhang, C Lin, and Z Lin: Mater. Today., (2015) 18 155.
  • 7. H L An, G-H An, and H-J Ahn: J. Ceram. Process. Res., (2015) 16 208.
  • 8. G-H An and H-J Ahn: ECS Solid State Lett., (2014) 3 M29.
  • 9. D Sebastián, V Baglio, M Girolamo, R Moliner, M J Lázaro, and A S Aricò: J. Power Sources., (2014) 250 242.
  • 10. K Saranya, A Subramania, N Sivasankar, and S Mallick: Mater. Res. Bull., (2016) 75 83.
  • 11. M Rameez, K Saranya, A Subramania, N Sivasankar, and S Mallick: Appl. Phys. A., (2016) 122 71.
  • 12. T Sugimoto, Y Wang, H Itoh, and A Muramatsu: Colloids Surf. A: Physicochem. Eng. Asp., (1998) 134 265 .
  • 13. T P Almeida, M W Fay, Y Zhu, and P D Brown: Nanoscale., (2010) 2 2390.
  • 14. Z He, W Que, P Sun, and J Ren: ACS Appl. Mater. Interfaces., (2013) 5 12779.
  • 15. Y Hou, D Wang, X H Yang, W Q Fang, B Zhang, H F Wang, G Z Lu, P Hu, H F Zhao, and H G Yang: Nat. Commun., (2013) 4 1583.
  • 16. A Hauch and A Gerog: Electrochim. Acta., (2001) 46 3457.
  • 17. Z Zhang, F Zhou, and E J Lavernia: Metall. Mater. Trans. A., (2003) 34A 1349.
  • 18. H L An, G-H An, and H-J Ahn: J. Alloys Compd., (2015) 645 317.
  • 19. J S Kim, P K H Ho, D S Thomas, R H Friend, F Cacialli, G-W Bao, and S F Y Li: Chem. Phys. Lett., (1999) 315 307.
  • 20. V Datsyuk, M Kalyva, K Papagelis, J Parthenios, D Tasis, A Siokou, I Kallitsis, and C Galiotis: Carbon., (2008) 46 833.
  • 21. R Suresh, K Giribabu, R Manigandan, A Stephen, and V Narayana: RSC Adv., (2014) 4 17146.
  • 22. S Yan, S Ge, Y Zuo, W Qiao, and L Zhang: Scr. Mater., (2009) 61 387.
  • 23. Y Xiao, G Han, H Zhou, Y Li, and J-Y Lin: Electrochim. Acta., (2015) 155 103.
  • 24. W Yang, X Xu, Z Li, F Yang, L Zhang, Y Li, A Wang, and S Chen: Carbon., (2016) 96 947.
  • 25. R Gupta, R Kumar, A Sharma, and N Verma: Int. J. Energy Res., (2015) 39 668.
  • 26. C Thelander, P Agarwal, S Brongersma, J Eymery, L F Feiner, A Forchel, M Scheffler, W Riess, B J Ohlsson, U Gösele, and L Samuelson: L. Mater. Today., (2006) 9 28.
  • 27. H-R An, H L An, W-B Kim, and H-J Ahn: ECS Solid State Lett., (2014) 3 M33.
  • 28. Z Tang and N A Kotov: Adv. Mater., (2005) 17 951.

Figure & Data

References

    Citations

    Citations to this article as recorded by  
    • Ni Nanoparticles-Graphitic Carbon Nanofiber Composites for Pt-Free Counter Electrode in Dye-Sensitized Solar Cells
      Dong-Hyeun Oh, Bon-Ryul Koo, Yu-Jin Lee, HyeLan An, Hyo-Jin Ahn
      Korean Journal of Materials Research.2016; 26(11): 649.     CrossRef

    • PubReader PubReader
    • Cite this Article
      Cite this Article
      export Copy Download
      Close
      Download Citation
      Download a citation file in RIS format that can be imported by all major citation management software, including EndNote, ProCite, RefWorks, and Reference Manager.

      Format:
      • RIS — For EndNote, ProCite, RefWorks, and most other reference management software
      • BibTeX — For JabRef, BibDesk, and other BibTeX-specific software
      Include:
      • Citation for the content below
      Spindle-shaped Fe2O3 Nanoparticle Coated Carbon Nanofiber Composites for Low-cost Dye-sensitized Solar Cells
      J Powder Mater. 2016;23(2):95-101.   Published online April 1, 2016
      Close
    • XML DownloadXML Download
    Figure
    Related articles

    Journal of Powder Materials : Journal of Powder Material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