덕산하이메탈,
국방과학연구소,
b울산대학교 첨단소재공학부
Duksan Hi-Metal Co. Ltd., Ulsan 683-804, Korea
aAgency for Defense Development, Daejon 305-600, Korea
bSchool of Materials Science & Engineering, University of Ulsan, Ulsan 680-749, Korea
© Korean Powder Metallurgy Institute
This is an Open-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3.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Specimen | wt% | at% |
---|---|---|
|
||
As-produced by EEW | 6.5 | 44.4 |
Reduced at 400°C for 120 min in H2 | 2.3 | 30.2 |
Reduced at 500°C for 60 min in H2 | 0.7 | 7.5 |
텅스텐 분말 내 산소 조성을 500°C에서 1시간 동안 수 소 분위기에서 환원 처리하여 0.7 wt%로 감소시켰을 때, 소결첨가제 없이 1600°C에서 1시간 동안 방전플라즈마소 결하여 상대밀도 97%의 고밀도 소결체를 얻을 수 있다.
초미세 텅스텐 분말의 산소 조성을 0.7 wt%로 제어한 경우, 입자 성장을 억제하면서 95% 이상의 고밀도를 얻기 위해서는 1500-1600°C 범위의 소결 온도에서 30분 이내의 소결 시간을 유지하여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소결 수축율 데이터로부터 구한 초미세 텅스텐 분 말의 방전플라즈마소결 활성화 에너지는 95.85 kJ∙mol−1 이었다. 이는 마이크론 크기 텅스텐 분말을 상압소결로 소결하였을 때 조사, 보고된 활성화 에너지 값인 380- 460 kJ∙mol−1에 비해 현저히 낮은 값으로 텅스텐 나노분 말의 입자 크기에서 기인한 표면효과와 방전플라즈마소 결의 소결 촉진 효과가 복합적으로 작용했기 때문으로 사료된다.
Circuit | Capacitance | 2.2~3.2 mF | ||||||
---|---|---|---|---|---|---|---|---|
Charging Voltage | 20 kV | |||||||
Wire | Materials | W | ||||||
Diameter | 0.3 mm | |||||||
Feeding Speed | 50 mm/s | |||||||
Ambient Gas | Species | Ar | ||||||
Pressure | 0.2 MPa | |||||||
Equipment | Fan Speed | 3000 rpm (4.5~5m/s) |
Specimen | wt% | at% |
---|---|---|
As-produced by EEW | 6.5 | 44.4 |
Reduced at 400°C for 120 min in H2 | 2.3 | 30.2 |
Reduced at 500°C for 60 min in H2 | 0.7 | 7.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