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인하대학교 신소재공학과
b 한국재료연구원 금속재료연구본부 특수합금연구실
c 국립 한밭대학교 신소재공학과
d 한국생산기술연구원
a Department of Materials Science and Engineering, Inha University, Incheon 22212, Republic of Korea
b Advanced Metals Division, Department of Special Alloys, Korea Institute of Materials Science, Changwon 51508, Republic of Korea
c Department of Materials Science and Engineering, Hanbat National University, Daejeon 34158, Republic of Korea
d Korea Institute of Industrial Technology, Incheon 21999, Republic of Korea
© The Korean Powder Metallurgy Institute. All rights reserved.
(1) ODS 강의 미세조직 관찰 결과, 열처리 후에도 압출 방향을 따라 연신된 조직이 관찰되었다. EBSD 분석을 통 해 고배율에서 관찰한 결과, 일부 재결정 및 결정립 성장 이 확인되었으나, 일반적인 페라이트 강에 비해 두드러지 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어 복합 밀링 공정이 도입된 상기 소재는 산화물이 높은 개수 밀도로 잘 분산되어 있음을 유추할 수 있었다. 이와 함께 TEM 관찰을 통해 Y-Ti-O 나 노 클러스터로 사료되는 5~10 nm 수준의 석출물들을 관 찰할 수 있었다.
(2) 고온 압축 시험 결과, ODS 강의 항복 강도는 500°C 이 후 급격하게 감소하는 일반적인 경향을 보였다. 또한 상온보다 500°C의 온도에서 더 낮은 변형률(~0.25%) 파단 이 일어났는데 이는 475°C 취성(brittleness)에 의한 파단으 로 사료된다.
(3) 고온 압축 시편의 표면 관찰 결과, 상온 및 500°C의 압축 시편의 경우 압축 하중이 가해지는 45° 방향으로 전 단 균열(shear crack) 및 전단 밴드(shear bands)가 형성되 었다. 반면 700°C 및 900°C의 압축 시편에서는 응력이 가 해짐에 따라 소성 변형 수용에 의한 배럴링(barreling)현상 이 나타났으며, 900°C 압축 시편의 경우, 균열이 생성되는 방향을 따라 산화 스케일(oxide scale)이 관찰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