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arning: mkdir(): Permission denied in /home/virtual/lib/view_data.php on line 81

Warning: fopen(upload/ip_log/ip_log_2024-05.txt): failed to open stream: No such file or directory in /home/virtual/lib/view_data.php on line 83

Warning: fwrite() expects parameter 1 to be resource, boolean given in /home/virtual/lib/view_data.php on line 84
Improvement of Mechanical Properties of Nanocrystalline FeCrC Alloy via Strain-Induced Martensitic Transformation
Skip Navigation
Skip to contents

Journal of Powder Materials : Journal of Powder Materials

OPEN ACCESS
SEARCH
Search

Articles

Page Path
HOME > J Powder Mater > Volume 28(3); 2021 > Article
Article
소성유기마르텐사이트 변태에 의한 나노결정 FeCrC 소결합금의 기계적 강도 향상
김광훈, 전준협, 서남혁, 박정빈, 손승배, 이석재*
Improvement of Mechanical Properties of Nanocrystalline FeCrC Alloy via Strain-Induced Martensitic Transformation
Gwanghun Kim, Junhyub Jeon, Namhyuk Seo, Jungbin Park, Seung Bae Son, Seok-Jae Lee*
Journal of Korean Powder Metallurgy Institute 2021;28(3):246-252.
DOI: https://doi.org/10.4150/KPMI.2021.28.3.246
Published online: May 31, 2021

전북대학교 신소재공학부

Division of Advanced Materials Engineering, Research Center for Advanced Materials Development, Jeonbuk National University, Jeonju 54896, Republic of Korea

*Corresponding Author: Seok-Jae Lee, TEL: +82-63-270-2298, FAX: +82-63-270-2305, E-mail: seokjaelee@jbnu.ac.kr
- 김광훈·전준협·서남혁·박정빈: 학생, 손승배·이석재: 교수
• Received: June 15, 2021   • Revised: June 25, 2021   • Accepted: June 25, 2021

© The Korean Powder Metallurgy Institute. All rights reserved.

