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arning: mkdir(): Permission denied in /home/virtual/lib/view_data.php on line 81
Warning: fopen(upload/ip_log/ip_log_2024-11.txt): failed to open stream: No such file or directory in /home/virtual/lib/view_data.php on line 83
Warning: fwrite() expects parameter 1 to be resource, boolean given in /home/virtual/lib/view_data.php on line 84 Mn-doping Effect on the Blackness and NIR Reflectance of Fe2O3 Cool Pigments
A high NIR-reflective black pigment is developed by Mn doping of Fe2O3. The pigment powders are prepared by spray pyrolysis, and the effect of the Mn concentration on the blackness and optical properties is investigated. Mn doping into the crystal lattice of α-Fe2O3 is found to effectively change the powder color from red to black, lowering the NIR reflectance compared to that of pure Fe2O3. The pigment doped with 10% Mn, i.e., Fe1.8Mn0.2O3, exhibits a black color with an optical bandgap of 1.3 eV and a Chroma value of 1.14. The NIR reflectance of the prepared Fe1.8Mn0.2O3 black pigment is 2.2 times higher than that of commercially available carbon black, and this material is proven to effectively work as a cool pigment in a temperature rise experiment under near-infrared illumination.
산업화 및 기술 발전과 더불어 도시에 인구가 집중되고 있다. 이러한 도시화는 도심의 온도를 급격하게 상승시키 는 열섬(heat island) 현상을 발생시킨다[1]. 열섬 현상은 여름철 실내 온도를 더욱 상승시켜 냉방기 사용량을 증가 시키며 이는 곧 에너지 생산에 필요한 화석 연료 사용 증 가로 이어진다. 그 결과 지구 온난화는 가속화 되며, 예기 치 못한 다양한 환경과 기후 문제를 야기한다. 이에 열섬 현상을 방지하여 에너지 소비를 줄이려는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태양광은 5%의 자외선, 43%의 가시광선, 52%의 근적외선(near-infrared, NIR)로 구성되어있다[2]. 이 중 근적외선은 지표면과 건물 외벽에 흡수되어 도심 또는 실내 온도상승에 가장 크게 기여한다. 따라서 NIR을 효과적으로 반사시키는 차열 도료는 도시 열섬 효과를 줄 이고 건물의 실내 온도를 낮추어 에너지 소비를 줄이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나아가 NIR 반사율이 큰 안료는 건물 내 외벽뿐만 아니라 자동차, 포장도로, 세라믹 제품 등 다 양한 곳에 적용할 수 있기 때문에 큰 관심을 받고 있고 새 로운 안료 및 응용기술 개발에 활발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3-6].
밝은 유색 안료의 경우 일반적으로 빛을 잘 반사하기 때 문에 NIR 반사 특성에 큰 문제가 없다. 하지만 어두운 색 이나 카본 블랙과 같은 흑색의 경우 가시광선뿐만 아니라 근적외선 영역의 빛 모두 흡수하기 때문에 태양 열 차단 을 제대로 하지 못한다. 따라서 NIR 반사율이 우수한 흑 색계 안료 개발이 필요하다. 무기 안료는 용매에 녹지 않 는 입자상 물질이다. Fe2O3은 대표적인 적색 무기 안료로 내후성, 불용성, 화학적 안정성 등 여러 측면에서 유기안 료보다 뛰어나며 인체에 무해한 친환경 소재로서 근적외 선 반사율이 우수하다[7-9]. 또한 적색 Fe2O3는 Cr 및 Co 를 도핑시키거나 복합산화물을 형성시킴으로써 흑색화가 가능하다[10, 11]. MnO2는 에너지 저장, 촉매 및 형광체에 응용되어 왔으며 자체적으로 흑색을 가진다[12, 13]. 그럼 에도 불구하고 Mn이 도핑된 Fe2O3 흑색 안료의 광학적 특성에 대한 연구는 제대로 진행되지 못하였다.
