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arning: mkdir(): Permission denied in /home/virtual/lib/view_data.php on line 81

Warning: fopen(upload/ip_log/ip_log_2024-10.txt): failed to open stream: No such file or directory in /home/virtual/lib/view_data.php on line 83

Warning: fwrite() expects parameter 1 to be resource, boolean given in /home/virtual/lib/view_data.php on line 84
The Preparation and Growth Mechanism of the Recovered Bi2Te3 Particles with Respect to Surfactants
Skip Navigation
Skip to contents

Journal of Powder Materials : Journal of Powder Materials

OPEN ACCESS
SEARCH
Search

Articles

Page Path
HOME > J Korean Powder Metall Inst > Volume 24(2); 2017 > Article
ARTICLE
회수된 Bi2Te3의 계면활성제에 따른 합성 및 성장 거동
소형섭, 송은필a, 좌용호a, 이근재*
The Preparation and Growth Mechanism of the Recovered Bi2Te3 Particles with Respect to Surfactants
Hyeongsub So, Eunpil Songa, Yong-Ho Choaa, Kun-Jae Lee*
Journal of Korean Powder Metallurgy Institute 2017;24(2):141-146.
DOI: https://doi.org/10.4150/KPMI.2017.24.2.141
Published online: March 31, 2017

단국대학교 에너지공학과

한양대학교 융합화학공학과

Department of Energy Engineering, Dankook University, Cheonan-si 31116, Republic of Korea

a Department of Fusion Chemical Engineering, Hanyang University, Ansan 15588, Republic of Korea

*Corresponding author : Kun-Jae Lee, +82-41-550-3684, +82-41-559-7914, kjlee@dankook.ac.kr
• Received: March 6, 2017   • Revised: March 27, 2017   • Accepted: March 28, 2017

© The Korean Powder Metallurgy Institute. All rights reserved.

