순천대학교 신소재공학과
Department of Materials Science and Metallurgical Engineering, Sunchon National University, Suncheon 57922, Republic of Korea
© The Korean Powder Metallurgy Institute. All rights reserved.
![]() |
1. 미세조직 관찰을 통해 복합분말의 밀링 시간과 소결 온도가 증가할수록 α-Ti의 분율은 감소하고, β-Ti 분율은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2. 모든 복합재에서 HAp가 검출되었고, 이는 EDS mapping과 XRD 분석을 통해 확인하였다. 또한 소결 후 α-Ti, β-Ti 그리고 HAp를 나타내는 p ea k가 나타난 것을 XRD 분석을 통해 확인하였고 이는 말뼈를 통해 검출된 결과로 골 결합력을 향상시킬 것으로 판단되며, 향후 생체 적합성 실험을 진행할 예정이다.
3. Nano-indentation 결과 소결 온도와 밀링 시간이 증가 할수록 α-Ti, β-Ti 모두 탄성계수가 감소하고 경도는 증가 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는 기존 연구에 비해 탄성계수는 낮고 경도는 높은 값을 보이며, 특히 12 h 밀링 후 1000°C 에서 소결한 시편이 β-Ti에서 101.46 GPa의 탄성계수와 549.82 Hv의 경도 값을 가져 응력 차폐 현상과 같은 문제 점을 완화시키기에 가장 적합한 조건이라고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