분무열분해법은 전구체 용액을 액적으로 만들고 고온에 서 건조와 열분해를 거쳐 입자를 제조하는 대표적인 기상 합성법이다[14]. 전구체 농도와 운전 조건 변화를 통해 입 자 크기와 형상 조절이 가능하고, 다성분계 혼합물일 경우 각 성분을 나노 스케일에서 혼합이 가능하다. 이에 분무열 분해법은 에너지 저장용 전극재료, 형광체, 촉매 등 기능 성 분말 합성에 이용되고 있다[15-18]. 본 연구에서는 분 무열분해법을 이용하여 Mn을 α-Fe2O3 결정 격자에 도핑 시켜 흑색 안료 분말을 제조하였다. Mn 량을 변화시켜 색 도 및 NIR 반사 특성을 확인하고 흑색 차열 도료로서 평 가하였다.
2. 실험방법
분무열분해법으로 흑색 무기 안료를 제조하기 위하여 Iron nitrate(Fe(NO3)3·9H2O, 98%)와 Manganese(ll) nitrate (Mn(NO3)2, 97%)를 각각 Fe 및 Mn의 전구체로 사용하였 다. 조성 Fe2-x,MnxO3(x = 0.05, 0.1, 0.15 0.2)에 맞게 각 전 구체를 500mL 증류수에 녹여 0.3 M의 전구체 수용액을 제조하였다. 제조한 전구체 수용액을 분무열분해 공정을 이용하여 Mn이 도핑된 Fe2O3 분말을 제조하였다. 분무열 분해 장치는 6개의 진동자(1.7 MHz)를 가진 액적 발생장 치, 석영관(ID = 55 mm, L = 1200 mm), 그리고 생성된 분 말을 회수할 테플론 포집기로 구성하였다. 액적 발생기에 서 생성된 전구체 액적들은 20 L/min의 공기에 의해 900 °C로 유지되는 석영 반응기로 이동시켜 건조와 열분해된 후 입자로 바뀐다. 생성된 분말들은 석영관 끝에 설치된 테플론 필터를 이용하여 회수하였다. 회수된 분말은 500 °C의 관형 소성로에서 500 cc/min의 공기를 흘리면서 3 시 간 동안 열처리 하였다.
차열 흑색 안료의 반사율은 분말상으로 UV/VIS/NIR Spectrophotometer(BRUKER, VERTEX 80)를 이용하여 측 정하였다. 가시광선 파장 영역의 반사율 스펙트럼으로 안 료의 색을 확인하고 Tauc 관계식을 사용하여 광 밴드 갭 (Eg)를 계산하였다. 측정된 근적외선 파장의 반사율 스펙 트럼과 표준 태양광 스펙트럼(ASTM G173-03 Reference) 을 아래 식에 대입하여 NIR 반사율을 계산하였다.
(1)
R˙=∫7002500r(λ)i(λ)d(λ)∫7002500i(λ)d(λ)
여기서 i(λ)는 표준 태양 광 반사율이며, r(λ)는 측정된 반 사율 값이다. Mn-doped Fe2O3 분말의 형상과 크기는 HRSEM( High-resolution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EM system, DS111)을 이용하여 관찰하였고, 결정 구조는 X– 선 회절 분석기(Mini X –ray Diffractometer, MiniFlex600) 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TEM(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e, FE-TEM)과 EDS(Energy dispersive spectroscopy) 분석을 통해 제조한 입자의 미세구조와 각 성분의 분포도를 확인하였다. 안료 입자의 크기 분포를 입도분석 기(Laser diffraction particle size analyzer)(Shimazu, SALD- 2300)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분광 측색계(YS3060 Grating spectrophotometer)을 사용하여 제조된 안료 분말의 CIE L*a*b* 값을 측정하였다. 또한 적외선 램프(필립스 250W) 를 광원으로 제조된 안료 분말의 차열 특성을 확인하였다. 이를 위해 안료 분말:수지:경화제 = 1:5:1.5의 비율로 페이 스트 만든 다음 알루미늄 철판(10 × 10 mm) 위에 막으로 제조하였다. 시료 막과 적외선 램프와의 거리는 20 cm로 고정시켰고, 램프 조사 후 온도 변화를 5초 간격으로 30 분간 측정하였다.