  • 19 Views
  • 0 Download
  • The effect of sintering conditions on the austenite stability and strain-induced martensitic transformation of nanocrystalline FeCrC alloy is investigated. Nanocrystalline FeCrC alloys are successfully fabricated by spark plasma sintering with an extremely short densification time to obtain the theoretical density value and prevent grain growth. The nanocrystallite size in the sintered alloys contributes to increased austenite stability. The phase fraction of the FeCrC sintered alloy before and after deformation according to the sintering holding time is measured using X-ray diffraction and electron backscatter diffraction analysis. During compressive deformation, the volume fraction of strain-induced martensite resulting from austenite decomposition is increased. The transformation kinetics of the strain-induced martensite is evaluated using an empirical equation considering the austenite stability factor. The hardness of the S0W and S10W samples increase to 62.4-67.5 and 58.9-63.4 HRC before and after deformation. The hardness results confirmed that the mechanical properties are improved owing to the effects of grain refinement and strain-induced martensitic transformation in the nanocrystalline FeCrC alloy.
베어링강(1.0%C-1.5%Cr)은 산업용 기계, 자동차, 항공 기 등 회전 및 왕복 운동을 하는 기계 부품에 사용되고 있 다. 최근 산업의 고도화로 인해 가혹한 사용 환경에서 우 수한 성능의 베어링이 요구되고 있으며, 이러한 베어링 성 능에 영향을 미치는 대표적인 요소 중 하나가 준안정 오 스테나이트의 잔류이다[1-3]. 준안정 오스테나이트는 소성 변형 시 마르텐사이트로 상변태를 통해 인장강도뿐만 아 니라 연성 향상에도 기여하며, 우수한 기계적 물성 확보가 가능하기 때문에 다양한 철계 합금에서 연구되고 있다[4- 8]. 베어링 소재의 경우 장시간 응력이 가해지는 환경에서 일부 잔류된 오스테나이트가 소성유기마르텐사이트로 상 변태가 일어나면서 경도와 내마모성의 증가로 인한 부품 수명이 향상되는 효과가 나타난다.
주어진 응력 상태에서 소성유기마르텐사이트로의 변태 속도는 잔류한 오스테나이트의 안정성과 분율에 따라 결 정되며 결국 베어링 부품의 기계적 특성을 결정하는데 중 요한 역할을 한다. 기본적으로 오스테나이트 안정성은 화 학적 조성에 따라 결정된다[9, 10]. 탄소, 니켈, 망간 등과 같은 오스테나이트 안정화 원소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오 스테나이트 안정성이 증가하며, 특히 탄소는 오스테나이 트 안정성을 높이는데 가장 효과적인 원소로 오스테나이 트 침입형 격자 내에 고용되면 오스테나이트의 상대적인 열역학적 안정성을 높이고 냉각 시 마르텐사이트 변태 개 시온도를 낮추는 역할을 한다. 오스테나이트 안정성은 결 정립 크기에도 크게 영향을 받는다. 특히 결정립 크기가 1 μm 이하의 초미세립(ultra-fine grains, UFG) 수준으로 미 세해지면 오스테나이트 안정성이 크게 향상되었다는 다양 한 연구가 보고되었다[11, 12].
분말야금법은 주단조 벌크 소재의 냉간 압연과 재결정 에 의한 결정립 미세화 공정과 같은 열가공법으로 얻을 수 있는 미세 결정립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바텀업 (bottom-up) 방식의 제조 방법이다. 분말 야금 공정의 기 계적 합금화(mechanical alloying, MA)는 기존 합금화 공 정에 비해 간단하고 효과적이다. 기존의 주단조법으로 제 조한 일반적인 철계 합금의 결정 크기가 μm 수준인 반면 볼 밀링을 이용한 MA는 nm 수준의 결정 크기를 갖는 합 금 분말 제조가 가능하다. 다양한 소결법 중 방전 플라즈 마 소결(spark plasma sintering, SPS)은 분말이 포함된 몰 드에 가압과 동시에 펄스전류를 통전시켜 가열함으로써 단시간에 소결시키는 방식으로 단시간에 소결이 가능해 입자 성장을 억제하면서 치밀한 소결체 제조가 가능하다 [13, 14]. SPS를 이용한 철계 소재, 세라믹 재료 등 다양한 연구가 보고되고 있지만[15, 16] 베어링 소결합금에 관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소결 공정에서의 소결 유지 시간을 제어 하여 FeCrC계 소결합금의 기계적 특성 변화를 오스테나 이트 안정성과 연계하여 조사하였다. 이전 연구에서 소결 공정 조건에 따른 오스테나이트 안정성에 관한 연구를 진 행하였다[17]. 이를 토대로 이번 연구에 소결 공정 조건을 설계하였고 소결 합금의 결정 크기와 상분율을 정량적으 로 분석하였다. 특히 소결 유지 시간과 오스테나이트 안정 성과 관련 있는 압축 변형에 따른 소성유기마르텐사이트 변태 거동을 정량적으로 고찰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초기분말로 Fe 분말(Höganäs AB, 순도 99.9%, 평균 입도<75 μm)과 Cr 분말(Alfa Aesar, 순도 99%, 평균 입도<140 μm)과 graphite 분말(Alfa Aesar, 순 도 99%, 평균 입도 7~11 μm)을 사용하였고, MA 공정을 통해 나노 결정 Fe-1.5Cr-1C(wt.%) 합금 분말을 제조하였 다. MA는 고 에너지 볼 밀 장비(FRITSCH, Pulverisette-6) 를 이용하였으며 직경 10mm의 FeCrC 볼과 SKD-11 용 기를 사용하였다. 볼과 혼합 분말의 비율(ball to powder ratio, BPR)은 30:1로 설정하였고 냉간 압접과 파쇄 과정 의 균형을 조절하는 공정제어제인 스테아르산(Alfa Aesar, CH3(CH2)16CO2H)을 1 wt.% 첨가한 후 Ar 분위기에서 250 rpm으로 24시간 동안 밀링을 진행하였다. 밀링된 합금 분 말은 내경 10 mm, 외경 35 mm, 높이 40mm의 원통형 흑 연 몰드에 충진시킨 후 SPS를 통해 급속 소결하였다. 소 결조건은 1000°C/min의 승온속도로 1000°C까지 가열하였 고, 고 진공 분위기에서 80MPa의 단축 가압 조건에서 진 행하였다. 표 1은 소결 공정 조건으로 소결 유지 시간을 조절하였고, 가열 후 수냉하였다. 소결체의 상대밀도는 아 르키메데스법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압축 시험은 소결 합금을 직경 4 mm의 시편으로 가공하였고, 1×10-3 s-1의 변 형 속도로 만능 시험기(Instron 5569)에서 수행하였다. 경 도 시험은 로크웰 경도기(SSAULBESTECH, BESTROC- 300N)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밀링된 분말과 소결 합금 의 결정 크기 및 상 분석은 X선 회절(X-ray diffraction, XRD, Shimadzu XRD-6100)을 사용하였다. Cu Kα 타켓을 사용하였고 40 kV와 30 mA 조건에서 2°/min 속도로 분석 하였다. 미세조직 특성 및 정량적인 상 분석을 위해 전계 방출형 주사전자현미경(field emission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FE-SEM, Hitachi, SU-70)에 부착된 후방산란 전자회절(electron backscatter diffraction, EBSD)을 이용하 여 수행하였다.
Table 1

