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한국재료연구원 분말재료연구본부
b 부산대학교 재료공학부
a Metal Powder Department, Korea Institute of Materials Science (KIMS), 797 Changwondae-ro Seongsan-gu, Changwon 51508, Republic of Korea
b Department of Materials Science and Engineering, Pusan National University, Pusan 46241, Republic of Korea
© The Korean Powder Metallurgy Institute. All rights reserved.
![]() |
1) Fe83.2Si5.33-0.33xB10.67-0.67xPxCu0.8(x=0-4at%) 합금의 경우 P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용탕의 점성이 증가하여, 휠 회전 속도가 45.81 m/s 이상인 조건에서 30 μm 이하 두께의 비정질 리본이 형성될 수 있었다.
2) P 첨가에 따라 Fe83.2Si5.33-0.33xB10.67-0.67xPxCu0.8(x=0-4 at%) 나노결정 합금의 2차 결정화 온도와 |Tx1 - Tx2| 값이 높아지는 경향을 나타내어, 열처리에 따른 결정 화 안정성이 향상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1,2차 결 정화 구간 내에서의 열처리를 통해 P1-P4 합금의 나 노 결정화를 진행한 결과, P가 첨가되지 않은 합금의 경우, 420~460°C 구간에서 결정화가 진행되지 않았 으며, P가 2 at% 이상 첨가될 경우, 조대한 결정 형성 과 Fex(B,P) 2차 결정화가 진행되었으나, P가 1 at% 첨가될 경우, 나노결정화가 균일하게 진행됨을 확인 하였다.
3) 자기특성을 분석한 결과 460°C에서 10분 간 열처리 한 P1 나노결정 합금 리본이 15.26 A/m의 낮은 보자 력과 170.4 emu/g의 높은 포화자화를 동시에 나타내 었으며, 철손 또한 P0~P4 합금 중 가장 낮은 값을 나 타내었다.
4) TEM 이미지 분석과 회절패턴 분석결과, P1 합금의 경우, Melt spinning 직후 비정질 상이 형성되고 420°C 열처리 후, 미세한 결정이 형성되었으며, 460°C 열처 리 후에는 평균 크기 30-50 nm의 균일한 나노결정이 형성되었음을 확인하였다.
5) 이상의 결과를 통해, Fe83.2Si5.33-0.33xB10.67-0.67xPxCu0.8에 있어 소량(1at%)의 P 첨가를 통해 합금의 GFA 향상 은 물론 결정화 열처리 안정성이 향상되었으며, 이를 통해 조대한 결정 혹은 Fex(B,P) 2차 결정화를 억제 시키면서 균일한 나노결정화가 가능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