3. 실험결과 및 고찰
Fig. 1은 분부열분해법으로 제조하고 500°C에서 열처리 한 Mn-doped Fe2O3 안료 분말의 광학사진이다. 적색인 Fe2O3가 Mn의 도핑량이 증가함에 따라 점차적으로 흑색 으로 바뀐다. Mn 도핑 량 x = 0.15 이상에서 분말 색 변화 는 크지 않다. 육안으로 관찰했을 때 흑색도가 가장 좋은 것은 x = 0.2인 분말이다. 상용 카본 블랙과 비교 했을 대 Fe1.8Mn0.2O3 안료는 밝은 흑색이다. 제조된 분말의 정확한 색도 변화를 조사하기 위해 CIE L*a*b* 값을 측정하여 Table 1에 요약하였다. 도핑된 Mn의 함량이 증가함에 따 라 L*, a*, b* 값은 감소한다. 안료의 밝기(brightness)를 나타내는 L* 값은 0(흑색)에서 100(백색)까지 변하는데 Fe2O3의 경우 약 30이고 Mn의 도핑으로 약 26까지 감소 하였다. 분말 색이 적색일 경우 a* 값은 (+)이고 녹색일 경 우 (-) 값을 갖는다. 또한 안료가 노란색 성분이 강할 경우 b* 값은 (+)이며 청색이 강할 경우 (-) 값을 갖는다. 흑색 은 무채색이기 때문에 a*와 b* 값은 0에 가까워야 한다. 제조된 안료의 흑색도를 나타내 주는 채도(Chroma)를 식 C* = (a*2+b*2)1/2로 계산하였고 그 결과를 Table 1에 정리 하였다. C* 값이 작을수록 무채색에 가깝다. 제조된 Fe2-x MnxO3 안료 분말의 채도는 Mn 량이 증가함에 따라 급격 히 감소하였고 x = 0.2일 때 C* = 1.14으로 상용 카본 블랙 (C* = 0.50)에 가까워졌다. 대표적인 무기 흑색 안료인 카 본 블랙과 제조된 Fe2-xMnxO3 안료 분말의 색차(color difference)를 식 ΔE = (ΔL*2+Δa*2+Δb*2)1/2를 이용하여 계 산하여 Table 1에 정리하였다. 색차는 Mn 도핑 함량이 증 가하면 점차 감소하며, Fe1.8Mn0.2O3 안료는 카본 블랙 대 비 색차는 약 1.42%이다.
Fig. 1
Photos of Fe2-xMnxO3 powders synthesized by spray pyrolysis and commercially available carbon black.
Table 1
CIE color coordinates and chroma of Fe2-xMnxO3 pigments prepared by spray pyrolysis
분무열분해법으로 제조된 Fe2-xMnxO3 분말과 카본 블랙 의 UV-Visible-NIR 반사율 스펙트럼을 Fig. 2(a)에 나타내 었다. Mn 도핑으로 반사율은 감소하는 경향을 보인다. 순 수한 Fe2O3는 570 nm 이상의 가시광을 반사하여 적색 빛 을 보이게 되는데 Mn 도핑은 적색 영역의 반사율을 현저 하게 떨어뜨린다. 이러한 반사율 변화는 Fe2-xMnxO3 분말 색이 Mn 량이 증가함에 따라 점차적으로 흑색으로 변화 는 것과 잘 일치한다. 700 nm 이상의 NIR 영역에 대한 반 사율을 계산하여 Mn 함량의 함수로 Fig. 2(b)에 나타내었 다. Fe2O3의 NIR 반사율은 48.43%이고, Mn 도핑량이 증 가함에 따라 NIR 반사율은 점차적으로 감소하여 x = 0.2 일 때 26.78%이다. 즉 Mn 도핑으로 흑색도(blackness)는 개선되었지만 Fe2O3 대비 NIR 반사율은 감소하였다. 그럼 에도 불구하고 가장 낮은 채도 값을 가지는 Fe1.8Mn0.2O3 분말의 NIR 반사율은 카본 블랙(11.94%)에 비해 약 2.2배 높은 NIR 반사율을 갖는다.
Fig. 2
( a) U V-Visible-NIR reflectance s pectra a nd ( b) N IR total r eflectance o f Fe2-xMnxO3 pigments prepared by spray pyrolysis.