Sintering process condition of FeCrC alloy

KPMI-28-3-246_T1.gif
그림 1은 Fe, Cr, graphite 각 원소 분말과 고 에너지 볼 밀에 의해 기계적 합금화된 FeCrC 합금 분말의 XRD 분 석 결과이다. 이를 통해 FeCrC 합금 분말에서 첨가 원소 들이 Fe 기지 내에 기계적 합금화가 완료되었음을 확인하 였다. 분말의 결정 크기는 XRD 분석 결과로부터 반치전 폭(full width at half maximum, FWHM)과 Bragg 각도를 이용하여 식 (1)과 같이 Williamson-Hall 방정식으로 계산 하였다[18, 19].
(1)
βrcosθ=kλD+ηsinθ
Fig. 1

XRD analysis of the raw and milled powders.

KPMI-28-3-246_F1.gif
식의 각 항은 다음과 같다. βr는 밀링된 분말에서 XRD 피크의 FWHM, θ는 Bragg 각도, k는 Scherrer 상수(= 0.9), λ는 Cu Kα 타겟의 파장(= 1.5406Å), D는 결정 크기(nm), 그리고 η는 변형률이다. 계산한 결과 합금 분말의 결정 크 기는 약 9.6 nm로 측정되었다. 이는 공정제어제인 스테아 르산 첨가로 냉간압접(cold welding)과 파쇄(fracturing) 과 정 사이의 균형이 조절되었고, 밀링 시간 동안 미세한 입 자의 분말 제조가 가능한 것으로 판단된다.
MA 된 FeCrC 합금 분말은 표 1의 공정 조건에서 SPS 를 통해 소결 합금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소결 합금 S0W 와 S10W 시편 모두 98% 이상의 높은 상대밀도를 나타냈 다. S10W 시편의 경우 측정된 상대밀도는 99.1%로 고온 에서 소결 유지하는 동안 지속된 수축으로 치밀화가 향상 되어 측정된 상대밀도가 98.0%인 S0W 시편보다 높은 수 치를 확인하였다. 이는 Lee 등이 Fe-TiC 합금 소결 실험 을 통해 보고된 기존 결과들과도 일치한 경향임을 확인할 수 있다[20].
그림 2는 소결 유지 시간에 따른 소결 합금과 20%, 30% 변형된 소결 합금의 XRD 분석 결과이다. 소결 합금 과 변형된 소결 합금 모두 페라이트 피크와 오스테나이트 피크가 관찰되었다. 이는 소결 후 수냉 과정에서 짧은 냉 각 속도로 인해 탄소의 확산이 어려워 시멘타이트가 형성 되지 않고 탄소가 오스테나이트 격자에 그대로 고용되었 기 때문이라고 판단된다. 소결 유지 시간과 변형 정도에 따 라 오스테나이트 피크 강도의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다.
Fig. 2

XRD analysis of the (a) as-sintered, (b) 20% deformed, and (c) 30% deformed Fe-1.5Cr-1C alloy.

