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arning: mkdir(): Permission denied in /home/virtual/lib/view_data.php on line 81

Warning: fopen(upload/ip_log/ip_log_2024-11.txt): failed to open stream: No such file or directory in /home/virtual/lib/view_data.php on line 83

Warning: fwrite() expects parameter 1 to be resource, boolean given in /home/virtual/lib/view_data.php on line 84
Capacitance Enhancement and Evaluation of Gold-Deposited Carbon Nanotube Film Ion-Selective Electrode
Skip Navigation
Skip to contents

Journal of Powder Materials : Journal of Powder Materials

OPEN ACCESS
SEARCH
Search

Articles

Page Path
HOME > J Powder Mater > Volume 30(4); 2023 > Article
Article
금 입자 증착된 탄소나노튜브의 커패시턴스 증가 및 박막형 이온 선택성 전극으로서의 특성 평가
김도연a, 손한별a, 임효령b,*
Capacitance Enhancement and Evaluation of Gold-Deposited Carbon Nanotube Film Ion-Selective Electrode
Do Youn Kima, Hanbyeol Sona, Hyo-Ryoung Limb,*
Journal of Korean Powder Metallurgy Institute 2023;30(4):310-317.
DOI: https://doi.org/10.4150/KPMI.2023.30.4.310
Published online: July 31, 2023

a 부경대학교 재료공학과

b 부경대학교 휴먼바이오융합전공

a Major of Materials Engineering, Pukyong National University, Busan 48513, Republic of Korea

b Major of Human Biocovergence, Pukyong National University, Busan 48513, Republic of Korea

* Corresponding Author: Hyo-Ryoung Lim, TEL: +82-51-629-4632, FAX: +82-51-629-4639, E-mail: limhyoryoung@pknu.ac.kr
- 김도연·손한별: 학생, 임효령: 교수
• Received: August 14, 2023   • Revised: August 22, 2023   • Accepted: August 23, 2023

© The Korean Powder Metallurgy Institute. All rights reserved.

