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한밭대학교 신소재공학과
b 한국생산기술연구원 강원지역본부 적층성형가공그룹
c 한국생산기술연구원 대경지역본부 극한가공기술그룹
d 경상대학교 나노·신소재공학부
a Department of Materials Science & Engineering, Hanbat National University, Daejeon 34158, Republic of Korea
b Additive Manufacturing R&D group, Korea Institute of Industrial Technology Gangwon Regional Division, Gangwon-do 25440, Republic of Korea
c Ulitmate Fabrication Technology group, Korea Institute of Industrial Technology Daegyeong Regional Division, Daejeon 42994, Republic of Korea
d School of Materials Science and Engineering,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Gyeongsangnam-do 52828, Republic of Korea
© The Korean Powder Metallurgy Institute. All rights reserved.
(1) 각형의 바나늄 분말들은 RF-플라즈마 공정을 통해 평균 입도 100 μm 수준으로 균일하게 구상화 처리 될 수 있었다. 휘발되거나 미분화 되어 사라진 분말의 양은 전체 의 5% 수준으로 매우 적었다.
(2) RF-플라즈마 공정 중 바나늄 분말에는 표면산화가 발생하였다.
(3) 타이타늄/바나듐/스텐인리스강의 경사기능소재를 적 층 조형 하였다. V 중간층이 각형의 분말로 제조된 경우 17-4PH의 박리없이 건전한 적층이 이루어졌다. 반면, 구 상화 처리된 V 분말이 사용된 경우는 V층에서 기공과 불 완전 용융현산이 관찰되었다. 또한, 17-4PH의 적층시 박 리가 발생하였다. 이러한 결함발생의 주원인은 V 중간층 이 상대적으로 두꺼웠고 플라즈마 공정을 거치면서 V 분 말에 산소농도가 올라갔기 때문으로 추측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