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Navigation
Skip to contents

Journal of Powder Materials : Journal of Powder Materials

OPEN ACCESS
SEARCH
Search

Articles

Page Path
HOME > J Powder Mater > Volume 29(4); 2022 > Article
Article
DED 공정으로 제조된 경사조성재료 (STS 316L과 저합금강)의 미세조직 및 기계적특성 평가
신기승a, 추웅b, 윤지현a, 양승용c,*, 김정한b,*
Evaluation of Microstructures and Mechanical Properties in Functionally Graded Materials (STS 316L and Low Alloy Steel) Produced by DED Processes
G. Shina, W. Choob, J. H. Yoona, S. Y. Yangc,*, J. H. Kimb,*
Journal of Korean Powder Metallurgy Institute 2022;29(4):309-313.
DOI: https://doi.org/10.4150/KPMI.2022.29.4.309
Published online: July 31, 2022

a 한국원자력연구원 재료안전기술개발부

b 한밭대학교 신소재공학과

c 한국기술교육대학교 기계공학부

a Materials Safety Technology Development Division, Korea Atomic Energy Research Institute, 111, Daedeok-daero, 989 beon-gil, Yuseong-gu, Daejeon 34158, Republic of Korea

b Department of Materials Science and Engineering, Hanbat National University, 125, Dongseo-daero, Yuseong-gu, Daejeon 34158, Republic of Korea

c Korea University of Technology and Education, Chonan, Chungnam, Republic of Korea

* Corresponding Authors: J.H. Kim, TEL: +82-42-821-1240, FAX: +82-42-821-1592, E-mail: jh.kim@hanbat.ac.kr
S.Y. Yang, TEL: +82-42-560-1459, FAX: +82-42-560-1592, E-mail: ysy@koreatech.ac.kr
- 신기승: 선임연구원, 추웅: 석사과정, 윤지현: 책임연구원, 양승용·김정한: 교수
• Received: August 12, 2022   • Revised: August 22, 2022   • Accepted: August 25, 2022

© The Korean Powder Metallurgy Institute. All rights reserved.