  • 94 Views
  • 3 Download
prev next
  • Small-film-type ion sensors are garnering considerable interest in the fields of wearable healthcare and home-based monitoring systems. The performance of these sensors primarily relies on electrode capacitance, often employing nanocomposite materials composed of nano- and sub-micrometer particles. Traditional techniques for enhancing capacitance involve the creation of nanoparticles on film electrodes, which require cost-intensive and complex chemical synthesis processes, followed by additional coating optimization. In this study, we introduce a simple one-step electrochemical method for fabricating gold nanoparticles on a carbon nanotube (Au NP–CNT) electrode surface through cyclic voltammetry deposition. Furthermore, we assess the improvement in capacitance by distinguishing between the electrical double-layer capacitance and diffusion-controlled capacitance, thereby clarifying the principles underpinning the material design. The Au NP–CNT electrode maintains its stability and sensitivity for up to 50 d, signifying its potential for advanced ion sensing. Additionally, integration with a mobile wireless data system highlights the versatility of the sensor for health applications.
최근 환자 중심의 지속적인 건강관리에 대한 수요가 높 아지면서 의료 시스템용 센서 연구가 주목받고 있다. 심박 수와 전기생리학적 신호를 측정하는 물리적 센서가 건강관 리 기기에 탑재되어 시장을 점유하고 있으며, 차세대 기기 용 전해질, 대사산물, 호르몬 등의 화학적 센서 개발도 활 발히 진행 중이다. 그중 전해질 내 이온 농도를 연속적이고 정확하게 측정하는 것은 인체의 전해질 불균형과 신장, 심 장 질환 진단에 중요한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1, 2]. 특히 최근 소듐 섭취와 스트레스, 동맥경화 간의 연관성이 밝혀 지면서 소듐 이온 센서 개발의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3].
이온 농도를 측정하는 방법은 크게 두 가지로 나뉘며, 광학적인 메커니즘에 기반한 흡수, 형광, 라만 스펙트로스 코피(spectroscopy)와 전극 표면의 이온 농도를 전자 농도 로 변환하는 전기화학적 방법이 있다. 이 두 가지 방법의 장점을 조합한 형태로, 표면 이온 농도에 따라 색상이 변 화하는 염료 전극과 스마트폰 카메라로 색을 감지하는 Gx Sweat 패치 시스템이 시장에 출시된 바 있다. 그러나 의학 계에서 유의미하게 사용되기 위해서는 데이터를 정량적으 로 정확하게 측정하는 시스템의 개발이 필수적이며, 센서 개발 및 무선 통신, 인공지능, 네트워킹 등 복합적인 연구 개발이 이루어져야 한다. 재료 관점에서는, 패키징에 적합 하도록 센서를 소형화함과 동시에 전극의 민감도를 높이 고 우수한 안정성을 지니도록 설계하는 것이 중요하다.
차세대 이온 센서 형태에 적합한 전고체 이온 선택성 전 극(all-solid-state ion-selective electrodes, ISEs)은 건강 관 리를 위한 모바일, 웨어러블 기기 등에 적용되고 있다. 이 센서는 전기화학적 메커니즘을 기반으로 이온의 농도를 판별하는 이온선택성 전극(즉, 작업 전극)과 기준 전극 및 상대 전극으로 이루어진다. 작업 전극은 이온 선택성 멤브 레인(ion-selective membrane, ISM), 이온–전자 변환층(ionto- electron transducer), 전도체(conductor)로 이루어지며, 이 중 이온–전자 변환층은 이온 농도에 대응하는 전하를 유지하고 전달하는 커패시터 역할을 한다[4, 5]. 큰 커패시 턴스를 지니는 이온-전자 변환층을 사용하면 측정 전압의 변동폭이 줄어들고 정확한 감지 성능, 센서의 신뢰성을 향 상시킬 수 있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6]. 또한, 총 커패시 턴스를 이루는 레독스 커패시턴스(redox capacitance)와 전 기 이중층 커패시턴스(electrical double-layer capacitance) 값을 조절하는 등 전극 표면에 흡착되고 반응하는 정도를 최적화하여 센서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7, 8].