  • 159 Views
  • 5 Download
prev next
  • Bi2Te3 powders are recovered by wet chemical reduction for waste n-type thermoelectric chips, and the recovered particles with different morphologies are prepared using various surfactants such as cetyltrimethylammonium bromide (CTAB), sodium dodecylbenzenesulfonate (SDBS), and ethylenediaminetetraacetic acid (EDTA). When citric acid is added as the surfactant, the shape of the aggregated particles shows no distinctive features. On the other hand, rod-shaped particles are formed in the sample with CTAB, and sheet-like particles are synthesized with the addition of SDBS. Further, particles with a tripod shape are observed when EDTA is added as the surfactant. The growth mechanism of the particle shapes depending on the surfactant is investigated, with a focus on the nucleation and growth phenomena. These results help to elucidate the intrinsic formation mechanism of the rod, plate, and tripod structures of the Bi2Te3 recovered by the wet reduction process.
열전 소자는 고체상태에서 열 에너지와 전기 에너지를 서로 가역적으로 변환시키는 반도체 소자로서[1], 에너지 하베스팅 및 정밀 가열/냉각 장치 등의 다양한 응용을 위 한 활발한 연구가 진행 중이다. 그러나 아직까지는 열전성 능 및 효율향상이 기대에 미치지 못하고 있는 실정으로서, 열전성능 향상을 위한 연구도 병행되고 있다[2-5].
열전 소자의 변환 효율은 ZT = α2σT/κ의 무차원 지수로 써 표현되며, 여기서 T는 절대온도, α는 seebeck 계수, σ 와 κ는 각각 전기전도도와 열전도도를 나타낸다. 전기전 도도와 열전도도는 서로 상호보완적인 관계를 가지고 있 다. 소자 내에 전하의 수가 증가하면 전기전도도가 향상되 고 증가한 전하로 인해 열전도도 또한 동시에 증가하게 된다. 이러한 현상은 전기전도도를 향상시키고 열전도도 를 감소시켜야 하는 열전 소자에서 치명적인 단점으로 작 용하지만, 이는 저차원 나노입자를 도입함으로써 열전도 도의 증가는 최소화하며 전기전도도를 향상시켜 해결될 수 있다[6-11].
특정한 형상을 가지는 입자는 전기적, 광학적, 자기적 및 화학적 특성이 달라질 수 있으므로, 열전 소재의 ZT 지수 를 비롯한 다양한 기능성 나노 소재(CdSe, ZnO, Ag 등)의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열 전 소자의 실온 작동에 최적화 되어 있는 소재로 알려진 Bi2Te3의 경우, 미세조직의 나노구조화를 적용하여 전하와 격자진동 거동의 독립적인 제어를 통해 ZT 지수를 향상시 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12-16]. 이에 대한 연구 로 A. Purkayastha et al.은 낮은 온도(100°C)에서 단결정 Bi2Te3 나노막대를 제조방법을 제시하였으며, Y. Zhang et al.은 ethylene glycol을 사용한 용매열 합성법을 사용하여 Bi2Te3 나노시트를 제조하는데 성공하여 높은 수율을 나타 내는 연구를 발표하였다[17, 18]. 또한 Q. Wei et al.은 vapor-liquid-solid(VLS) 공정을 활용하여[110] 성장 방향을 따르는 Bi2Te3 단결정 나노벨트를 합성하는 연구를 발표하 였으며, G. Zhang et al.은 용매로 ethylene glycol과 계면활 성제로 PVP를 사용하여 Bi2Te3 나노와이어의 합성하는 연 구를 보고하였고, F. Xiao et al.은 Ni 나노와이어로 갈바닉 치환을 사용하여 Bi2Te3 나노튜브를 제조하였다[19-21].
열전소재의 주요원소인 Te와 Bi는 현재 다양한 분야 (thermoelectric semiconductor, PV cell, catalyst, gas sensing etc.)에서 사용되고 있으며, 산업의 발달로 인해 수 요가 급증하고 있다[22]. 본 연구에서는 폐 열전소자에서 열전소재를 회수 및 재활용 시 입자의 형상과 입도를 제 어하여 기존의 열전소재보다 특성이 향상된 재활용 소재 를 제조하고자 하였다. 폐 열전 모듈에서 n-type의 Bi2Te3 열전소재를 용액상으로 회수한 후 습식 야금 공정을 통해 다양한 형상을 가지는 Bi2Te3 입자를 제조하였으며, 입자 합성 중 첨가제에 따른 입자의 형상 제어와 형성 메커니 즘을 제시하였다.