  • 253 Views
  • 2 Download
prev next
  • In this study, additive manufacturing of a functionally graded material (FGM) as an alternative to joining dissimilar metals is investigated using directed energy deposition (DED). FGM consists of five different layers, which are mixtures of austenitic stainless steel (type 316 L) and low-alloy steel (LAS, ferritic steel) at ratios of 100:0 (A layer), 75:25 (B layer), 50:50 (C layer), 25:75 (D layer), and 0:100 (E layer), respectively, in each deposition layer. The FGM samples are successfully fabricated without cracks or delamination using the DED method, and specimens are characterized using optical and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to monitor their microstructures. In layers C and D of the sample, the tensile strength is determined to be very high owing to the formation of ferrite and martensite structures. However, the elongation is high in layers A and B, which contain a large fraction of austenite.
적층제조(Additive Manufacturing, AM) 공정은 최근 4 차 산업혁명의 핵심 기술 중 하나로, 이에 대한 연구가 많 이 진행되고 있다[1, 2]. 금속 적층제조 공정 중 하나인 DED 적층공정은 적층 대상 부품 표면 혹은 국부 영역에 금속 와이어나 분말을 공급하고 여기에 레이저(laser) 또는 전자빔(electron beam)을 이용하여 용융 및 급속 응고를 거쳐 적층하는 공정을 말하며[3], 단일 구조물을 제조할 때 다른 종류의 금속 분말을 사용할 수 있어 경사조성재 료 제작에 매우 유리하다[4, 5]. 한편, 원자력발전소의 많 은 부속 및 부품들은 사용목적 및 환경에 따라 복합적인 재료들로 제작되어 사용되고 있다[6]. 특히, 1차수 냉각계 통 배관(primary coolant piping)에는 Alloy 600 니켈합금 이 접합 재료로 사용되고 있다[7, 8]. 그러나 Alloy 600 니 켈합금은 1차수 응력부식균열(Primary Water Stress Corrosion Cracking, PWSCC)에 취약하기 때문에 1970년대부터 응력부식균열의 발생사례가 다수 보고 되었다[7, 9]. Alloy 600 니켈합금을 대체하여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과 페라이트계 저합금이 접합되어 사용되고 있으나, 이종금 속 용접부에서는 재료물성의 급격한 차이로 인해 다양한 금속학적 문제가 발생하기 쉽다. 그러므로 이종접합에서 발생하는 문제를 완화시키기 위해서는 계면부에서 급격한 열적/물리적 특성 변화가 나타나지 않는 것이 매우 중요하 다[10, 11]. 최근 연구가 되고 있는 경사조성재료(Functionally Gradient Material, FGM)[12-17]의 개념을 이용하면 용접부 조성을 점진적으로 변화시켜서 이종금속접합의 문 제점을 보완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18]. 본 연구에서 는 DED 적층제조된 경사조성재료를 제조하여 이에 따른 미세조직과 기계적 특성의 변화를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 오스테나이트계와 페라이트계 금속을 DED 적층공정을 이용하여 경사조성재료를 제작하였다. DED 적층제조된 경사조성재료에서 나타날 수 있는 미세조직 변화 및 기계 적 특성을 면밀히 관찰하였다.
경사조성재료는 Type 316L 스테인리스강(Stainless Steel, SS)과 저합금강(Low Alloy Steel, LAS) 2가지 분말이 서 로 다른 비율로 혼합되어 적층된 구조를 가지고 있다. 각 층의 혼합비율은 표 1에 정리하였고, DED 적층 후 A층에 서 E층까지 선분석(EDS-LINE)을 한 분석값이다. 본 연구 에서 사용된 Type 316L 분말(CARPENTER사)과 자체 제 작된 LAS 분말의 입도는 45~150 mm 수준으로 서로 동일한 입도를 가진 분말들이 사용되었다. 적층 장비는 INSSTEk사 의 MX-600을 이용하였고, 적층공정은 레이저빔 크기 800 μm, 스캔속도 14 mm/s, 초점거리 9 mm, 그리고 레이저 출 력 500W 등이었다. 레이저 스캐닝 방법으로는 X 방향으 로 일방향 적층 후 그 위에 Y 방향으로 다시 일방향으로 적층하였다. 총 5층을 S45C 기판 위에 적층 하였으며, 제 일 아래층(E층)은 100% LAS 분말을 이용해 10 m m 높이 로 적층되었다. 이후 중간 3개의 층은 5 m m 높이로 각각 SS 25% : LAS 75%(B층), SS 50% : LAS 50%(C층), SS 75% : LAS 25%(D층)의 무게 비율로 혼합된 분말을 이용 해 적층 되었다. 가장 위층(A층)은 다시 10 m m 높이로 100% Type 316L SS 분말을 이용해 적층 되었다.
Table 1

Average chemical compositions (wt.%) of the mixture powders used for the DED of each layers

KPMI-29-4-309_T1.gif
미세조직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Scanning Electron Microscope(SEM, JSM-7100F)에 장착된 Electron Back Scatter Diffraction(EBSD, TSL Hikari Super)을 이용해 미 세조직을 분석하였다. EBSD 분석 프로그램은 OIM Analysis 8을 활용하였고 Invers Pole Figure(IPF), Image Quality(IQ), Kernel Average Misorientation(KAM) 그리고 Phase 지도 등을 확인하였다. 한편, 광학현미경(100배율) 관찰을 통해 시편의 기공을 관찰하였다. 이 후 Image J 프 로그램을 이용하여 두 시편에 대한 기공분율을 정량적으 로 계산하였다. 각 층에 대한 기계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 해 DED 적층 가공된 경사조성재료의 각 층(Y 방향)을 방 전가공하여 인장시험편을 채취하였다. 인장시험편은 G 16 mm, L 50 mm, t 2 mm로 제작되었고, INSTRON사의 5982 장비를 사용하여 10-3s-1 변형속도로 상온인장 시험을 수행하였다.
3.1. DED적층제조된 경사조성재료
경사조성재료는 가로 5 0 m m , 세로 1 10 m m , 높이 35 mm, 무게 3.1 kg로 DED 공정을 통해 제조하였다. 그림 1 은 DED로 적층한 경사조성재료의 단면도(X면)로써 서로 다른 합금조성을 가지는 5개의 층을 보여준다. 기존 이종 접합에서는 적층물간에 균열과 박리가 보고되지만[19], 본 연구에서 제조된 경사조성재료 적층물에서는 이러한 결함 이 발생하지 않았다. 또한, 적층물과 S45C 기판 사이에서 도 박리 및 균열이 발생하지 않고 온전한 DED 적층물이 성공적으로 제조되었다. DED 적층된 경사조성재료의 각 층에 대한 기공분율은 오스테나이트계 분말이 많은 A층 이 가장 낮은 기공분율(11%)이 측정되었다. 이후 B층 (14.8%)과 C층(17.2%) 그리고 D층(23.6%)까지 기공분율 은 점진적으로 증가하였으나, E층의 기공분율(78.8%)은 크게 증가하였다. 이는 DED 적층공정 시 레이저 조건을 Type 316L에 적합한 최적의 조건으로 적용되었기 때문에 페라이트 분말함량이 100%로 적층된 E층에서는 분말의 용융이 완벽히 이루어지지 않아 기공분율이 크게 증가한 것으로 추측된다. 따라서 경사조성재료의 건정성을 위해 서는 각 층별로 최적의 레이저 조건을 적용해야 할 것으 로 판단된다.
Fig. 1