전기 이중층 커패시턴스는 전하의 흐름을 안정화하기에 효과적이기 때문에 센서 전극 형성 시 중요하게 고려되고 있다[4, 6]. 이온-전자 변환층의 전기 이중층 커패시턴스를 증가하고자 그래핀, 탄소 나노튜브(carbon nanotube, CNT) 및 금 나노입자 등 나노 구조 물질을 도입한 사례가 보고 된 바 있다[4, 9]. Wang(2017)은 금 나노덴드라이트(gold nanodendrita, AuND)를 합성하여 덴드라이트 구조의 큰 비표면적과 커패시턴스에 따른 높은 안정성을 구현하였지 만, 전극 형성 시 포토리소그래피 과정을 사용하여 높은 처리 비용을 요구하는 단점이 있다[10]. Crespo(2008)은 큰 비표면적과 커패시턴스를 지니는 물질로, 전하 전달력 비용 효율성이 탁월한 것으로 알려져 있는 단일벽 탄소나 노튜브(single-walled CNT, SWCNT)를 기반으로 한 이온- 전자 변환층을 제작하여 안정성이 뛰어난 이온 센서를 제 작하였다[4]. 이러한 CNT 표면에 나노입자를 형성하면 커 패시턴스가 상당히 증가함이 보고되어 있으나, 주로 화학 적인 기능화와 입자 증착을 필요로 하여 복잡한 다수의 공정을 요구한다. 예를 들어, 금 입자 형성 전 선행되어야 하는 탄소 표면의 기능화는 수산화물과 함께 400도 이상 의 고온 열처리를 필요하거나, 화학적 기능화 시 주로 DMF(dimethylformamide) 또는 톨루엔(toluene)과 같은 인 체에 유해한 용매를 사용한다[11]. 또한, 화학적 증착 법에 따른 CNT 표면 금 입자 형성 공정은 전구체 용액 내 긴 시 간의 반응과 원심 분리 및 세척과정을 필요로 한다[4, 12].
본 연구에서는 큰 전기 이중층 커패시턴스 값을 갖는 금 입자가 도포된 CNT 변환층 기반 필름 센서를 제작하였다. 전도성 필름에 CNT 드랍 캐스팅, CNT 상단에 전기화학 적으로 금 입자 형성 및 이온 선택성 멤브레인(ISM)을 증 착하는 비교적 간단한 방법으로 높은 커패시턴스를 구현 하였다. 또한, 이온 선택성 전극(ISE)의 안정성에 주로 기 여하는 전기 이중층 커패시턴스 기여분을 조사하기 위하 여 순환 전압전류법(cyclic voltammetry, CV) 및 디콘볼루 션(deconvolution)을 진행하였다. 체액의 나트륨 범위를 포 함하는 10-3~ 1M 범위에서 센서의 감응도를 평가하였으 며, 그 값이 이론치와 유사하며 대기 중 보관 50일 후에도 유지됨을 확인하였다. 또한, 최적화한 필름형 센서를 모바 일, 무선형 회로와 연결하여 차세대 현장 진단 기기로서의 가능성을 평가하였다.
2.1 이온 선택성 전극(ISE) 제작 및 구조 분석
먼저, 실리콘 웨이퍼 상단에 포토리소그래피 방식을 사 용하여 각각 5 nm, 200 nm 두께의 크롬/금(chromium/gold, Cr/Au) 박막 패턴을 형성하여 금 전극을 형성하였다. 패턴 의 주변은 폴리이미드(polyimide, PI)로 절연하여 센서 전 극 표면(25 mm2)과 도체 패드를 선택적으로 노출하였다( 그림 1a). 금 전극 표면을 이온-전자 변환층으로 코팅하기 위해 인산완충식염수(1x Phosphate-buffered saline, PBS, pH = 7.4, Gibco by Life Technologies)에 4mg/mL 초음파 분산한 단일벽 CNT(single-walled carbon nanotubes, SWCNTs, Sigma Aldrich)를 드랍 캐스팅하였다(그림 1b). 그 후 CNT 표면에 금 입자를 증착하기 위하여, CNT가 도 포된 전극을 작업 전극으로, 백금 막대를 상대 전극으로 한 2전극 시스템을 구축하고(그림 1c), 증착 용액으로 bright electroless gold plating solution(Aldrich)을 사용하였다. 상 기 용액은 주로 금의 무전해 도금에 사용되며, 5-10%의 ammonium hydroxide, 5-10% citric acid monohydrate, 5- 10% ethylenediaminetetraacetic acid tetrasodium salt tetrahydrate, 1-2.5% potassium dicyanoaurate(I)를 함유하고 있다. 주로 인쇄 회로 기판(printed circuit board) 등에 형성한 금 속 표면에 무전해 도금하기 위한 용액으로 사용되나, 본 연구에서는 CNT 표면에 나노입자가 고르게 분산된 표면 을 만들기 위해 전해 도금 법을 적용하고, 외부 전압 인가 조건을 최적화하였다. 증착 방법으로는 작업 전극을 핫플 레이트에 올려 온도를 90도로 유지한 상태에서 순환 전압 전류법(CV)을 이용하여 -1.8 V ~ -2.3 V의 전압범위를 5번, 10번, 30번, 100번 순환하였다. 추가적으로, 선형주사전위 법(linear sweep voltammetry, LSV)을 이용하여 -1.0 V에서 -3.0 V로 세 번 훑음 전압(sweep voltage)을 인가하여 CNT 표면을 기능화하였다[13]. 형성된 전극은 증류수로 세척하 여 오븐에서 30분간 건조하였다. 형성된 입자의 형상을 분 석하기 위하여 주사전자현미경(SEM, Hitachi 8230) 이미 지를 획득하였다.
Fig. 1