폐 열전 모듈을 250°C에서 가열시킨 후 solder를 분리하 여 p-type (Bi2Te3)과 n-type (Bi0.5Sb1.5Te3) chip을 모듈로부 터 분리하였으며, chip 표면에 남아 있는 solder의 제거를 위하여 분리된 chip들을 HCl (DAEJUNG, 35%)에 6시간 동안 반응시켜 solder를 제거하였다.
Solder가 제거된 열전 chip들은 p-type과 n-type chip의 분 류를 위해 각 0.14 mmol의 HNO3 (J.T.Baker, 70%):H2O=2:1 비율의 30 mL 용액에 장입하여 24시간동안 용해시켰다. 이 후 고체상의 p-type chip을 분리와 회수된 용액에 존재할 수 있는 불순물의 제거를 위하여 syringe filter를 이용하여 여과시켰다.
여과된 용액에 NaOH(DAEJUNG, 98.0%)를 첨가하여 pH 10으로 적정하였고, 3 mL의 ethylene glycol(DAEJUNG, 99.0%)에 계면활성제를 조건 별로 첨가하였다. 계면활성제 로는 각각 0.5 mmol의 citric acid(DAEJUNG, 99.9%), cetyltrimethylammonium bromide(CTAB, DAEJUNG, 99.0%), sodium dodecylbenzenesulfonate(SDBS, SIGMA ALDRICH, 99.9%), ethylenediaminetetraacetic acid(EDTA, ACROS ORGANICS, 99.0%)를 사용하였다. 각 계면활성제가 첨가된 용액의 온도가 80°C가 되었을 때, 3 mL의 hydrazine monohydrate(N2H4·H2O, ACROS ORGANICS, 100%)을 넣어 12시간동안 환원 반응을 진행하였다. 반응이 완료된 후에는 원심분리와 초음파 세척기를 사용하여 세척과정을 진행하였으며 세척수로는 DI Water와 에탄올을 사용하였 다. 세척과정이 끝난 분말은 상온에서 건조시켜 분말을 회 수하였다.
얻어진 분말의 결정 구조는 40 kV, 40 mA에서 Cu Kα(λ = 0.154 nm)의 방사선을 사용하는 X-ray diffractometer (XRD, ULTIMA IV, Rigaku)에 의해 분석되었으며, 입자의 형상은 Field emmision scanning electron microscope(FESEM, ZEISS, Gimini)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기존에 보고된 연구에 따르면, n-type chip은 HNO3에 용해되지만, p-type chip은 표면에 antimony oxide의 형성 으로 인하여 더 이상의 용해가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에 ptype chip은 고상 형태 그대로 회수할 수 있다[23]. 반면, n-type chip은 HNO3와 반응하여 다음과 같은 반응식에 따 라 용해된다.
Bi + 6HNO3Bi(NO3)3 + 3NO2 + 3H2OTe + 6HNO3H2TeO4 + 6NO2 + 2H2O
여기서 H2TeO4는 수용액 상태에서 TeO42-의 형태로 존 재하며 용해된 Bi 및 Te를 회수하기 위하여 hydrazine monohydrate를 첨가하면 다음과 같은 반응에 의하여 Bi2Te3로 합성된다.
2Bi(NO3)3 + 3N2H5+ + 6H2O 2Bi(s) + 6NH3OH+ + 3H+TeO42- + 3N2H5+ + 5H+ + 2H2O Te(s) + 6NH3OH+2Bi(s) + 3Te(s) Bi2Te3(s)
그림 1은 n-type chip이 용해된 용액을 출발물질로 하여 제조된 분말을 첨가된 계면활성제의 종류(Citric acid, CTAB, SDBS, EDTA)에 따라 XRD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회절 패턴은 (006), (101), (015), (1010), (110), (113)/ (1015)/(116), (205), (208), (0210), (1115), (2110), (300)면 의 회절이 각각 17.4°, 23.6°, 27.6°, 37.7°, 41.2°, 44.3°/ 45.0°/45.2°, 50.3°, 57.1°, 62.8°, 67.0°, 72.8°, 75.1°에서 나 타났다. 습식 화학 공정을 통해 제조된 분말들은 계면활성 제 종류와 관계없이 R3 ㅡ m (166) 공간군을 가지는 Bi2Te3의 능면체(rhombohedral) 결정구조(JCPDS #15-0863)를 나타 내었으며, 이외의 2차상 출현은 없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Fig. 1