KPMI-28-3-246_F2.gif
그림 3은 XRD 분석을 통해 소결 합금과 변형에 따른 소결 합금의 오스테나이트 부피 분율을 나타내었다. XRD 분석 결과를 토대로 Averbach-Cohen 모델을 이용하여 계 산하였다[21]. 이를 통해 S0W 시편의 경우 오스테나이트 분율이 소결부터 30% 압축변형 시 44.1 vol.%에서 29.4 vol.%로, S10W 시편은 52.4 vol.%에서 40.1 vol.%로 감소 하였다. 그림 4는 EBSD 분석을 통해 소결 합금과 30% 변 형된 소결 합금의 각 상의 부피 분율을 도시하였다. XRD 결과를 토대로 계산한 결과와 유사하게 S0W 시편의 오스 테나이트 분율은 소결부터 30% 압축변형 시 41.0 vol.%에 서 28.5 vol.%로, S10W 시편은 50.2 vol.%에서 37.9 vol.% 로 감소하였다. 오스테나이트 분율은 S10W 시편이 소결 유지 시간 동안 탄소가 오스테나이트 격자 내로 확산하여 격자 내 고용되는 양이 더 많기 때문에 높게 측정되었다. S0W, S10W 시편 모두 압축 변형에 따라 오스테나이트가 소성유기마르텐사이트로 변태되어 오스테나이트의 부피 분율이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오스테나이트 부피 분 율은 측정 방법에 따라 최대 3 vol.% 미만의 미세한 차이 를 보였으며, 변형에 따른 유사한 변화 경향을 보여주고 있다.
Fig. 3

Variation of the volume fraction of austenite with sintering process during deformation.

KPMI-28-3-246_F3.gif
Fig. 4

EBSD phase maps of the (a) as-sintered S0W, (b) as-sintered S10W, (c) 30% deformed S0W and (d) 30% deformed S10W. (Red : austenite, Green : ferrite)

KPMI-28-3-246_F4.gif
소결 유지 시간에 따라 오스테나이트 안정성에 대한 영 향은 소성유기마르텐사이트 변태 모델을 적용하여 정량적 으로 평가하였다. 소성유기마르텐사이트 변태 속도를 소 성 변형량의 함수로 정량적인 표현을 위해 여러 모델이 제안되어왔다[22-27]. 이번 연구에서는 Fe 기반 소결 합금 에서 적용된 Burke et al.[23], Matsumura et al.[24], Tsuchida et al.[25]가 제안한 변태 속도 모델(이하 BMT 모델)를 적 용하였다[27]. 사용된 수식은 다음과 같다.
(2)
Vα˙=Vr01+p/(κεpVr0)
Vα˙ 는 소성유기마르텐사이트 부피 분율, Vr0 는 초기 오 스테나이트 부피 분율, ε는 소성변형률, p는 자기촉매 효 과이며, 자기촉매 효과가 없는 경우에 p 값은 1이다. 결정 크기가 감소할수록 마르텐사이트 변태 속도가 가속화된다 는 연구가 보고되었다[7, 28]. 본 연구 그룹의 이전 연구에 서 Fe 기반 소결 합금에 결정 크기는 30 nm보다 작았다[6, 11, 20]. 그러므로 이번 연구에서 p 값은 2로 적용하였다. κ는 오스테나이트 안정성과 연관된 상수로 κ 값이 작을수 록 오스테나이트 안정성이 높다. BMT 모델을 이용하여 FeCrC 소결 합금의 κ 값을 계산하였다. S0W 시편은 63.7, S10W 시편은 31.1로 소결 유지한 샘플의 κ 값이 낮았고 소결 유지를 하지 않은 샘플보다 오스테나이트 안정성이 높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그림 5는 소결 유지 시간에 따라 측정한 부피 분율과 함 께 식(2)를 이용하여 예측한 소성유기마르텐사이트 변태 거 동을 비교하였다. 제안된 수식을 이용한 소성유기마르텐사 이트 분율의 변화는 결정계수(coefficient of determination, R2) 값이 0.98 이상으로 제안된 수식과 그 수식을 이용한 소성유기마르텐사이트 변태 거동의 분석이 타당한 신뢰성 을 가짐을 보여준다.
Fig. 5

Comparison of the strain-induced martensitic transformation kinetics considering the effect of holding time during the sintering.