분무열분해법으로 제조된 Fe2-xMnxO3 안료 분말의 밴드 갭(Eg)을 개산하기 위해 확산 반산율(diffuse reflectance) (R)을 Kubelka-Munk 함수 F(R) = (1-R)2/2R로 처리하고 Tauc 식 α·hν = A(hν-Eg)n을 이용하였다. 여기서 α는 흡수 계수, hν(=1240/λ, eV)은 포톤에너지, 그리고 A는 비례상 수이다. F(R)은 흡수계수(α)와 비례하기 때문에 F(R)·hn (hν-Eg)n가 성립한다. 직접 밴드 갭(direct band gap)의 경우 n = 1/2, 간접 밴드 갭(indirect band gap)의 경우 n = 2이다. 따라서 직접 밴드 갭의 계산은 (F(R)·hν)2 대 hν (Tauc 플롯)의 그래프에서 Eg를 구할 수 있다. Fig. 3은 제 조된 Fe2-xMnxO3 안료 분말의 가시광 영역의 반사 스펙트 럼을 이용하여 Tauc 플롯을 한 것이다. 측정된 밴드 갭을 Mn 함량의 함수로 Fig. 3(f)에 나타내었다. 측정된 밴드 갭 은 Fe2O3의 경우 2.00 eV이며 Mn 함량 x = 0.1까지 급격 하게 감소한다. Fe1.9Mn0.1O3(x = 0.1)의 밴드 갭은 약 1.34 eV이다. Mn 량 x = 0.15와 0.2에서 밴드 갭은 각각 1.33 eV와 1.30 eV이다. Mn 함량 변화에 다른 밴드 갭 값은 Fig. 1에서 관찰된 분말 색 변화와 잘 일치한다.
Fig. 3
Tauc plot of Fe2-xMnxO3 pigments prepared by spray pyrolysis and calcined at 500°C.
Fig. 4는 분무열분해법으로 제조된 Fe1.8Mn0.2O3 분말의 XRD 패턴이다. Mn의 도핑으로 불순물 상의 형성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Mn 량이 가장 많은 샘플에 대해 XRD를 분석하였다. 관찰된 회절 피크들은 α-Fe2O3(JCPDS # 01- 089-0599)에 해당된다. Mn 산화물이나 망간 페라이트와 같은 불순물 상은 관찰되지 않는다. 이는 넣어준 Mn이 국 부적인 화합물 형성에 참여하지 않고 α-Fe2O3 결정 격자 내로 잘 치환되었기 때문이다. 분무열분해법은 하나의 액 적으로부터 하나의 입자가 형성되기 때문에 전구체 용액 에 있는 도핑 성분들은 액적 내에서 나노 스케일로 잘 혼 합되어 있고 건조/열분해 과정을 거쳐 입자로 전환되었을 때 모체가 되는 입자 전체에 균일하게 분포할 수 있다. 제 조된 안료 입자의 크기, 형상, 그리고 Mn과 Fe의 성분 분 포를 확인하기 위해 SEM과 TEM/EDS 분석을 실시하였 고 그 결과를 Fig. 5에 나타내었다. Fig. 5(a)와 (b)는 각각 Fe2O3와 Fe1.8Mn0.2O3 분말의 SEM 사진이다. Fe2O3와 비 교했을 때 Fe1.8Mn0.2O3 분말의 형상과 크기는 큰 차이가 없고 단지 큰 입자의 표면이 울퉁불퉁해진 것이 보인다. 이 는 큰 입자들이 후 열처리를 거치면서 치밀화되는 과정에 서 표면의 변형이 일어난 것 같다. Fig. 5(c)는 Fe1.8Mn0.2O3 입자의 크기 분포를 측정한 것이다. 제조된 안료 입자는 좁은 크기 분포를 보이며 평균 크기는 약 656 nm이다. Fig. 5(d)는 제조된 Fe1.8Mn0.2O3 분말의 TEM 및 성분 맵 핑 결과이다. TEM 사진으로부터 분무열분법으로 제조한 Fe1.8Mn0.2O3 입자는 구형으로 치밀한 구조를 가진다는 것 을 확인하였다. 도핑한 Mn 성분은 입자 전체에서 균일하 게 분포하고 있다. 이는 Mn 성분이 국부적인 침전이나 불 순물 상을 형성하지 않고 α-Fe2O3 입자 전체에 잘 치환되 었다는 것을 의미하며 불순물 상이 관찰되지 않은 XRD 결과와 잘 일치한다.