The XRD patterns of the Bi2Te3 products prepared by wet-chemical method using waste thermoelectric module at 80°C with respect to surfactants: (a) Citric acid; (b) CTAB; (c) SDBS; (d) EDTA.

KPMI-24-141_F1.gif
그림 2는 계면활성제 종류에 따라 제조된 환원시킨 분 말의 FE-SEM 분석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그림 2(a)의 경 우, citric acid를 계면활성제로 사용하여 얻어진 분말로, 불규칙한 형상을 가지고 있으며, 수십 nm 크기의 입자들 로 구성되어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반면 CTAB를 사용 해 얻어진 분말의 경우(그림 2(b)), 일부 막대모양의 입자 들이 존재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처럼 막대 모양의 입자가 형성되는 메커니즘은 CTAB의 친수성 그 룹(hydrophilic group) 및 소수성 그룹(hydrophobic group) 과 연관되어 있다. 그림 3(a)을 보면, CTAB는 탄소와 수 소로 이루어져있는 사슬(chain)부분과 질소, 브롬, 탄소, 수소로 이루어져 있는 머리(head) 부분이 존재하며, 브롬 이 물에 이온화되어 CTA+의 형태로 용액 안에서 이온상 태로 존재한다[24]. 환원반응이 시작되어 핵이 형성된 후 CTAB의 소수성 그룹은 Bi2Te3 핵의 가장자리에 연결되며 친수성 그룹은 용액과 마주하게 된다. 이와 유사한 현상을 살펴보면, Te nano-rod 성장은 용액 내에서 계면활성제가 둘러싼 입자의 [001] 방향 성장으로 인해 형성된다고 보고 된 바가 있다[25]. Bi2Te3는 Te과 같은 육각형 결정 구조를 가지므로 입자 성장이 유사하게 진행될 것으로 예상된다. 즉, [001]축을 제외한 다른 축으로의 입자 성장은 제한되 며, 그림 3(b)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핵 형성 이 후의 입자성장은 [001] 방향으로만 이루어지게 되어 방향 성을 띄는 막대모양이나 와이어모양의 입자를 형성하게 된다.
Fig. 2

SEM images of prepared Bi2Te3 powders with respect to surfactants: (a) Citric acid; (b) CTAB; (c) SDBS; (d) EDTA.

KPMI-24-141_F2.gif
Fig. 3

Preparation of powder using CTAB as a surfactant. (a) CTAB structural formula and (b) formation process of rodshape particles with hydrophilic and hydrophobic groups.

KPMI-24-141_F3.gif
그림 2(c)는 SDBS를 계면활성제로 사용하여 제조한 분 말로서, c축 성장보다는 2차원의 성장이 이루어진 판상의 Bi2Te3 입자가 존재하고 있는 것을 관찰할 수 있다. 기존 연구들에 의하면, SDBS를 계면활성제로 사용하면 nanoplate의 성장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연구 결과가 보고된 바 있다[26, 27]. 그림 4는 nano-plate 형성과정을 모식화 한 것이다. 성장 메커니즘은 그림 4(a)와 같이 초기에 nano-plate가 형성되며, 판상의 형상을 유지하며 성장하게 되는 것으로 판단된다(그림 4(b)). 이는 음으로 하전된 SDBS는 Bi2Te3의 (001)면에 부착되어 표면을 안정화시키 며, 동시에 [001] 방향으로의 성장을 억제시키는 현상에 기인한 것이다. 즉, 형성된 입자는 SDBS의 영향으로 [001] 방향을 제외한 다른 방향으로의 입자성장이 유도되 어, nano-plate의 입자 성장과정을 거쳐 넓은 면적의 판상 을 가지게 된다.
Fig. 4

Bi2Te3 growth mechanism using SDBS as a surfactant. (a) Anisotropic growth of particles after Bi2Te3 nucleation and (b) sheet-shape particles grown by coalescence of previous particles.

KPMI-24-141_F4.gif
그림 2(d)는 EDTA를 계면활성제로 사용하여 제조한 분 말의 FE-SEM 사진으로써, 제조된 분말은 [001] 방향을 따 라 성장하는 c축 성장을 따르지 않고 이방성 성장의 tripod 형태의 입자가 존재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그 림 5(a)에서 보듯이 Bi2Te3의 결정계는 육방정계로써 한 평면상에서 3개의 수평축이 서로 60°로 교차하고 있다. 이 때 하나의 수평축은 [100]과 [100] 방향의 축이며, 다른 수평축은 [010]과 [010] 방향의 축이고, 나머지 하나의 수 평축은 [110]과 [110] 방향의 축이다[28]. 즉, tripod의 성 장은 [100], [010], [110] 방향 또는 [100], [010], [110] 방 향으로 이루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Bi2Te3의 성장은 초기 에 입자가 형성되고 입자의 병합으로 인해 육각형 격자구 조에 따라 성장하여 육각형의 입자를 형성해야 한다[29]. 그러나 D. Deng et al.에 의하면, pod 입자 형성에 있어서 EDTA는 우선적으로 c축 성장을 방해하고 동시에 pod 성 장을 유리하게 이끌어주기 때문에 입자의 성장은 EDTA 로 인한 제한적인 환경에서 표면에너지가 유리한 방향으 로 성장하여 삼각형 모양의 입자가 형성된다고 보고하였 다[30]. 그림 5(b)에서 볼 수 있듯이 Bi2Te3는 Se와 같은 육각형 결정구조를 가지고 있으므로, 입자의 성장이 이와 유사한 메커니즘으로 진행될 것으로 예상된다. 형성된 입 자는 ostwald ripening 과정을 통해 점차 조대한 pod 입자 로 성장하게 된다. 이러한 사실은 성장한 Bi2Te3의 세 개 의 가지가 120º로 서로 최대한 분리되어 있다는 사실에서 확인할 수 있다.
Fig. 5

