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국립목포대학교 신소재공학과
b 국립목포대학교 세라믹산업기술연구소
a Department of Advanced Materials Science and Engineering, Mokpo National University, Muan 58554, Republic of Korea
b Research Institute of Ceramic Industry and Technology, Mokpo National University, Muan 58554, Republic of Korea
© The Korean Powder Metallurgy Institute. All rights reserved.
Sample | Binder (wt%) | Plasticizer (wt%) | |
---|---|---|---|
|
|||
PVA | HEMA | PEG | |
|
|||
A2 | 2 | 2 | |
B2 | 2 | 2 | |
B3 | 3 | 2 |
Sample | Binder (wt%) | Plasticizer (wt%) |
---|---|---|
|
||
PVA | PEG | |
|
||
D1 | 1 | 1 |
D2 | 1 | 2 |
D3 | 1 | 3 |
1. 결합제로서 중합도가 높은 PVA는 과립 내 입자간에 강한 결합을 보여 고압의 성형압에도 과립이 파괴되지 않 아 낮은 성형밀도를 나타내었다. 상대적으로 중합도가 낮 은 HEMA 첨가 시, 성형 압력 증가와 함께 과립이 파괴되 어 과립간 공극을 채우는 효과가 발현되어 성형밀도가 증 가하였다.
2. 가소제인 PEG의 첨가량도 성형밀도에 영향을 미치며, HEMA 결합제를 사용한 경우, PEG 첨가량 증가는 과립 내 입자간 미끄럼 현상을 유발시켜 저압에서의 과립분말 파 괴에도 불구하고 성형밀도의 증가를 보였으나, 결합제 양 에 비하여 3배 이상의 가소제 첨가는 국부적인 결합력을 낮추어 성형체의 균열을 초래하였다.
3. 비수계에 비하여 수계의 경우는, 낮은 중합도를 갖는 결합제에 가소제의 첨가량을 조절함으로써 효과적인 성형 밀도의 향상이 발현됨을 알 수 있었다.
Sample | Binder (wt%) | Plasticizer (wt%) | |
---|---|---|---|
|
|||
PVA | HEMA | PEG | |
|
|||
A2 | 2 | 2 | |
B2 | 2 | 2 | |
B3 | 3 | 2 |
Sample | Binder (wt%) | Plasticizer (wt%) |
---|---|---|
|
||
PVA | PEG | |
|
||
D1 | 1 | 1 |
D2 | 1 | 2 |
D3 | 1 | 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