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경상국립대학교 나노신소재융합공학과
b 경상국립대학교 K-metal
c 국민대학교 신소재공학과
a Department of Materials Engineering and Convergence Technology,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GNU), Jinju 52828, Republic of Korea
b Department of Materials Engineering and Convergence Technology, Center for K-metal,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GNU), Jinju 52828, Republic of Korea
c School of Materials Science and Engineering, Kookmin University, Seoul 02707, Republic of Korea
© The Korean Powder Metallurgy Institute. All rights reserved.
(1) 입도분석 결과 분말은 전체적으로 구형의 형태를 갖추 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나, 표면에 미세한 분말들이 붙어있는 위성분말 또한 확인되었다.
(2) SEM 분석 결과 전체적으로 미세한 pore를 관찰할 수 있었으며 600 W 조건 대비 800W에서 보다 적은 양 의 pore와 규칙적은 cell structure를 관찰할 수 있었다. 이를 기반으로 600 W 대비 800W에서의 LMS가 더 높은 기계적 특성을 지닐 것으로 유추해볼 수 있다.
(3) 본 연구는 Laser scan power에 따른 분말의 적층 성능 을 판단하기 위한 실험이었지만, 보다 안정적인 적층 을 위한 공정 parameter 확립을 위한 추가적인 실험을 필요로 한다. 추후 연구에서는 공정 parameter 확립을 통해 본 연구에선 한계가 있던 Bulk 시편 제작을 통한 기계적 특성 평가가 이루어져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