Experimental setup for creating a high-capacitance Au-coated CNT film electrode. (a) Schematic diagram of gold (Au) surface encapsulated by a polyimide (PI) film, created using a conventional microfabrication process. (b) A cross-sectional diagram of the Au electrode being covered with carbon nanotube (CNT) using a drop casting technique. (c) Photographs depicting a two-electrode system, featuring the CNT electrode (anode) heated to 90°C on a hotplate, and a vertically positioned platinum (Pt) counter electrode, functioning as the cathode.

KPMI-30-4-310_F1.gif
건조 후 상온에서 전극 표면에 이온 선택성 멤브레인 (ISM) 3 μL를 드랍 캐스팅하여 이온 선택성 전극(ISE)을 형성을 완료하였다. 이온 선택성 멤브레인(ISM)은 2.67 mg의 4-tert-butylcalix[4-arene-tetraacetic acid tetraethyl ester(sodium ionophore X, Aldrich, 97%), 88 mg의 high molecular weight poly(vinyl chloride) (PVC, Aldrich, 1.4 g/mL at 25°C(lit.)), 174.53 mg의 bis(2-ethylhexyl) sebacate (DOS, Aldrich, 97+%), 1.47 mg의 sodium tetrakis-3,5- bis(trifluoromethyl)phenyl] borate(NaTFPB, Alfar Aesar, 97%)를 2mL의 tetrahydrofuran(THF, Aldrich, 99.9%)에 녹여 제조하였다[14]. 드랍 캐스팅 후 전극은 상온에서 24 시간 동안 건조한 뒤 사용하였다.
2.2 커패시턴스 측정
커패시턴스 값은 3전극셀을 형성하고 Gamry potentiostat (Interface 1010E, Gamry Instruments Inc.)를 이용하여 순 환 전압전류법(CV)으로 측정하였다. CNT 전극과 CNT에 금 입자가 도포된 전극을 서로 다른 작업 전극으로, Ag/ AgCl(sat. KCl)와 백금 막대 전극을 각각 기준 전극과 상 대 전극으로 하고, 100 mL NaCl를 전해질로 사용하였다. 커패시턴스 분석을 위해 100 mM NaCl 용액에서 주사 속 도를 2에서 100mV/s로 바꾸면서 순환 전압전류법(CV) 곡선을 얻었다.
서로 다른 스캔 속도로 그린 순환 전압전류법(CV) 그래 프로부터 최대 커패시턴스를 구성하는 두 부분인 용량 과 정(capacitive process, Ccap)과 확산 제어 과정(diffusioncontrolled process, Cdiff)을 디콘볼루션(deconvolution)하여 도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일반적으로, 표면 반응(surfacedominant reactions)이 주도적일 때는 전류가 스캔 속도(ν) 와 선형적으로 변화하며, 확산(diffusion)에 의해 제어될 때 전류는 ν0.5와 선형적인 관계를 보인다[15]. 따라서 모 든 가능한 경우를 고려한 일반적인 관계는 다음 방정식으 로 나타낼 수 있다:
i = icap + idiff = k1ν + k2ν0.5
k1과 k2는 상수이고 ν는 스캔 속도이다. 양쪽을 스캔 속 도의 제곱근으로 나누면 다음과 같은 방정식이 도출된다:
i/ν0.5 =k1ν0.5+k2
따라서, 주어진 전압에서 i/ν0.5와 ν0.5에 대한 그래프를 그리면 기울기가 상수 k1이고 y-절편이 k2인 선을 얻을 수 있다. 따라서 용량 과정에 의한 표면 반응과 연관된 k1ν와 확산 제어 과정과 연관된 대량 반응인 k2ν0.5를 분리하여 정량적인 값을 얻을 수 있다. 더 자세한 내용은 선행 문헌 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15-17].
2.3 이온 센서 특성 평가
커패시턴스 측정에 사용된 동일 3전극셀을 사용하여 이 온 센서의 특성을 평가하였다. 농도가 10-3, 10-2, 10-1, 1 M 인 NaCl 수용액을 제작하고 각각의 농도에서 개방회로 전 위(open circuit potential, OCP)를 측정하여 감응도를 얻었 다. 상기 감응도는 제작 후 1일 이내, 50일 후 세 번씩 측 정하였다. 또한, 동일 농도의 KCl(Fisher Chemical, 99.0- 100.5%), MgCl2·6H2O(Fisher Chemical, 99.999%), CaCl2· 2H2O(Fisher Chemical, 99+%) 용액을 제작하여 K+, Mg2+, Ca2+ 방해 이온에 대한 선택성을 확인하였으며 선택성 계 수를 계산하였다.
2.4 기준전극 형성
필름형 전극으로 구성된 소형 센서를 형성하기 위하여 필름형 레퍼런스 전극을 제작하였다. 먼저 실리콘 웨이퍼 에 타이타늄과 은을 각각 50 nm, 500 nm 증착하고 진공 오븐에서 320°C에서 30분 동안 열처리하였다. 표면을 0.1 M KCl과 10mM 염산을 섞은 수용액에서 0.1 부터 0.3 V 까지 순환 전압전류법(CV)으로 표면에 균일한 염화은 층 을 형성한 Ag/AgCl을 제작하였다. 이때 기준전극으로써 안정적인 전위를 나타내도록 표면에 78.1 mg PVB, 50 mg KCl을 1 mL 메탄올에 교반한 멤브레인 및 Nafion(5 wt%, Aldrich)을 증착하여 염화이온이 Ag/AgCl로부터 측정 용 액으로 확산됨을 방지하였다.
2.5 회로와 통합된 센서 제작
선행 연구에 사용된 것과 동일한 전압 측정 회로를 사 용하였다[14]. 간단하게는 전압 신호를 증폭시켜주는 opamp, 배터리 조정기, 무선 통신 모듈을 탑재한 회로로 구 성되었다. Op-amp 게인 값은 1로 조절하여 테이블탑 장비 로부터 측정한 감응도와 일치도를 평가하였다.
상기 회로의 전극 패드에 금 입자 도포된 CNT 전극과 기준전극을 솔더링과 은 페이스트를 사용하여 연결하였다. 서킷, 배터리, 전극의 모든 부품은 슬라이드 글라스와 실 리콘(Ecoflex 00-30) 상단에 올리고, 전극 표면과 배터리 충전부 외 전도성 있는 부분은 실리콘으로 마감하였다. 제 작된 모바일 이온 센서 기기의 센서 표면에 10-3, 10-2, 10-1, 1M NaCl 수용액을 떨어뜨려 측정한 데이터를 테이블탑 기기(Gamry 1010E)를 사용하여 측정한 데이터와 비교하 여 감응도의 일치성을 평가하였다.
3.1 Au NPs-CNT 구조 분석 결과
Au NPs-CNT 기반 이온 선택성 전극(ISE)은 금 패턴 웨 이퍼에 CNT 드랍 캐스팅, 금 입자의 전기화학적 증착, 이 온 선택성 멤브레인(ISM)의 코팅 과정을 통해 제조하였다 (그림 1). 자세한 실험 방법은 2.1. 절에 서술하였다. 그림 2는 금 증착 용액을 사용하여 CNT 전극에서 얻은 선형주 사전위법(LSV) 그래프이다. LSV 그래프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1.8 V ~ -2.3 V의 넓은 범위에서 금의 환원 반응이 일 어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반응식은 다음과 같다[18].
Au(CN)2- + e- + 2H+Au+2HCN
Fig. 2

Linear sweep voltammetry graph of CNT in bright electroless gold deposition solution.

KPMI-30-4-310_F2.gif
CNT 상단에 금 입자를 균일하게 도포하기 위하여, LSV 그래프에서 나타난 증착 범위를 고정하고 순환 전압전류 법(CV) 증착 방식을 채택하였다. 이 방법은 나노입자를 CNT, 산화티타늄 등의 표면에 증착하고 형상 제어하기에 적합한 방법으로 사용된다[19, 20]. 그림 3은 증착 중 순 환 횟수를 5번, 10번, 30번, 100번으로 조절한 Au NPs- CNT 표면의 형상 SEM 사진이다. 5번 순환 뒤 형성된 금 입자는 CNT의 불규칙한 표면에서 표면 에너지를 낮추는 방향으로 우선 증착되어 전극 표면에 고르게 분포하지 않 았다. 이러한 문제는 핵 생성과 성장 전압 범위에 걸친 순 환 인가전압의 반복 횟수를 높였을 때 해결되었으며, 그림 3(b)-(d)와 같이 표면에 분산된 입자를 얻었다. 순환 횟수 가 30번일 때는 입자가 응집된 형상이 확인되었고, 100번 이상일 때는 조대하게 성장하였으므로 순환 횟수를 10회 로 최적화하였다.
Fig. 3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SEM) images of the surface of Au NPs-coated CNT via cyclic voltammetry deposition method (scale bar: 1 μm).

