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University of Central Florida, Department of Materials Science and Engineering
b 인하대학교 항공우주공학과
c 인하대학교 신소재공학과
a Department of Materials Science and Engineering, University of Central Florida, Orlando 32816, USA
b Department of Aerospace Engineering, Inha University, Incheon 22212, Republic of Korea
c Department of Materials Science and Engineering, Inha University, Incheon 22212, Republic of Korea
© The Korean Powder Metallurgy Institute. All rights reserved.
1. 체적 에너지 밀도가 비슷할 경우 시료의 상대 밀도에 는 큰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완전치밀화 시료를 제작하 기 위해 기존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적정 체적 에너지 밀 도를 선정하고 구현할 수 있었다. 그러나 체적 에너지 밀 도가 유사하더라도 레이저 출력과 스캔 속도가 높으면 표 면 거칠기가 상승하였으며 그 증가율은 최대 172%에 이 르렀다.
2. 유한 요소 해석 결과, 레이저 출력이 높아지면 용융 풀의 최고 온도가 증가하였다. 한편 용융 풀의 냉각 속도, 수명과 레이저 출력 사이에는 명확한 관계를 찾기 어려웠 다. 한편 레이저 스캔 속도가 높아지면 용융 풀의 냉각 속 도가 빨라지고 수명은 더 짧아졌다.
3. 용융 풀의 냉각 속도 증가율이 클수록, 수명 감소율 이 클수록 표면 거칠기의 변화율이 높았다. 높은 상대 밀 도를 얻기 위해 선택한 체적 에너지 밀도에서, 표면 거칠 기를 낮추기 위해서는 레이저 출력과 속도를 줄여야 함을 알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