Macro photographs of functionally graded material samples after DED process.

KPMI-29-4-309_F1.gif
3.2. 경사조성재료의 미세조직
그림 2는 경사조성재료에 대한 각 층의 EBSD 분석 결 과를 나타냈으며, 이때의 Confiednce index(Ci)는 5개 층 모두 0.6 이상이다. A층은 예상대로 거의 100% 오스테나 이트 상으로 이루어져 있었고, 결정립들이 비교적 조대한 등축정 미세조직이 생성되었다. 일반적으로 EBSD-KAM 값은 A층 전체에서 낮았으며, 이는 낮은 열 왜곡 또는 낮 은 전위 밀도를 나타낸다. B층부터 A층과 다른 형태가 나 타났다. B층은 잔류 오스테나이트의 등축정 조직 내부에 Lath 형의 미세조직이 생성되었으며 이 Lath 형의 미세조 직은 EBSD-KAM 값이 높다. 이는 높은 전위밀도로 인해 높은 EBSD-KAM 값이 나타났다. Orientation 관계가 있는 잔류 오스테나이트 내부의 페라이트 Lath 형의 특징은 미 세조직이 마르텐사이트를 의미한다. B층은 A층에 비해 25%의 페라이트계 LAS 분말이 첨가되었지만, FCC와 BCC 상분율은 각각 80.3%와 19.7%로 여전히 FCC 오스 테나이트 상분율이 높고, XRD 측정결과(그림 3)에서도 FCC가 대부분이다. C층과 D층의 경우 EBSD 및 XRD 측 정결과 BCC 상분율이 80% 이상으로 앞선 A와 B 층에 비해 매우 높게 측정되어 B층과 C층간의 급격한 상변화 가 나타났다. C층과 D층의 미세조직은 서로 비슷하며, 전 체적인 미세조직은 마르텐사이트와 침상형(aciciular) 페라 이트, 잔류 오스테나이트가 미세한 혼합상으로 이루고 있 다. 마르텐사이트 상은 DED 공정 중 급속한 냉각으로 인 해 무확산 변태에 의해 생성될 수도 있다. 잔류 오스테나 이트는 마르텐사이트 변태에 수반되는 잔류응력 및 부피 팽창으로 인한 큰 변태 에너지가 필요하다. 통상적으로 EBSD-KAM 값이 높을수록 마르텐사이트 분율이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20]. 가장 아래층인 E층은 주로 템퍼드 마 르텐사이트와 페라이트 상으로 구성되었으며, XRD 결과 에서도 100% BCC로 확인되었다.
Fig. 2

EBSD IQ, IPF, and KAM maps, phase maps in layer of as-built specimen.

KPMI-29-4-309_F2.gif
Fig. 3

X-ray diffraction patterns of FGM specimens manufactured by the DED.