KPMI-28-3-246_F5.gif
그림 6은 S0W와 S10W 소결 합금의 압축변형에 따른 경도 변화를 문헌에서 보고된 단조가공된 벌크 Fe- 1.5%Cr-1.0%C 베어링 소재의 경도[29-35]와 함께 표시하 였다. 특히 소결 합금과 벌크 소재의 결정 크기 및 크롬과 탄소 등 첨가된 합금 원소의 총량에 따른 영향을 비교하 였다. 기존 벌크재의 결정 크기는 Lee[36] 연구에서 제안 한 화학 조성과 열처리 효과를 포함한 수식을 통해 계산 하였고 첨가 합금 원소 총량은 주원소 Fe를 제외한 첨가 원소들의 합산 비율 (wt.%)로 나타내었다. 기존 벌크 소재 는 첨가된 원소가 2.9 wt.%에서 최대 3.9 wt.%로 본 연구 에서 제조된 소결 소재의 첨가원소인 2.5 wt.%(= 1.5 wt.%Cr + 1.0 wt.%C)보다 많이 첨가되었다. 결정의 크기 는 대략 6.0~22.2 μm 수준으로 예측 가능하다. 이들 벌크 소재의 경도는 여러 가공열처리 공정 조건에 따라 약 40~62 HRC의 변화 범위를 보인다. 본 연구에서 제조한 소결 합금은 첨가된 합금 원소 총량이 낮고 소결 후 추가 열처리를 진행하지 않았을 뿐만 아니라 오스테나이트 분 율이 기존 벌크 소재보다 약 2~5배 이상 높으며 탄화물 또한 존재하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벌크 소재의 최대 경도 값과 유사한 값을 보였다. 압축 변형에 의해 소성유기마르 텐사이트 변태가 발생한 경우 소결 합금의 경도는 더 증 가하였다. 소결 합금에서 변형 전 S0W 시편의 초기 경도 는 62.4 HRC이며 30% 압축 변형 후 67.5 HRC로 1%의 압축 소성 변형이 진행될수록 평균 0.17 HRC의 경도가 증 가하였다. 이와 유사하게 S10W 시편은 초기 58.9 HRC 경 도값에서 1%의 압축 소성 변형이 진행되면서 평균 0.15 HRC씩 경도가 증가하여 최종 63.4 HRC의 높은 경도가 측정되었다. 공통적으로 S0W, S10W 시편 모두 압축 변형 에 기인한 소성유기마르텐사이트 변태의 발생으로 경도가 증가하였으나 초기 경도와 동일한 압축 변형 후 경도 값 은 차이가 있었다. 초기 경도 값의 경우는 S10W 시편이 연질의 조직인 오스테나이트 분율이 상대적으로 높고, 소 결 유지 시간 동안 결정 성장이 일어나 Hall-Petch 관계식 에 의해 S0W 시편보다 경도가 낮은 것으로 판단된다[37, 38]. 또한 압축 소성 변형에 따른 경도 증가속도도 S10W 시편의 오스테나이트 안정성이 상대적으로 높아 소성유기 마르텐사이트 변태가 어려워 S0W 시편보다 경도 증가 속 도가 낮은 것으로 판단된다. 이는 식 (2)에서 오스테나이 트 안정성을 정량적으로 표현하는 κ 값이 소결 유지를 통 해 63.7에서 31.1로 낮은 수치 변화를 확인하였으며 이를 통해 FeCrC 소결 합금 소결시 1000°C에서 10분의 등온 유지 조건이 생성된 오스테나이트의 안정성 향상에 기여 함을 확인하였다.
Fig. 6

Variation of the hardness value with the actual grain size and the total amount of alloying elements. The filled symbols are as-sintered and the open symbols are 30% deformed for sintered alloy data. The triangle symbols mean the hardness of wrought Fe-Cr-C alloys [29-35].