Fig. 4
XRD diffraction pattern of Fe1.8Mn0.2O3 powder prepared by spray pyrolysis and calcined at 500°C.
Fig. 5
Photos for SEM photos: ( a) Fe2O3 and (b) Fe1.8Mn0.2O3. The particle size distribution (c) and TEM element mapping analysis (d) of Fe1.8Mn0.2O3 particles prepared by spray pyrolysis.
제조된 안료 분말의 차열 특성을 평가하였다. Fig. 6(a) 는 NIR 램프 조사 하에서 알루미늄 판 위에 형성된 안료 막의 온도 변화를 측정한 결과이다. NIR 빛을 조사와 더 불어 안료 막의 온도는 급격히 상승하다가 평형에 도달한 다. NIR 조사 시간이 30 min일 때 온도 상승 곡선이 평형 에 도달했다고 판단하였다. 평형 온도는 상용 카본 블랙 (64°C) > Fe1.8Mn0.2O3(56°C) > Fe2O3(51°C) 순으로 증가한 다. Fe1.8Mn0.2O3 안료 박의 온도는 적색 안료인 Fe2O3 보 다 약 5°C 증가했지만 상용 카본 블랙 보다는 약 8°C 낮 아졌다. 이러한 온도 상승에 차이는 안료 자체가 가지는 NIR 반사율 차이에 기인한다. 이를 확인하기 위해 Fig. 6(b)에 평형 온도를 안료의 NIR 반사율의 함수로 나타내 었다. 각 안료 막의 온도는 NIR 반사율에 반비례한다. 이 로부터 분무열분해법으로 제조한 Fe1.8Mn0.2O3 흑색 안료 는 상용 카본 블랙보다 차열 특성이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Fig. 6
(a) Temperature change of the carbon black, Fe1.8MnO3 and Fe2O3 films formed on aluminum plate under the illumination of NIR lamp (250W) and (b) Equilibrium temperature as a function of NIR reflectance.
4. 결 론
분무열분해법으로 Mn이 도핑된 Fe2O3 분말을 제조하여 광학적 특성을 평가하였다. Mn 도핑은 안료의 밴드 갭을 효과적으로 감소시켰다. 그 결과 Mn의 도핑량이 증가함에 따라 분말 색은 적색에서 흑색으로 변화였고 Fe 대비 10%(x = 0.2)를 도핑 했을 때 1.30 eV의 밴드 갭과 1.14의 채도 값을 갖는 흑색으로 변하였다. 제조된 Fe1.8Mn0.2O3 안료 입자는 약 656 nm 크기에 구형의 형상을 가지며 속 이찬 치밀한 구조를 가졌고, 도핑된 Mn은 입자 전체에서 균일하게 분포함이 확인되었다. Mn 도핑으로 NIR 총 반 사율은 Fe2O3 보다는 감소하지만 카본 블랙보다는 약 2.2 배 높았다. 그 결과 NIR 램프 조사 하에서 온도 상승 실 험에서 제조된 Fe1.8Mn0.2O3 안료 막이 카본 블랙보다 온 도 증가 폭이 작았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분무열분해법으 로 Fe2O3에 Mn을 도핑시킴으로써 효과적으로 흑색도를 개선시킬 수 있고 Fe1.8Mn0.2O3는 차열성 흑색 안료로 활 용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Acknowledgements
감사의 글
이 논문은 산업통산자원부의 산업소재핵심기술개발사 업(과제번호: 20004663, 자율주행 인지 대응형 코팅 소재 및 공정기술 개발)의 지원을 받았습니다.