KPMI-29-4-309_F3.gif
3.3. 경사조성재료의 기계적 특성
DED 적층제조된 경사조성재료의 Y 방향으로 인장시험 편을 방전가공하여 경사조성재료의 층간 상온인장 시험을 통해 기계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그림 4는 DED 공정으로 제조된 경사조성재료의 각 층에 대한 상온인장 결과이다. A 층과 B층은 상대적으로 인장강도가 낮고 연신율이 더 크다. B층은 80% 이상의 매우 큰 연신율과 860MPa 이상 의 높은 인장강도를 보여주는데, 이는 매우 이례적으로 100% Type 316L인 A층보다 인장특성이 더 우수하다. 이 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반대로 페라이트 분율이 증가되는 C층과 D층, 그리고 E 층은 높 은 인장강도와 낮은 연신율을 나타냈다. 일반적으로, 페라 이트 상분율이 증가함에 따라 인장강도가 증가하지만, 100% 폐라이트 상인 E층인 아닌 C층에서 최대 인장강도 (1402 MPa)가 측정되었으며, 이는 ~89%의 마르텐사이트 및 페라이트, 소량의 오스테나이트 상의 영향으로 보인다. D층의 상온인장 특성은 C층의 상온인장 특성과 거의 유 사하다. 템퍼드 마르텐사이트와 페라이트 미세조직을 가 진 E층은 C층과 D층 보다 훨씬 낮은 인장강도(982 MPa) 를 나타냈다. C층, D층와 E층의 낮은 연신율은 아마도 Lath-마르텐사이트 또는 침상조직의 형성이 원인으로 추 측된다. 항복강도의 경우 C층(589 MPa)에서 D층(626 MPa)보다 E층의 항복강도(893 MPa)가 높게 측정되어 페 라이트 분율이 많을수록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Fig. 4

Tensile properties of the each layer in FGM specimens manufactured by the DED.