Preparation of powder using EDTA as a surfactant. (a) Hexagonal miller index viewed from the c-axis, (b) growth mechanism of tripod particle.

KPMI-24-141_F5.gif
SDBS와 EDTA는 음이온 계면활성제로 사용되는 대표 적인 계면활성제이다. 같은 음이온 계면활성제임에도 입 자의 형상이 차이가 나는 이유는 SDBS에는 존재하지 않 고 EDTA에 존재하는 카르복실기(−COOH)의 영향으로 예 상된다. Hexagonal 결정 구조를 가지고 있는 Se으로 실험 한 기존 연구에 따르면, EDTA의 분자 구조가 pod 형상의 형성을 유리하게 이끌어준다는 연구가 보고 된 바 있다 [30]. 마찬가지로 유사한 hexagonal 결정구조를 가지는 Bi2Te3 또한 EDTA의 –COOH에 영향을 받아 tripod 형상 으로 성장한 것으로 예상된다.
그림 2(b)~2(d)에서의 FE-SEM 분석결과, 제조된 분말에 서는 막대, 판상, tripod 형상의 입자 주변에 불규칙한 입 자가 관찰되었다. 이러한 입자의 성장 이유로는 계면활성 제 농도의 영향에 관련이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계면활성 제의 농도가 임계 마이셀 농도(critical micelle concentration; CMC)에 도달하면 구형의 마이셀이 형성되며 더 높아질수 록 마이셀 구조가 변형되어 다양한 구조를 가지게 된다 [31-33]. 환원 공정 중에 입자의 수가 증가하고 크기가 커 질수록 더 많은 계면활성제가 흡착되며 계면활성제의 농 도가 CMC 이하로 감소하면서 마이셀의 형성이 중단된다 [34]. 즉, 입자 형성으로 감소한 마이셀 농도로 인해 마이 셀 구조가 제거되었으며 분석결과와 마찬가지로 계면활성 제로 인한 입자의 형상 제어가 저하되었다고 추측된다.
본 연구에서는 폐 열전 모듈을 HNO3 수용액에 용해시켜 환원반응을 통해 다시 Bi2Te3를 회수한 후 서로 다른 형태 의 입자를 제조하는 연구를 진행하였다. 계면활성제에 따 라 Bi2Te3 입자 형상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습식 야금 공정을 사용하여 실험을 진행하였으며, 환원 공정을 통해 제조한 분말의 XRD 분석결과 같은 Bi2Te3 스펙트럼 을 나타냈다. 이를 통해 계면활성제가 Bi2Te3의 제조에 영 향을 미치지 않은 것을 알 수 있었으나, FE-SEM 측정 결 과 계면활성제에 따라 제조된 분말마다 상이한 결과를 관 찰할 수 있었다. Citric acid를 사용했을 때에는 특정한 입 자의 형상이 보이지 않았으나 CTAB을 사용하였을 때에는 막대 모양, SDBS를 사용하였을 때에는 판상, EDTA를 사 용하였을 때에는 pod 모양이 측정되었다. 막대 형상 입자 가 제조된 경우에는 CTAB의 친수성 부분과 소수성 부분의 배열로 인해 막대 형상이 제조되었으며, SDBS를 사용한 판상 형태의 입자는 계면활성제가 [001] 방향으로의 성장 을 억제하여 2차원적으로 성장된 것으로 예상되었다. EDTA의 경우에는 3개의 방향으로 입자가 성장하였고 서 로의 다리의 각도는 120° 정도로 성장함으로 보아 EDTA의 역할은 [001] 방향으로의 성장을 억제함과 동시에 pod의 성장을 유리하게 이끌어주는 것으로 예상되었다.
  • 1. P. Rimal, S.M. Yoon, E.B. Kim, C.H. Lee and S.J. Hong: J. Korean Powder Metall. Inst.., (2016) 23 126.
  • 2. L.E. Bell: Science., (2008) 321 1457.Article
  • 3. Y. Zhang, G. Xu, P. Ren, Z. Wang and C. Ge: J. Electron. Mater.., (2011) 40 835.ArticlePDF
  • 4. Y. Deng, X.S. Zhou, G.D. Wei, J. Liu, C.W. Nan and S.J. Zhao: J. Phys. Chem. Solids., (2002) 63 2119.Article
  • 5. H.T. Zhang, X.G. Luo, C.H. Wang, Y.M. Xiong, S.Y. Li and X.H. Chen: J. Cryst. Growth., (2004) 265 558.Article
  • 6. T.C. Harman, P.J. Taylor, M.P. Walsh and B.E. Laforge: Science., (2002) 297 2229.Article
  • 7. M.S. Dresselhaus, G. Dresselhaus, X. Sun, Z. Zhang, S.B. Cronin and T. Koga: Phys. Solid State., (1999) 41 679.ArticlePDF
  • 8. T. Sun, X.B. Zhao, T.J. Zhu and J.P. Tu: Mater. Lett.., (2006) 60 2534.Article