KPMI-30-4-310_F3.gif
3.2 커패시턴스 분석 결과
커패시턴스를 비교하기 위하여, CNT 상단 금 입자 형 성 조건을 최적화한 Au NPs-CNT 전극과 CNT 전극을 동 일한 소듐 이온 선택성 멤브레인(ISM)으로 증착한 뒤 100 mM NaCl 수용액에 담가 CV 곡선을 얻었다. 그림 4 와 같이 CNT 대비 Au NPs-CNT를 전하-이온 변환층으로 사용하였을 때 전극의 커패시턴스가 상당히 증가한 것을 볼 수 있다. 그림 5(a)(b)는 각각 CNT와 Au NPs-CNT 전극으로부터 순환 속도를 2-100 mV/s로 조절하면서 얻은 CV 그래프이다. 그림 4의 결과와 같이 면적 용량(areal capacity, dC/dV)은 모든 스캔 속도에서 AuNPs-CNT가 CNT 전극보다 높았다. 또한, Au NPs-CNT 전극의 경우 200 mV, 60 mV에서 산화 환원 피크가 관찰되었으며, 이는 Au NPs의 촉매 특성에 기인한 것으로 사료된다[21, 22]. 상기 데이터를 사용하여 환원 산화 피크 전류(ip)의 선형 비례성을 계산하였을 때, 그림 5(c)와 같이 b = 0.3인 음극 선(cathodic line)으로 나타난다(ip= aνb). 총 전류(i)를 천천 히 진행되는 확산 제어와 관련된 전류(idiff)와 전기 이중층 과 연관된 전류(icap)의 합으로써 아래와 같이 나타낼 때,
i = icap+ idiff = aνb
Fig. 4

Comparison of cyclic voltammetry graphs obtained from the CNT/ISM (black) and Au NPs-CNT/ISM electrodes (red) in 100 mM NaCl solution.

KPMI-30-4-310_F4.gif
Fig. 5

Deconvoluting surface and bulk charge data. (a) CV graphs from CNT/ISM at scan rates of 2-100 mV, (b) CV graphs from Au NPs-CNT/ISM, (c) the dependence of parameter b, and (d) dependence of surface/bulk charge ratio on sweep rate.

KPMI-30-4-310_F5.gif
변수 b는 log i와 log ν의 선형 플롯의 기울기에서 결정 되며, 전기화학 반응에 대한 속도론적 정보를 제공하는 데 사용된다[15]. b 값이 1일 경우, 빠른 표면 활성도 및 전기 이중층 충방전과 같은 빠른 표면 활동을, 반면 b 값이 0.5 인 경우, 확산 제어 과정을 나타낸다. 따라서 b=0.3는 확 산 지배 과정(bulk-diffusion-controlled process)의 특징으 로, 이상적인 이온 선택성 전극(ISE)으로 작동하려면 전체 커패시턴스 값은 높이면서 표면 지배 과정(surfacecontrolled process)에 의존하도록 즉, 전기 이중층 값을 증 가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CV 그래프로부터 전극에 이온이 전달되는 두 가지 주 요 메커니즘인 용량 과정(capacitive process, Ccap)과 확산 제어 과정(diffusion-controlled process, Cdiff)에 의존하는 커패시턴스를 디콘볼루션하여 그림 5(d)에 나타내었다. 전 기 이중층과 연관된 표면 전하에 해당하는 Ccap는 모든 ν 범위에서 거의 일정하게 유지되었으며, ν = 2 mV/s에서 Au NPs-CNT(1.34 mF·cm2)의 값이 CNT(0.46 mF·cm2)의 경우보다 약 3배 높게 계산되었다. 이는 Au NPs을 형성 한 뒤 전체 커패시턴스와 함께 전기 이중층 커패시턴스가 모두 증가함을 의미한다. 그러나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이상적 이온 선택성 전극(ISE)으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재 료 디자인 관점에서 최대한 전기 이중층 커패시턴스를 지 니는 물질을 이온-전하 변환층으로 사용하고, 비패러데이 (non-Faradaic) 반응 구간에서 순환하여 b 값과 Ccap 값을 도출하는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23].
3.3 이온 센서 성능 평가 결과
그림 6는 이온 센서의 감응도와 선택성을 평가한 그래 프이다. 그림 6(a)는 센서를 제조하고 24시간 이내 세 번 측정한 데이터를 제조 50일 후 동일 샘플에서 측정한 것 과 비교한 그래프이다. 측정된 10-3~1 M의 소듐 농도는 체 액 범위(혈액 내 135-147 mM, 땀 10-90 mL, 타액 4-37 mM)를 포함하며, 건강 관리를 위한 센서로 사용 가능성 을 평가하기 위해 적합하다고 사료된다. 제조 직후 상온에 서 측정한 감응도는 57.1 mV/decade(standard deviation: 1.68 mV)로 이론치인 Nernst 퍼텐셜 59.2 mV/deacde에 가 까운 값을 나타냈다. 대기 중에서 50일 동안 보관 후 측정 한 샘플의 데이터는 모든 농도에서 감소한 전압 값을 보 이나, 감응도는 56.2 mV/decade(standard deviation: 3.8 mV) 로 거의 유지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초기 데이터와 비교하 여 낮아진 감응도 및 데이터 편차의 증가는 모두 전기화 학적 센서의 불안정성에 기인하며, 대기에서 이온화된 종 을 포함하는 물 분자가 수분 표면 양전하를 부여하여 전 압 감소가 일어나는 것으로 사료된다[24, 25]. 지속적인 건 강 관리에 사용할 수 있는 센서를 제작하기 위해서는 이 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Fig. 6

