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하대학교 신소재공학과
대한소결금속주(주)
b 생산기술연구원
c 고등기술연구원
Department of Materials Science and Engineering, Inha University, Incheon 22212, Republic of Korea
a R&D Center, Korea Sintered Metal Co., Ltd., Daegu 42983, Republic of Korea
b Korea Institute of Industrial Technology, Incheon 21999, Republic of Korea
c Institute for Advanced Engineering, Yongin, Gyeonggido 17180, Republic of Korea
© The Korean Powder Metallurgy Institute. All rights reserved.
Ni계 ODS 합금의 초기 압출 소재의 미세조직 관찰 결과, 평균 결정립 크기는 530 nm로 측정되었으며 방향성 을 가지지 않은 무질서한 결정립들로 구성된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밀링 시간을 현저히 감소시켰음에도 평균 19 nm 수준의 산화물들이 높은 개수 밀도로 고르게 분포 한 것으로 나타났다.
Zone annealing 속도에 따른 미세조직을 관찰해 본 결 과, 속도가 가장 낮은 2.5 cm/h 소재에서 크립 특성 향상 에 크게 기여하는 하중이 가해지는 방향과 평행한 <110 > 우선 배향이 확인되었다. 반면, 4, 6, 그리고 10 cm/h 조건 에서는 표면 부근에서 방향성 재결정과 함께 일부 우선 배향이 확인되었지만 2.5 cm/h 소재와 비교해볼 때 상대적 으로 방향성 재결정과 우선 배향이 잘 제어되지 않은 것 으로 나타났다.
경도 측정 결과, 상대적으로 조대한 결정립들로 구성 된 표면 부근이 미세 결정립으로 구성된 소재 내부와 비 교하여 높은 경도 특성을 나타냈다. 일반적으로 Hall- Petch 관계에 따라 미세 결정립이 뛰어난 기계적 특성을 나타내야 하지만 표면 부근의 2차 재결정 과정에서 산화 물의 특징(크기 및 분포) 역시 변화하여 경도 특성의 차이 를 야기시키는 것으로 유추할 수 있었다.
Zone annealing 속도에 따라 방향성 재결정과 우선 배 향이 달라지는 원인은 grain boundary energy Ggb와 pinning force Gpin의 관계에 따라 결정되는 것으로 나타났 다. 즉, 모든 조건을 비교해볼 때 2.5 cm/h 소재만이 Ggb가 Gpin보다 높은 값을 가져 방향성 재결정 현상이 발생한 것 을 알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