  • 9. A. Purkayastha, Q. Yan, M.S. Raghuveer, D.D. Gandhi, H. Li, Z.W. Liu, R.V. Ramanujan, T. Borca-Tasciuc and G. Ramanath: Adv. Mater.., (2008) 20 2679.Article
  • 10. C. Kim, D.H. Kim, Y.S. Han, J.S. Chung, S.H. Park, S. Park and H. Kim: Mater. Res. Bull.., (2011) 46 407.Article
  • 11. K.T. Kim, T.S. Min and D.W. Kim: J. Korean Powder Metall. Inst.., (2016) 23 263.Article
  • 12. D. Dhak and P. Pramanik: J. Am. Ceram. Soc.., (2006) 89 534.Article
  • 13. F. Wu, H.Z. Song, F. Gao, W.Y. Shi, J.F. Jia and X. Hu: J. Electron. Mater.., (2013) 42 1140.ArticlePDF
  • 14. C. Bouet, B. Mahler, B. Nadal, B. Abecassis, M.D. Tessier, S. Ithurria, X. Xu and B. Dubertret: Chem. Mater.., (2013) 25 639.Article
  • 15. L. Vayssieres: Adv. Mater.., (2003) 15 464.Article
  • 16. H.B. Mao, J.Y. Feng, X. Ma, C. Wu and X.J. Zhao: J. Nanopart. Res.., (2012) 14 887.
  • 17. A. Purkayastha, F. Lupo, S. Kim, T. Borca-Tasciuc and G. Ramanath: Adv. Mater.., (2006) 18 496.Article
  • 18. Y. Zhang, L.P. Hu, T.J. Zhu, J. Xie and X.B. Zhao: Cryst. Growth Des.., (2013) 13 645.Article
  • 19. Q. Wei, Y. Su, C.J. Yang, Z.G. Liu, H.N. Xu, Y.D. Xia and J. Yin: J. Mater. Sci.., (2011) 46 2267.ArticlePDF
  • 20. G. Zhang, B. Kirk, L.A. Jauregui, H. Yang, X. Xu, Y.P. Chen and Y. Wu: Nano Lett.., (2012) 12 56.Article
  • 21. F. Xiao, B. Yoo, K.H. Lee and N.V. Myung: J. Am. Chem. Soc.., (2007) 129 10068.Article
  • 22. K.J. Lee, Y.H. Jin and M.S. Kong: J. Nanosci. Nanotechnol.., (2014) 14 7919.Article
  • 23. B. Swain and K.J. Lee: J. Chem. Technol. Biotechnol.., (2017) 92 614.
  • 24. X.M. Sun, X. Chen, Z.X. Deng and Y.D. Li: Mater. Chem. Phys.., (2002) 78 99.Article
  • 25. Z. Liu, Z. Hu, J. Liang, S. Li, Y. Yang, S. Peng and Y. Qian: Langmuir., (2004) 20 214.Article
  • 26. F. GuoLi, C. Guang, W. Xiong and L. J. Qiang: Sci. China. Tech. Sci., (2011) 54 19.
  • 27. L. Zhang, D. Chen and X. Jiao: J. Phys. Chem. B., (2006) 110 2668.Article
  • 28. P.G. Partridge: Metall. Rev.., (1967) 12 169.Article
  • 29. W. Lu, Y. Ding, Y. Chen, Z.L. Wang and J. Fang: J. Am. Chem. Soc.., (2005) 127 10112.Article
  • 30. D. Deng, J. Wang and J.S. Yu: CrystEngComm., (2015) 17 4349.Article
  • 31. T. Hargreaves: Chem. Br.., (2003) 39 38.
  • 32. S. Bandyopadhyay, J.C. Shelley, M. Tarek, P.B. Moore and M.L. Klein: J. Phys. Chem. B., (1998) 102 6318.Article
  • 33. S. Perkin, N. Kampf and J. Klein: Phys. Chem. B., (2005) 109 3832.Article
  • 34. T.J. Crowley, E.S. Meadows, E. Kostoulas and F.J. Doyle Jr: J. Process Contr.., (2000) 10 419.Article