Sensor performance. (a) Sensitivity comparison of the optimized Au NPs/CNT-based sodium ion sensor at Day 1 and Day 50 after preparation (number of samples: 3). (b) Selectivity of the sensor to interfering substances including K+, Ca2+, and Mg2+ ions.

KPMI-30-4-310_F6.gif
그림 6(b)는 센서의 선택성을 동일한 농도의 방해이온 수용액에서 측정된 값과 비교한 데이터이다. 표 1은 IUPAC 방법에 따라 아래 식을 이용하여 계산된 선택성 계수 값을 나타낸다[26].
LogKpotA,B=(EB-EA)zAF/2.303RT+(1zA/zB)logαA
Table 1

Selectivity coefficient of the film ISE

Interfering ion, J Selectivity coefficient (KpotNa+ J)

K+ -1.74
Mg2+ -5.70
Ca2+ -6.11
이때 E는 전위, A는 목표 이온, B는 방해 이온, z는 이 온의 원자가, F는 페러데이 상수, R은 기체 상수, T는 온 도, α는 활성도를 나타낸다. 소듐 이온 측정 시 특히 심한 방해요소가 되는 포타슘 이온에 대한 선택성 계수는 -1.74 로, 기존에 보고된 CNT/PVC에서의 값이 -2.4인 것과 비 교하여 좋지 못한 성능을 보였다[27]. 따라서 장기간 안정 성을 얻기 위해 커패시턴스를 증가시키는 것과 동시에 선 택성을 높이기 위해 상기 변환층과 전극부, 멤브레인의 접 착도를 향상하는 것이 중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3.4 회로와 통합한 센서 특성 평가
본 연구에서 최적화한 소형 필름형 이온 센서 전극의 실 제 사용 가능성을 판단하기 위하여, 필름형 레퍼런스 전극 과 함께 전자회로와 연결하여 휴대형 이온 센서 기기를 제작하였다. 전자회로는 무선 통신 모듈과 전압 측정 모듈 을 포함하도록 디자인되었다. 웨이퍼 조각에 형성된 각 전 극을 회로의 패드에 연결하고, 작업 전극과 기준 전극의 표면이 동시에 분석 용액에 노출될 수 있도록 우물 형태 로 마감하였다(그림 7(a)). 모든 부품은 7.6 × 3.9 cm 크기 의 슬라이드 글라스 상단에 올려 실리콘(Ecoflex)으로 형 상을 고정하였다. 제작된 모바일 이온 센서 기기는 블루투 스로 작동하는 앱과 연결하여 실시간 데이터를 측정하였 다. 그림 7(b)는 세 가지 서로 다른 농도의 용액을 사용하 여 캘리브레이션 데이터를 얻는 중 촬영한 사진이다. 데이 터의 변화를 빠르게 확인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으며, 이는 안정적이고 빠른 감응 속도를 나타내는 센서 구동 성능에 기인한다.
Fig. 7

Photographs of a film-type ISE-integrated wireless sensor device. (a) The mobile device integrated with a battery, wireless circuit, and film electrodes. (b) Real-time calibration data from the ion sensor circuit.

KPMI-30-4-310_F7.gif
그림 8에 회로와 연결된 센서 데이터를 그래프화하여 나타내었다. 테이블탑 장비를 사용하여 측정된 감응도와 비교하기 위해 10-3~ 1M의 NaCl 용액을 사용하여 캘리브 레이션 하였다. 그림 8(a)는 용액을 교체하는 중 신호 잡 음을 제외하고 안정적인 신호를 나타냄을 보인다. 14분의 시간 후 나타나는 신호 잡음은 측정 시 기기 움직임에 의 한 것으로, 추가적인 기기 패키징 등으로 극복할 수 있다. 그림 8(b)는 상기 데이터에서 추출한 감응도 그래프로, Nernst 퍼텐셜 및 테이블탑 기기에서 얻은 것과 유사한 58.1 mV/decade의 감응도를 나타낸다. 따라서 본 연구에 서 제작한 필름형 센서 전극은 이론치에 가까운 감응도, 빠른 감응 속도와 안정성을 나타내며 소형의 이동식 센서 와 통합하여 사용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Fig. 8

Sensor data measured by using a mobile, wireless ion sensor device. (a) Real-time voltage data measured by using NaCl solutions with different concentration of 10-3, 10-2, 10-1, and 1 M. (b) Sensitivity plot calculated from the data (a).

