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arning: mkdir(): Permission denied in /home/virtual/lib/view_data.php on line 81

Warning: fopen(upload/ip_log/ip_log_2024-06.txt): failed to open stream: No such file or directory in /home/virtual/lib/view_data.php on line 83

Warning: fwrite() expects parameter 1 to be resource, boolean given in /home/virtual/lib/view_data.php on line 84
Microstructure and Characteristics of Ag-SnO2-Bi2O3 Contact Materials by Powder Compaction
Skip Navigation
Skip to contents

Journal of Powder Materials : Journal of Powder Materials

OPEN ACCESS
SEARCH
Search

Articles

Page Path
HOME > J Powder Mater > Volume 29(1); 2022 > Article
Article
분말성형법으로 제조된 Ag-SnO2-Bi2O3 접점소재의 미세조직 및 특성
이진 규*
Microstructure and Characteristics of Ag-SnO2-Bi2O3 Contact Materials by Powder Compaction
Jin Kyu Lee*
Journal of Korean Powder Metallurgy Institute 2022;29(1):41-46.
DOI: https://doi.org/10.4150/KPMI.2022.29.1.41
Published online: January 31, 2022

공주대학교 신소재공학부

Division of Advanced Materials Engineering, Kongju National University, Cheonan 331-717, Republic of Korea

*Corresponding Author: Jin Kyu Lee, TEL: +82-41-521-9388, FAX: +82-41-568-5766, E-mail: jklee71@kongju.ac.kr
- 이진규: 교수
• Received: February 18, 2022   • Accepted: February 25, 2022

© The Korean Powder Metallurgy Institute. All rights reserved.

  • 27 Views
  • 0 Download
  • In this study, we report the microstructure and characteristics of Ag-SnO2-Bi2O3 contact materials using a controlled milling process with a subsequent compaction process. Using magnetic pulsed compaction (MPC), the milled Ag-SnO2-Bi2O3 powders have been consolidated into bulk samples. The effects of the compaction conditions on the microstructure and characteristics have been investigated in detail. The nanoscale SnO2 phase and microscale Bi2O3 phase are well-distributed homogeneously in the Ag matrix after the consolidation process. The successful consolidation of Ag-SnO2-Bi2O3 contact materials was achieved by an MPC process with subsequent atmospheric sintering, after which the hardness and electrical conductivity of the Ag-SnO2-Bi2O3 contact materials were found to be 62–75 HV and 52–63% IACS, respectively, which is related to the interfacial stability between the Ag matrix, the SnO2 phase, and the Bi2O3 phase.
전기접점 소재는 전기회로의 개폐 또는 접촉을 기계적 으로 행하는 스위치, 전자개폐기, 배선용 차단기 등의 전 기적 접촉 소자에 사용되는 소재로 전기, 전자, 통신, 자동 차, 반도체 등의 전반적인 산업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접 점 소재는 사용되는 전류의 영역에 따라 저전류용, 중전류 용, 고전류용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제조방법에 따라 분 말야금법, 내부산화법, 분말산화법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중전류용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는 Ag-산화물계 접점소 재는 화학적으로 안정하고 전기전도도가 높은 Ag 기지에 산화물을 분산시킴으로써 강도를 높이고 아크에 의해 표 면이 고온이 되는 경우 접점소재의 융착을 억제하는 소재 로, 산화물의 입자가 미세하고 분포가 균일할수록 우수한 접점 소재의 특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1-3]. Ag-산화물계 접점 소재 중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Ag-CdO 접점 소재는 내마모성, 전기전도도, 접촉저항 등 의 특성이 우수하나, 최근 중금속 사용 규제 및 환경 문제 에 따라 중금속인 Cd의 사용이 제한되어 Sn, Zn 등의 산 화물로 이루어진 새로운 접점소재가 연구되고 있다[4-7].
최근에 많이 연구되고 있는 Ag-SnO2 접점 소재는 Ag- CdO 접점소재와 비교하여 SnO2가 Ag 융점 이상의 고온 에서도 안정성이 우수하고, 산화물 입자의 크기가 미세한 장점이 있다. 그러나, 내부산화법에 의해 제조되는 경우 Sn 함량이 4 wt% 이상이면 내부산화의 속도가 감소하고, 8 wt% 이상이면 Sn이 외부표면으로 확산함에 따라 표면 에 산화물층이 형성되고 접점 소재 내부에는 고갈 영역에 형성되어 내부산화가 진행되지 않게 된다. 이러한 단점을 해결하기 위해 In, Bi, Zn 등의 제3의 원소를 첨가하여 산 화물의 함량을 증가시키고, 표면 산화물층 형성을 억제하 고자 하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며[8, 9], 산화물의 함량이 높은 Ag-SnO2 접점 소재의 경우는 내부산화법이 아닌 분 말야금법을 이용하여 제조되고 있다. 분말야금법에 의해 제조되는 접점소재는 먼저 분말을 혼합한 후 성형 및 소 결 공정을 거쳐 최종적으로 압출. 인발, 단조 등의 치밀화 공정을 통해 제조된다.
Ag-산화물계 접점소재의 경우 산화물의 양, 종류, 형상 및 크기, 산화물의 자체의 성질 등에 의해 접점소재의 성 능이 결정되어지므로 사용 목적에 맞는 접점 소재를 제조 하기 위해서는 산화물의 종류 및 제조 공정을 잘 선택하 는 것이 중요하다. 최근에는 전기 접촉 소자의 성능 향상 및 환경 규제 등에 따라 사용되는 접점소재의 경우도 장 수명화, 우수한 가공성, 친환경성 등이 요구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내아크 마모 특성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알려진 SnO2 산화물과 높은 내융착성을 가지는 것으로 알 려진 Bi2O3 산화물을 분말 형태로 혼합한 후 분말성형법 인 자기펄스 성형법(Magnetic Pulsed Compaction, MPC) 에 의해 Ag-SnO2-Bi2O3 접점소재를 제조하고 그 특성을 분석하였다. 자기펄스 성형법은 기존의 성형방법보다 매 우 짧은 시간(수~수십 마이크로초)에 높은 압력(수 GPa) 을 가하여 입자 성장 없이 높은 밀도로 성형할 수 있으며, 성형과 동시에 분말의 치밀화를 가능하게 하므로 성형 및 소결 온도를 낮출 수 있는 장점이 있다[10, 11].
볼 밀링(Planetary ball mill, Pulverisette 7) 장비를 사용 하여 Ag 분말, SnO2 분말, Bi2O3 분말을 혼합하여 기계적 밀링을 하였다. 분말의 입도는 Ag 분말은 평균입도가 약 5 μm 이하, SnO2 분말은 평균입도 5 μm 이하, Bi2O3 분말 은 평균입도 45 μm 이하의 분말을 사용하였다. 그림 1은 Ag, SnO2, Bi2O3 분말의 주사전자현미경(Scanning Electron Microscopy, SEM) 관찰 결과를 보여주고 있다. 스테인리 스 jar에 Ag-SnO2-Bi2O3 분말을 20 g 장입하고, 회전속도 는 200 rpm, 스테인리스 볼 대 혼합분말의 비는 15:1, 밀 링 시간은 5 h, 밀링 분위기는 Ar 분위기를 유지하였다. 기계적 합금화 방법을 통해 제조된 분말을 자기펄스 성형 장치를 사용하여 상온에서 성형하였으며, MPC의 성형압 력은 2.5 GPa로 하였고, 성형몰드의 직경은 10 mm, 장입 량은 2 g, 윤활재는 BN을 사용하였다.
Fig. 1