Figure & Data

References

    Citations

    Citations to this article as recorded by  

      • PubReader PubReader
      • Cite this Article
        Cite this Article
        export Copy Download
        Close
        Download Citation
        Download a citation file in RIS format that can be imported by all major citation management software, including EndNote, ProCite, RefWorks, and Reference Manager.

        Format:
        • RIS — For EndNote, ProCite, RefWorks, and most other reference management software
        • BibTeX — For JabRef, BibDesk, and other BibTeX-specific software
        Include:
        • Citation for the content below
        The Preparation and Growth Mechanism of the Recovered Bi2Te3 Particles with Respect to Surfactants
        J Korean Powder Metall Inst. 2017;24(2):141-146.   Published online April 1, 2017
        Close
      • XML DownloadXML Download
      Figure
      • 0
      • 1
      • 2
      • 3
      • 4
      The Preparation and Growth Mechanism of the Recovered Bi2Te3 Particles with Respect to Surfactants
      Image Image Image Image Image
      Fig. 1 The XRD patterns of the Bi2Te3 products prepared by wet-chemical method using waste thermoelectric module at 80°C with respect to surfactants: (a) Citric acid; (b) CTAB; (c) SDBS; (d) EDTA.
      Fig. 2 SEM images of prepared Bi2Te3 powders with respect to surfactants: (a) Citric acid; (b) CTAB; (c) SDBS; (d) EDTA.
      Fig. 3 Preparation of powder using CTAB as a surfactant. (a) CTAB structural formula and (b) formation process of rodshape particles with hydrophilic and hydrophobic groups.
      Fig. 4 Bi2Te3 growth mechanism using SDBS as a surfactant. (a) Anisotropic growth of particles after Bi2Te3 nucleation and (b) sheet-shape particles grown by coalescence of previous particles.
      Fig. 5 Preparation of powder using EDTA as a surfactant. (a) Hexagonal miller index viewed from the c-axis, (b) growth mechanism of tripod particle.
      The Preparation and Growth Mechanism of the Recovered Bi2Te3 Particles with Respect to Surfactants

      Journal of Powder Materials : Journal of Powder Materials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