KPMI-30-4-310_F8.gif
본 연구에서는 차세대 이온 센서로 사용될 수 있는 전 기화학적, 소형, 전고체 이온 선택성 전극(ISE)을 제조하 고, 장기간 안정성을 얻기 위해서 전자-이온 변환층의 커 패시턴스를 증가시키고자 하였다. CNT에 금 입자를 형성 하여 커패시턴스 및 전기 이중층 커패시턴스를 증가시키 는 데 성공하였으나, 장기간 보관 후 표면 반응에 의한 전 압 변화를 줄이기 위한 지속적인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소형의 필름 형상은 모바일 기기로써 사용되기 에 적합하며, 재료 관점에서 비표면적이 큰 기능성 나노재 료를 사용하여 전극 물질 층간 접합도와 전기 이중층 커 패시턴스 기여분을 높이고 감응도와 선택성을 향상시켜 의료 환경에서 실제 적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Acknowledgements
이 논문은 부경대학교 자율창의학술연구비(2021년)에 의하여 연구되었음.
  • 1. A. Koh, D. Kang, Y. Xue, S. Lee, R.M. Pielak, J. Kim, T. Hwang, S. Min, A. Banks, P. Bastien, M. C. Manco, L. Wang, K. R. Ammann, K.-I. Jang, P. Won, S. Han, R. Ghaffari, U. Paik, M. J. Slepian, G. Balooch, Y. Huang and J. A. Rogers: Sci. Transl. Med., 8 (2016) 366ra165. ArticlePubMedPMC
  • 2. J. R. Sempionatto, A. Martin, L. García-Carmona, A. Barfidokht, J. F. Kurniawan, J. R. Moreto, G. Tang, A. Shin, X. Liu, A. Escarpa and J. Wang: Electroanalysis, 31 (2019) 239. Article
  • 3. M. Parrilla, M. Cuartero and G. A. Crespo: TrAC, Trends Anal., Chem. 110 (2019) 303. Article
  • 4. G. A. Crespo, S. Macho and F. X. Rius: Anal. Chem., 80 (2008) 1316. ArticlePubMed
  • 5. B. Lassaad, A. Baraket, N. M.Nooredeen, M. Ali, M. Abbas, J. Bausells and A. Errachid: Electroanalysis, 29 (2017) 1586. Article
  • 6. M. Cuartero, J. Bishop, R. Walker, R. G. Acres, E. Bakker, R. De Marco and G. A. Crespo: Chem comm., 52 (2016) 9703. ArticlePubMed
  • 7. P. Sharma and T. S. Bhatti: Energy Convers. Manag., 51 (2010) 2901. Article
  • 8. A. Mortari, A. Maaroof, D. Martin and M. B. Cortie: Sens. Actuators B: Chem., 123 (2007) 262. Article
  • 9. H. Beitollahi, F. Movahedifar, S. Tajik and S. Jahani: Electroanalysis, 31 (2019) 1195. Article
  • 10. S. Wang, Y. Wu, Y. Gu, T. Li, H. Luo, L.-H. Li, Y. Bai, L. Li, L. Liu, Y. Cao, H. Ding and T. Zhang: Anal. Chem., 89 (2017) 10224. ArticlePubMed
  • 11. H. Ma, Z. Chen, X. Gao, W. Liu and H. Zhu: Sci. Rep., 9 (2019) 17065. ArticlePubMedPMC
  • 12. J. Song, F. Wang, X. Yang, B. Ning, M. G. Harp, S. H. Culp, S. Hu, P. Huang, L. Nie, J. Chen and X. Chen: JACS, 138 (2016) 7005. ArticlePubMedPMC
  • 13. E. Senokos, M. Rana, C. Santos, R. Marcilla and J. J. Vilatela: Carbon, 142 (2019) 599. Article
  • 14. H.-R. Lim, Y.-S. Kim, S. Kwon, M. Mahmood, Y.-T. Kwon, Y. Lee, S. M. Lee and W.-H. Yeo: Sensors, 20 (2020) 3297. ArticlePubMedPMC
  • 15. J. Liu, J. Wang, C. Xu, H. Jiang, C. Li, L. Zhang, J. Lin and Z. X. Shen: Adv. Sci., 5 (2018) 1700322. ArticlePubMedPMC
  • 16. J. Duay, S. A. Sherrill, Z. Gui, E. Gillette and S. B. Lee: ACS Nano, 7 (2013) 1200. ArticlePubMed
  • 17. Z.-H. Huang, T.-Y. Liu, Y. Song, Y. Li and X.-X. Liu: Nanoscale, 9 (2017) 13119. ArticlePubMed
  • 18. W. Chrzanowski, Y. Li and A. Lasia: J. Appl. Electrochem., 26 (1996) 385. Article
  • 19. H. Heydari, M. B. Gholivand and A. Abdolmaleki: Mater. Sci. Eng. C, 66 (2016) 16. ArticlePubMed
  • 20. E. Paradowska, K. Arkusz and D. G. Pijanowska: Biosensors, 9 (2019) 138. ArticlePubMedPMC
  • 21. R. Hajian, N. A. Yusof, T. Faragi and N. Shams: PLOS ONE, 9 (2014) e96686. ArticlePubMedPMC
  • 22. B. Yan, R. P. Bisbey, A. Alabugin and Y. Surendranath: J. Am. Chem. Soc., 141 (2019) 11115. ArticlePubMed
  • 23. T. Wang, C. Cui, Y. Huang, Y. Fan, Z. Xu, L. Sarge, C. Bagtzoglou, C. Brückner, P. Gao and B. Li: Environ. Sci. Nano, 9 (2022) 2149. Article
  • 24. M. Guzinski, J. M. Jarvis, P. D’Orazio, A. Izadyar, B. D. Pendley and E. Lindner: Anal. Chem., 89 (2017) 8468. ArticlePubMed
  • 25. E. Zdrachek and E. Bakker: Anal. Chem., 91 (2018) 2. ArticlePubMed
  • 26. Y. Umezawa, P. Bühlmann, K. Umezawa, K. Tohda and S. Amemiya: Pure Appl. Chem., 72 (2000) 1851. Article
  • 27. J. Zhu, X. Li, Y. Qin and Y. Zhang: Sens. Actuators B: Chem., 148 (2010) 166.Article