1. X. Li, Y. Zhou, S. Yu, G. Jia, H. Li and W. Li: Energy, 174 (2019) 407. Article
2. C. Ding, A. Han, M. Ye, Y. Zhang, L. Yao and J. Yang: RSC Adv., 8 (2018) 19690. Article
3. N. Xie, H. Li, A. Abdelhady and J. Harvey: Build Environ., 147 (2019) 231. Article
4. M. Santamouris and G. Y. Yun: Renew. Energy, 161 (2020) 792. Article
5. J. Yang, D. M. Kumar, A. Pyrgou, A. Chong, M. Santamouris, D. Kolokotsa and S. E. Lee: Sol. Energy, 173 (2018) 597. Article
6. J. M. Park, H. J. Kim and J. W. Yoo: Appl. Chem. Eng., 27 (2016) 35. Article
7. S. Chen, M. Cheng, Y. Lang, C. Tian, H. Wei and C.-A. Wang: J. Adv. Ceram., 8 (2019) 39. Article
8. S. Sadeghi-Niaraki, B. Ghasemi, A. Habibolahzadeh and E. Ghasemi: Mater. Sci. Eng. B, 262 (2020) 114752. Article
9. H. J. Lee, D. S. Kim, S.-H. Lee, H. M. Lim, B.-K. Choi, K.-J. Kang, J. I. Jeong and K.-S. Cho: Korean J. Mater. Res., 25 (2015) 61. Article
10. E. Ozel and S. Turan: J. Eur. Ceram. Soc., 23 (2003) 2097. Article
11. S. Mestre, M. D. Palacios and P. Agut: J. Eur. Ceram. Soc., 32 (2012) 1995. Article
12. S. Chen, J. Zhu, X. Wu, Q. Han and X. Wang: ACS Nano, 4 (2010) 2822. ArticlePubMed
13. N. Zhang, L. Li, Y. Guo, J. He, R. Wu, L. Song, G. Zhang, J. Zhao, D. Wang and H. He: Appl. Catal. B, 270 (2020) 118860. Article
14. S. R. Ardekani, A. S. R. Aghdam, M. Nazari, A. Bayat, E. Yazdani and E. Saievar-Iranizard: J. Anal. Appl. Pyrolysis, 141 (2019) 104631. Article
15. J. H. Kim, G. D. Park and Y. C. Kang: Chem. Eng. J., 410 (2021) 128401. Article
16. S. Yang, G. D. Park and Y. C. Kang: Appl. Surf. Sci., 529 (2020) 147140. Article
17. K. Y. Jung: RSC Adv., 10 (2020) 16323. Article
18. J.-C. Seo, H. Kim, Y.-L. Lee, S. Nam, H.-S. Roh, K. Lee and S. B. Park: ACS Sustainable Chem. Eng., 9 (2021) 894. Article
Mn-doping Effect on the Blackness and NIR Reflectance of Fe2O3 Cool Pigments
Fig. 1
Photos of Fe2-xMnxO3 powders synthesized by spray pyrolysis and commercially available carbon black.
Fig. 2
( a) U V-Visible-NIR reflectance s pectra a nd ( b) N IR total r eflectance o f Fe2-xMnxO3 pigments prepared by spray pyrolysis.
Fig. 3
Tauc plot of Fe2-xMnxO3 pigments prepared by spray pyrolysis and calcined at 500°C.
Fig. 4
XRD diffraction pattern of Fe1.8Mn0.2O3 powder prepared by spray pyrolysis and calcined at 500°C.
Fig. 5
Photos for SEM photos: ( a) Fe2O3 and (b) Fe1.8Mn0.2O3. The particle size distribution (c) and TEM element mapping analysis (d) of Fe1.8Mn0.2O3 particles prepared by spray pyrolysis.
Fig. 6
(a) Temperature change of the carbon black, Fe1.8MnO3 and Fe2O3 films formed on aluminum plate under the illumination of NIR lamp (250W) and (b) Equilibrium temperature as a function of NIR reflectance.
Fig. 1
Fig. 2
Fig. 3
Fig. 4
Fig. 5
Fig. 6
Mn-doping Effect on the Blackness and NIR Reflectance of Fe2O3 Cool Pigments
Table 1
CIE color coordinates and chroma of Fe2-xMnxO3 pigments prepared by spray pyrolysi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