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부산대학교 재료공학과
b 한국재료연구원 타이타늄연구실
c 한국재료연구원 분말재료연구본부
a School of Materials Science and Engineering, Pusan National University, Busan 46241, Republic of Korea
b Titanium Department, Korea Institute of Materials Science (KIMS), Changwon 51508, Republic of Korea
c Powder Materials Division, Korea Institute of Materials Science (KIMS), Changwon 51508, Republic of Korea
© The Korean Powder Metallurgy Institute. All rights reserved.
BFE(Basic flowability energy): BFE는 분말베드 내부 로 하강하는 블레이드가 분말을 유동시키는데 필요한 에너지를 의미한다. 총 11회의 측정 중 블레이드의 선 속도가 100 mm/s 인 7회차 실험에서 측정되는 t o tal energy로 정의된다.
SE(Specific energy): SE는 분말 베드내부로 완전히 하 강된 블레이드가 상승할 때 분말을 유동시키는데 필요 한 에너지 값을 의미한다. 하강 중인 블레이드는 분말 베드에 압축응력을 작용시키는 사실과 비교할 때, SE 는 블레이드에 의해 부피가 제한되지 않은(unconfined) 상태의 분말에서 측정된 에너지를 의미하며 이는 입자 간 응집성에 더욱 영향을 많이 받는 수치이다[34, 35]. 통상적으로 SE가 5mJ/g 이하인 경우 응집성이 낮은 분말로 간주되며[29], 각형의 입자를 갖는 일부 분말과 같이 SE가 10mJ/g 이상인 경우 응집성이 매우 큰 분 말로 간주된다[33].
SI(Stability index): SI는 총 11회의 측정 중 7회차 결과 에서 얻은 에너지 수치를 1회차 결과에서 측정한 수치 로 나눈 값이며, 반복되는 유동에 따른 분말 베드의 안 정성을 의미한다. BFE를 7회차 실험의 에너지 값으로 규정하는 이유와 더불어, SI 인자의 의미에 대한 자세 한 설명은 본문에서 후술되었다.
FRI(Flow rate index): FRI는 11회차 결과에서 얻은 에 너지 수치를 8회차 결과에서 측정한 수치로 나눈 값으 로, 블레이드 속도 변화에 따른 분말의 민감성을 나타 낸다.
MPS(Major principal stress, σ1): MPS는 그림 2의 큰 모어 원에서 나타나는 최대 수직응력을 나타내며, 사 전조밀화 응력 하의 분말베드를 파손시키는데 필요한 응력을 의미한다.
UYS(Unconfined yield strength, σc): UYS는 그림 2의 작은 모어 원에서 나타나는 최대 수직응력을 나타내며, 부피가 제한되지 않은 분말베드를 파손시키는데 필요 한 응력을 의미한다.
CS(Cohesion strength): CS는 그림 2의 항복곡선과 y축 간의 교점을 나타내며, 부피가 제한되지 않은 분말베 드의 초기 응집성을 의미한다.
AIF(Angle of internal friction, φ): AIF는 그림 2의 항 복곡선과 x축 간의 각도이며, 분말베드 내 입자들 간 의 마찰을 나타낸다.
1) 동적 이미지 분석결과, 타원형 입자 및 위성분말의 분율이 큰 GA 분말이 PA 분말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구형 도를 보였다. 구형도가 낮은 GA 분말은 PA 분말보다 겉 보기 밀도와 컨디션 밀도가 작았으나 탭 밀도는 유사하였 으므로, 두 분말에서 CI, HR 인자의 차이는 크지 않았다. 이로부터 단순한 밀도 측정만으로는 구형도가 다른 두 구형 분말의 흐름특성을 비교하는데 한계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2) 유변특성 분석 결과, 압축응력 하에서 평가되는 벌크 특성인 압축성과 투과도는 두 분말의 구형도 차이와 큰 연관이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전단특성 실험결과 구형 도가 낮은 GA 분말에서 응집성이 더 강하게 나타나는 것 을 확인했는데, 이는 타원형 또는 위성분말을 갖는 입자들 에 의해 입자간 마찰, 맞물림과 같은 현상이 자주 나타나 는데 기인한다.
3) 동적특성 실험결과, 구형도가 낮은 GA 분말은 PA 분 말보다 더 큰 BFE 값을 보였다. 이는 GA 분말의 더 강한 응집성으로 인해 유동 중 브릿징과 같은 현상이 발생하여 분말의 유동에 더 큰 에너지가 필요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러한 동적특성 차이가 LPBF 공정의 리코팅 및 프린팅 작업에서 얼마나 안 좋은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서는 추 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4) 이러한 연구를 통해 다양한 분말변수 중 하나인 구형 도가 분말의 유변특성에 독립적으로 미치는 영향을 체계 적으로 분석함으로써, 향후 표면 거칠기, 위성분말, 입도 분포, 또는 조성과 같이 다른 분말변수가 제어된 신 합금 분말의 흐름특성을 평가하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또한, 향후 저비용 금속 3D 프린팅 기술 및 고부가가치 신 합금 프린팅 기술 등 첨단 적층제조 기술개발에 분말의 유변특성 분석기술이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