KPMI-28-3-246_F6.gif
본 연구에서는 소결 유지가 오스테나이트 안정성에 미 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나노결정 Fe-1.5Cr-1C (wt.%) 합금을 고에너지 볼 밀과 SPS를 통해 제조하였다. 밀링된 분말의 결정 크기는 약 9.6 nm였으며 소결된 시편에서 XRD와 EBSD로 측정된 오스테나이트 분율은 41 vol.% 이 상의 높은 상분율을 나타냈다. 10분 소결 유지한 조건에 서 탄소 원자가 오스테나이트 격자 내로 확산하여 격자 내 고용된 탄소 함량이 높아지고 오스테나이트 안정성은 향상되어 상온에서 오스테나이트 분율이 증가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조된 FeCrC 소결 합금에서 상온 준안정 오스 테나이트는 압축 변형동안 소성유기마르텐사이트로 변태 되었고, 소성 변화량에 따른 변태 속도는 사용된 BMT 모 델을 이용하여 정량적으로 평가하였다. 경도 측정 결과를 통해서 결정립 미세화 효과와 소성유기마르텐사이트 변태 로 인해 기계적 특성이 향상됨을 확인했다. 더불어 소결 유지를 통한 오스테나이트 안정성 증가는 상온 오스테나 이트 초기 분율과 압축 변형 중 변태 속도에 영향을 미치 며 소결 유지를 하지 않은 조건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초기 경도와 변태 속도를 보여주었다.
Acknowledgements
This work was supported by a Korea Institute for Advancement of Technology grant, funded by the Korea Government (MOTIE) (P0002019), as part of the Competency Development Program for Industry Specialists.
  • 1. H. K. D. H. Bhadeshia: Prog. Mater. Sci., 57 (2012) 268. Article
  • 2. H. Nakashima: NTN Tech. Rev., 76 (2008) 10.
  • 3. E. Yajima, T. Miyazaki, T. Sugiyama and H. Terajima: Trans. JIM, 15 (1974) 173. Article
  • 4. D. S. Park, S. J. Oh, I. J. Shon and S. J. Lee: Arch. Metall. Mater., 63 (2018) 1479.
  • 5. J. Talonen, P. Nenonen, G. Pape and H. Hanninen: Metall. Trans. A, 36 (2005) 421. Article
  • 6. J. Jeon, S. Choi, N. Seo, Y. H. Moon, I. J. Shon and S. J. Lee: Arch. Metall. Mater., 65 (2020) 1249.
  • 7. S. J. Oh, D. Park, K. Kim, I. J. Shon and S. J. Lee: Mater. Sci. Eng. A, 725 (2018) 382. Article
  • 8. O. Grassel, L. Kruger, G. Frommeyer and L. W. Meyer: Int. J. Plast., 16 (2000) 1391. Article
  • 9. S. J. Oh, B. C. Kim, M. C. Suh, I. J. Shon and S. J. Lee: Arch. Metall. Mater., 64 (2019) 863.
  • 10. P. Jacques, J. Ladriere and F. Delannay: Metall. Mater. Trans. A, 32 (2001) 2759. Article
  • 11. N. Seo, J. Jeon, G. Kim, J. Park, S. B. Son and S. J. Lee: J. Korean Powder Metall. Inst., 27 (2020) 373. Article
  • 12. S. Lee, S. J. Lee and B. C. De Cooman: Scr. Mater., 65 (2011) 225. Article
  • 13. J. H. Ryu, S. S. Shin, B. R. Ryu, K. S. Kim, J. H. Jang, I. H. Oh, K. T. Kim and H. K. Park: J. Korean Powder Metall. Inst., 24 (2017) 302. Article
  • 14. C. Keller, K. Tabalaiev, G. Marnier, J. Noudem, X. Sauvage and E. Hug: Mater. Sci. Eng. A, 665 (2016) 125. Article
  • 15. S. J. Oh, J. H. Jun, M. H. Lee, I. J. Shon and S. J. Lee: Met. Mater. Int., 24 (2018) 597. Article
  • 16. O. E. Falodun, S. R. Oke, B. A. Obadele, A. M. Okoro and P. A. Olubambi: Met. Mater. Int., 28 (2019) 1.
  • 17. G. Kim, J. Jeon, N. Seo, S Choi, M. S. Oh, S. B. Son and S. J. Lee: Arch. Metall. Mater., 66 (2021) 759.
  • 18. G. K. Williamson and W. H. Hall: Acta Metall., 1 (1953) 22. Article