Figure & Data

References

    Citations

    Citations to this article as recorded by  

      • PubReader PubReader
      • Cite this Article
        Cite this Article
        export Copy Download
        Close
        Download Citation
        Download a citation file in RIS format that can be imported by all major citation management software, including EndNote, ProCite, RefWorks, and Reference Manager.

        Format:
        • RIS — For EndNote, ProCite, RefWorks, and most other reference management software
        • BibTeX — For JabRef, BibDesk, and other BibTeX-specific software
        Include:
        • Citation for the content below
        Capacitance Enhancement and Evaluation of Gold-Deposited Carbon Nanotube Film Ion-Selective Electrode
        J Powder Mater. 2023;30(4):310-317.   Published online August 1, 2023
        Close
      • XML DownloadXML Download
      Figure
      • 0
      • 1
      • 2
      • 3
      • 4
      • 5
      • 6
      • 7
      Capacitance Enhancement and Evaluation of Gold-Deposited Carbon Nanotube Film Ion-Selective Electrode
      Image Image Image Image Image Image Image Image
      Fig. 1 Experimental setup for creating a high-capacitance Au-coated CNT film electrode. (a) Schematic diagram of gold (Au) surface encapsulated by a polyimide (PI) film, created using a conventional microfabrication process. (b) A cross-sectional diagram of the Au electrode being covered with carbon nanotube (CNT) using a drop casting technique. (c) Photographs depicting a two-electrode system, featuring the CNT electrode (anode) heated to 90°C on a hotplate, and a vertically positioned platinum (Pt) counter electrode, functioning as the cathode.
      Fig. 2 Linear sweep voltammetry graph of CNT in bright electroless gold deposition solution.
      Fig. 3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SEM) images of the surface of Au NPs-coated CNT via cyclic voltammetry deposition method (scale bar: 1 μm).
      Fig. 4 Comparison of cyclic voltammetry graphs obtained from the CNT/ISM (black) and Au NPs-CNT/ISM electrodes (red) in 100 mM NaCl solution.
      Fig. 5 Deconvoluting surface and bulk charge data. (a) CV graphs from CNT/ISM at scan rates of 2-100 mV, (b) CV graphs from Au NPs-CNT/ISM, (c) the dependence of parameter b, and (d) dependence of surface/bulk charge ratio on sweep rate.
      Fig. 6 Sensor performance. (a) Sensitivity comparison of the optimized Au NPs/CNT-based sodium ion sensor at Day 1 and Day 50 after preparation (number of samples: 3). (b) Selectivity of the sensor to interfering substances including K+, Ca2+, and Mg2+ ions.
      Fig. 7 Photographs of a film-type ISE-integrated wireless sensor device. (a) The mobile device integrated with a battery, wireless circuit, and film electrodes. (b) Real-time calibration data from the ion sensor circuit.
      Fig. 8 Sensor data measured by using a mobile, wireless ion sensor device. (a) Real-time voltage data measured by using NaCl solutions with different concentration of 10-3, 10-2, 10-1, and 1 M. (b) Sensitivity plot calculated from the data (a).
      Capacitance Enhancement and Evaluation of Gold-Deposited Carbon Nanotube Film Ion-Selective Electrode
      Interfering ion, J Selectivity coefficient (KpotNa+ J)

      K+ -1.74
      Mg2+ -5.70
      Ca2+ -6.11
      Table 1 Selectivity coefficient of the film ISE


      Journal of Powder Materials : Journal of Powder Materials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