KPMI-29-4-309_F4.gif
본 연구는 Type 316L-저합금강을 경사조성재료로 사용 하여 DED 적층을 이용하여 제조하였으며, DED 적층제조 된 경사조성재료에 대한 미세조직 변화 및 기계적 특성 시험을 수행하였다. 기존 이종접합에서 발생되는 균열 및 박리는 경사조성재료의 층간 및 적층물과 기판 사이에서 도 발생하지 않아 온전한 경사조성재료를 적층제조 하였 다. 각 층에 대한 레이저 스캔 조건의 세분화가 필요하다. EBSD 층간 분석결과, A층에서 오스테나이트, B층은 오스 테나이트, 마르텐사이트, C층과 D층은 마르텐사이트, 페 라이트, 잔류 오스테나이트가 생성되었고, 가장 아래층인 E층에서는 마르텐사이트, 페라이트가 생성되었다. A층에 서 E층까지 분말함량 변화에 따라 점진적인 상변화를 예 상하였지만, B층에서 C층 사이에서 급격한 상변화가 발생 하였다. 경도 측정 결과, A층과 B층에서는 150~250 Hv의 경도로 일정하다. 반면 C층과 D층에서는 330~370 Hv로 경도값이 높다. 상온인장에서는 316L인 A층보다 B층의 인장특성이 우수하였고, C층과 D층의 인장 및 항복강도는 페라이트와 마르텐사이트 형성으로 인해 높은 반면 연신 율은 낮다.
Acknowledgements
이 논문은 과학기술정통부의 “다중 합금 적층 재료의 미세조직 최적화(과제번호 2020M2A8A402374221)”의 지 원으로 수행되었으며 이에 감사드립니다. 또한, 이 논문은 2020학년도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연구연간(학기)제 연구비 지원에 의하여 연구되었음.
  • 1. A. Bandyopadhyay and B. Heer: Mater. Sci. Eng., R, 129 (2018) 1..Article
  • 2. J. O. Milewski: Additive Manufacturing of Metals, Springer International Publishing, Switzerland (2017)..
  • 3. W. J. Oh, Y. Son and D. S. Shim: Korean J. Met. Mater., 57 (2019) 543..Article
  • 4. J. Mazumder, D. Dutta, N. Kikuchi and A. Ghosh: Opt. Lasers Eng., 34 (2000) 397..Article
  • 5. N. K. Adomako, S. Noh, C. S. Oh, S. Yang and J. H. Kim: Mater. Res. Lett., 7 (2019) 259..Article
  • 6. T. Allen, J. Busby, M. Meyer and D. Petti: Mater. Today 13 (2010) 14..Article
  • 7. J. H. Lee: Corros. Sci. Technol. 18 (2019) 33..Article
  • 8. S. S. Hwang: J. Nucl. Mater., 443 (2013) 321..Article
  • 9. V. N. Shah, D. B. Lowenstein, A. P. L. Turner, S. R. Ward, J. A. Gorman, P. E. MacDonald and G. H. Weidenhamer: Nucl. Eng. Des., 134 (1992) 199..Article
  • 10. G. S. Shin, J. H. Yoon, D. W. Kim, Y. H. Park and J. H. Kim: Korean J. Met. Mater., 58 (2020) 782..Article
  • 11. G. S. Shin, Y. H. Park, D. W. Kim, J. H. Yoon and J. H. Kim: Korean J. Met. Mater., 59 (2021) 81..Article
  • 12. B. Saleh, J. Jiang, A. Ma, D. Song, D. Yang and Q. Xu: Met. Mater. Int., 26 (2020) 933..Article
  • 13. G. Zheng, Z. Huang, Q. Yu, W. Hu, X. Qiu, A, Lixia, Y. Wang, Y. Jiao, Y. Zhou and H. Zhai: Met. Mater. Int., 26 (2020) 905..Article
  • 14. S. M. Catherine, L. Weiss, O. Perroud, D. Joguet, D. Boisselier and P. Laheurte: J. Mater. Process. Technol., 268 (2019) 171..Article
  • 15. F. Khaleghi, M. Tajally, E. Emadoddin and M. Mohri: Met. Mater. Int., 23 (2017) 915..Article
  • 16. N. K. Adomako, J. O. Kim, S. H. Lee, K. H. Noh and J. H. Kim: Mater. Sci. Eng., A, 732 (2018) 378..Article
  • 17. N. K. Adomako, J. O. Kim and J. H. Kim: Mater. Sci. Eng., A, 753 (2019) 208..Article
  • 18. B. Kieback, A. Neubrand and H. Riedel: Mater. Sci. Eng., A, 362 (2003) 81..Article
  • 19. B. Onuike and A. Bandyopadhyay: Addit. Manuf., 22 (2018) 844..Article
  • 20. J. S. Kim, J. N. Kim and C. Y. Kang: Korean J. Met. Mater., 56 (2018) 265..

Figure & Data

References

    Citations

    Citations to this article as recorded by  

      • ePub LinkePub Link
      • Cite this Article
        Cite this Article
        export Copy Download
        Close
        Download Citation
        Download a citation file in RIS format that can be imported by all major citation management software, including EndNote, ProCite, RefWorks, and Reference Manager.

        Format:
        • RIS — For EndNote, ProCite, RefWorks, and most other reference management software
        • BibTeX — For JabRef, BibDesk, and other BibTeX-specific software
        Include:
        • Citation for the content below
        Evaluation of Microstructures and Mechanical Properties in Functionally Graded Materials (STS 316L and Low Alloy Steel) Produced by DED Processes
        J Powder Mater. 2022;29(4):309-313.   Published online August 1, 2022
        Close
      • XML DownloadXML Download
      Figure
      • 0
      • 1
      • 2
      • 3
      Related articles
      Evaluation of Microstructures and Mechanical Properties in Functionally Graded Materials (STS 316L and Low Alloy Steel) Produced by DED Processes
      Image Image Image Image
      Fig. 1 Macro photographs of functionally graded material samples after DED process.
      Fig. 2 EBSD IQ, IPF, and KAM maps, phase maps in layer of as-built specimen.
      Fig. 3 X-ray diffraction patterns of FGM specimens manufactured by the DED.
      Fig. 4 Tensile properties of the each layer in FGM specimens manufactured by the DED.
      Evaluation of Microstructures and Mechanical Properties in Functionally Graded Materials (STS 316L and Low Alloy Steel) Produced by DED Processes
      Table 1 Average chemical compositions (wt.%) of the mixture powders used for the DED of each layers


      Journal of Powder Materials : Journal of Powder Materials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