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양대학교 재료화학공학과
Department of Materials Science and Chemical Engineering, Hanyang University, ERICA Campus Ansan 426-791, Korea
© Korean Powder Metallurgy Institute
This is an Open-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3.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기술적 측면 | 경제적 측면 |
---|---|
|
|
제조공정기술의 선택 신뢰성 | 장비가격과 분말가격 |
장입소재의 선택 신뢰성 | 장입소재/특성 표준 |
공정변수 제어와 제품특성제어신뢰성 | 3D프린팅 기술의 사업화 가능성 |
Anchor 소재는 Star-brand와 유사한 개념으로써, 현재 시점에서 3D프린팅 시장을 주도하는 대표소재이다. 향후 표준화 경쟁이 높고, 대량생산 - 대량소비가 가능한 소재 로 예측되기 때문에, 단기(1단계)로 정의된 기간에 개발지 원이 이루어 져야 한다. 금속 3D프린팅 소재 중에서는 Fe 계 합금소재(Maraging steels/tool steels), Al계 합금소재 (Al-Si/Al-Cu), Ti계 합금소재(TiAlV), Co계 합금소재(Co- Cr)가 이에 해당한다.
Niche 소재는 현재 경쟁 중인 Anchor 소재를 3D프린 팅 기술별로 최적화한 소재(화학조성 최적화, 소재특성 최 적화)이며, 3D프린팅 최적화라는 측면에서 상당 기간의 검증과정이 필요한 소재이다. 금속 소재의 경우 나노석출 상 분산형 합금소재, 고온/고융점용 합금, 저가보급형 Ti 및 Ti합금 분말 등이 이에 해당된다.
Hybrid(Smart) 소재는 소재복합화나 다층구조, 경사 구조 등의 소재구조설계를 통해 새로운 물성을 제시하는 것으로, 시장이 성장기에 도입한 이후에 요구될 전망이다. 금속 소재로는 환경 능동대응형 신소재(자기 치유형 고강 도/고기능성 금속 및 하이브리드 3D프린팅 소재), 기능성 표면코팅 소재 및 공정(전자기파 흡수소재, 나노-마이크로 복합분말 등), 상압공정용 flux coated 분말(대형화/대량생 산용 대기 분위기 3D프린팅 장비 대응형 소재), 기능소자 임베디드 스마트 부품용 소재가 이에 해당된다.
1단계인 Anchor 소재 개발에서는, Atomization 기술 및 생산기반기술 개발을 통한 소재활성 및 소재특성제어 양산기술 개발이 필요하며, 산업 확장 및 market share 확 장이 중요시되는 1단계의 특성상, 전략적으로 1500°C이하 금속 소재에 대한 기술 개발에 집중해야 한다. 또한, 금속 기반 3D프린팅의 보급 확산에 큰 걸림돌 중 하나인 전처 리, 후처리 공정 기술 개발이 필요하다. 아울러, 표준화 이 슈를 해결하기 위한 글로벌 전략 표준소재 신뢰성에 관한 전 주기 표준 프로토콜 개발이 이루어 져야 한다.
2단계인 Niche 소재 개발에 있어서는 고융점 금속 소 재에 대한 전략적 개발이 필요하며, 물질순환기술과 연계 한 극한환경/고융점 소재의 구상화 기술 개발이 필요하다.
3단계인 Hybrid 소재에 있어서는, 환경인식형 능동소 자 등과 같은 응용분야 별 맞춤형 소재 개발에 주력해야 하며, 신뢰성 확보를 위한 전주기 고장발생 억제기술에 대 한 완성이 요구된다.
