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한밭대학교 신소재공학과
b 한국생산기술연구원 대경지역본부 극한가공기술그룹
a Department of Materials Science & Engineering, Hanbat National University, Yuseong, Daejeon 305-719, Republic of Korea
b Ultimate Fabrication Technology Group, Korea Institute of Industrial Technology Daegyeong Regional Division, Republic of Korea
© The Korean Powder Metallurgy Institute. All rights reserved.
![]() |
적층조형 후 거시관찰을 한 결과 STS630은 3C와 4C 모재 위에서 원활히 적층될 수 있었다. 반면, Ti-6Al-4V의 조형은 3C와 4C 모재 모두에서 박리가 발생하여 실패하 였다.
SEM 관찰결과 MEA와 STS630의 접합계면은 평활하 였으며 균열 및 금속간화합물의 생성이 관찰되지 않았다. 반면, MEA와 Ti-6Al-4V간 접합계면에서는 많은 수의 미 세균열이 관찰되었다.
XRD 분석결과 MEA와 Ti-6Al-4V간 접합계면에서는 Ti3Ni4, TiCo, TiMn 등의 금속간화합물이 생성되었다. 이 러한 금속간화합물은 접합계면의 경도를 매우 높게 향상 시켜 취성을 유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