  • 19. C. Suryanarayana: Prog. Mater. Sci., 46 (2001) 1. Article
  • 20. Y. H. Lee, X. K. Hyunh and J. S. Kim: J. Korean Powder Metall. Inst., 21 (2014) 382. Article
  • 21. B. L. Averbach and M. Cohen: Trans. AIME., 196 (1948) 1.
  • 22. G. B. Olson and M. Cohen: Metall. Trans. A, 6A (1975) 791. Article
  • 23. J. Burke: Pergamon Press, Oxford, United Kingdom, (1965).
  • 24. O. Matsumura, Y. Sakuma and H. Takechi: Scr. Mater., 21 (1987) 1301. Article
  • 25. N. Tsuchida and Y. Tomota: Mater. Sci. Eng. A, 285 (2000) 345. Article
  • 26. D. Krizan and B. C. De Cooman: Steel Res. Int., 79 (2008) 513. Article
  • 27. L. Samek, E. De Moor, J. Penning and B. C. De Cooman: Metall. Mater. Trans. A, 37A (2006) 109. Article
  • 28. S. J. Lee, S. Lee and B. C. De Cooman: Int. J. Mater. Res., 104 (2013) 423. Article
  • 29. A. Bouziane, L. Boulanouar, M. W. Azizi, O. Keblouti and S. Belhadi: Struct. Eng. Mech., 66 (2018) 285.
  • 30. K. Hokkirigawa and K. Kato: Wear, 123 (1988) 241. Article
  • 31. J. Zhao, T. S. Wang, B. Lv and F. C. Zhang: Mater. Sci. Eng. A, 628 (2015) 327. Article
  • 32. M. W. Azizi, S. Belhadi, M. A. Yallese, T. Mabrouki and J. F. Rigal: J. Mech. Sci. Technol., 26 (2012) 4105. Article
  • 33. S. Li, Y. Su, X. Shu and J. Chen: Wear, 380-381 (2017) 146. Article
  • 34. R. Ramesh and R. Gnanamoorthy: Mater. Des., 28 (2007) 1447. Article
  • 35. X. H. Lu, D. S. Qian, W. Li and X. J. Jin: Mater. Lett., 234 (2019) 5. Article
  • 36. S. J. Lee: ISIJ. Int., 53 (2013) 1902. Article
  • 37. S. J. Oh, J. H. Jeon, I. J. Shon and S. J. Lee: J. Korean Powder Metall. Inst., 26 (2019) 389. Article
  • 38. J. R. Weertman: Mater. Sci. Eng. A, 166 (1993) 161. Article

Figure & Data

References

    Citations

    Citations to this article as recorded by  

      • PubReader PubReader
      • ePub LinkePub Link
      • Cite this Article
        Cite this Article
        export Copy Download
        Close
        Download Citation
        Download a citation file in RIS format that can be imported by all major citation management software, including EndNote, ProCite, RefWorks, and Reference Manager.

        Format:
        • RIS — For EndNote, ProCite, RefWorks, and most other reference management software
        • BibTeX — For JabRef, BibDesk, and other BibTeX-specific software
        Include:
        • Citation for the content below
        Improvement of Mechanical Properties of Nanocrystalline FeCrC Alloy via Strain-Induced Martensitic Transformation
        J Powder Mater. 2021;28(3):246-252.   Published online June 1, 2021
        Close
      • XML DownloadXML Download
      Figure
      Related articles

      Journal of Powder Materials : Journal of Powder Material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