기술적 측면 | 경제적 측면 |
---|---|
제조공정기술의 선택 신뢰성 | 장비가격과 분말가격 |
장입소재의 선택 신뢰성 | 장입소재/특성 표준 |
공정변수 제어와 제품특성제어신뢰성 | 3D프린팅 기술의 사업화 가능성 |
3D프린팅 공정 | 장입소재 | 금속분말 | 요구특성 |
---|---|---|---|
Binder jetting | 금속분말 잉크 | > 1 µm | 분산성 유변학적특성 |
Material extrusion | 슬러리 | > 10 µm | 분산성 유변학적특성 |
Powder bed fusion | 금속분말 코팅 금속분말 | 10 ~ 100 µm | 유동성 충진밀도 |
Directed energy deposition | 금속분말 금속분말 함유 선재 | 10 ~ 100 µm | 유동성 화학적안정성 |
구분 | 내용 | 해결방안 |
---|---|---|
소재선택의 제한성 | 3D프린팅 분야에 적합성이 인정된 소재의 종류가 부족하다(Fe계, Ti 계, Al 계, Ni계, 귀금속 등). 실제로, ASTM 표준소재는 4종 수준 | 표준소재화 및 소재 다양성을 확보 |
높은 소재가격 | 3D프린팅 금속 소재분야에 참여하는 소재기업이 부족하고, 소재 수 요기업의 정보부족 및 소재 수요기업의 경험부족과 고가 장비에 대 한 보수적 관점이 밸류체인의 활성화가 저하되어 가격이 상승하는 원인이 되고 있다. 또한, 장비제작업체가 소재공급에 관여(장비 보증 연계)하여 가격이 높게 형성되는 문제도 함께 작용 | 다양한 소재기업의 참여를 확대하고, 소재 검증을 위한 공공 테스트 베드의 활성화 및 공동구매 방식 (예, 생산자 COOP) |
3D프린팅 공정의 불확실성 | 공정기법과 공정전략에 따라서 제품특성에 영향을 미치는 소재의 민 감도가 높고, 소재변수와 공정변수의 스펙트럼이 넓어 대규모의 소 재-공정 최적화 과정이 요구되는 등 투자에 대한 불확실성이 높음 | 소재-장비-공정전략-평가 전 과정에 대 한 다양한 자료를 발생하고, 모델링-모 니터링 기술의 확보 |
Target 시장 | |
---|---|
금속 소재 | 기계, 자동차, 항공, 국방, 조선해양, 전기/전자부품, 정보통신 IoT, 메디컬 헬스케어 금형, 공구 |
세라믹 소재 | 기계, 자동차, 항공, 국방, 금형기구, 전기/전자부품, 정보통신 IoT, 에너지 부품 소자, 메디컬 헬스 케어, 건설, 인테리어, 식기, 문화재 및 예술품, 수처리 및 공기정화용 필터 |
고분자 소재 | 기계, 자동차, 항공, 전기/전자부품, 정보통신 IoT, 에너지 부품 소자, 메디컬 헬스케어, 개인 엔터테인먼트, 개인 보호장 비, 스포츠, 인테리어 |
창의 소재 | 기계부품, 항공, 전기/전자 부품, 정보통신 IoT, 메디컬 헬스케어 |
내용 | 요약 |
---|---|
4대 원칙 | 1. 시장, 2. 기술, 3. Resources, 4. 제도 |
타 국가 상황의 학습 및 이용 방안 | 시장의 규모, 기술적 강점 및 성숙도, 산업 자원의 존재, 관련 제도의 정비 및 지원 상황이 국가별로 다르며, 3D프린팅 기술이 유발할 산업구조의 재편을 고려할 때, 선진국의 상황에 대한 맹목적 학습 금지 |
기술개발 지원 우선순위 | 국내 산업의 현황과 장점을 고려, Synergy 효과를 노릴 수 있는 3D프린팅 소재기술 개발을 우선적으로 지원 |
소재산업의 특성을 반영한 시장공략 전략 (Two track) | 3D프린팅 산업의 양대 business 모델을 고려, 3D프린팅 소재만을 해외 및, 기존 3D프린터 보유 소비 자에게 직접 판매하는 Two track 전략 수립 필요 |
3단계 추진전략 | Catch-up 전략, Leading 전략, Quantum jumping 전략 |
창의소재 | 금속, 고분자, 세라믹 및 이들의 복합 소재에 기존의 가공 방법으로는 구현되지 않는 창의적인 기능 을 부여하는 데에 중점을 둔다. 장기 개발 전략 말기에는 각 개별 소재의 장기 전략과 수렴함 |
병행지원 | 3D프린팅 소재기술 표준화 작업, 3D프린팅 소재 인력 양성 |
구분 | 소 재 | 문제점 |
---|---|---|
Fe 합금 | 공구강, SUS, 17-4PH |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음 다원계 합금 조성 필요 고밀도화를 위한 극미세화 저비용 분말 대량생산 |
Al 합금 | Al-Si, 6000계, 7000계 |
고반사율로 인한 고출력 열원 필요 다원계 합금 조성 필요 |
Ti 합금 | Ti-6Al-4V, TiAl, TiNi |
고융점으로 인한 분말 제조 어려움 금속간화합물의 낮은 인성 |
Refractory Metals | W, Mo, Re |
고융점으로 인한 분말 제조 어려움 금속간화합물의 낮은 인성 조형시 고출력 열원 필요 |
Ni 및 Co 합금 | Superalloy, Co-Cr |
비교적 고융점에 따른 낮은 치밀화도 (후가공 필요) 낮은 점성으로 인한 분말 내부 Void 형성 |
Mg 합금 | Mg 합금 |
폭발적인 산소친화력 높은 증기압에 따른 증발 문제 (합금조성 제어 어려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