SEM micrograph of starting powders: (a) Ag, (b) SnO2 and (c) Bi2O3.

KPMI-29-1-41_F1.gif
제조된 성형체의 밀도는 아르키메데스 원리를 이용한 밀도 측정기(Density meter, SD-200L)를 이용하였으며, 3 회 반복 측정하여 평균값을 나타내었었다. 시편의 기계적 특성 분석을 위하여 마이크로 비커스 경도계를 사용하여 경도값을 측정하였으며, 하중은 200 gf를 가하여 10회 측 정 후 평균값을 나타내었다. 제조된 분말 및 성형체의 미 세조직과 상분석은 주사전자현미경(Scanning Electron Microscopy, TESCAN, MIRA LMH)과 성분분석(Energy Dispersive X-ray Spectroscopy, EDS)을 이용하여 분석하 였다. 또한, 성형체의 전기적 특성 분석을 위하여 접촉식 전기전도도 측정 장치를 이용하여 전기전도도를 10회 측 정 후 평균값을 나타내었다.
그림 2는 5시간 기계적 밀링 후에 Ag-SnO2-Bi2O3 분말 의 연마된 단면으로부터 얻어진 주사전자현미경 후방산란 전자(Back-scattered Electron, BSE) 모드에서의 미세조직 을 보여주고 있다. 일부 분말에서 기계적 밀링에 의해 분 말의 혼합이 일어난 것을 관찰할 수 있으며, Ag 분말과 SnO2 및 Bi2O3 분말이 층상구조(lamellar structrue)를 이루 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층상구조의 영역은 Ag- 10%SnO2-2%Bi2O3(이하 wt%)의 경우 가장 많이 관찰되었 으며, Bi2O3 분말의 분율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 을 나타내었다.
Fig. 2

SEM backscattered electron image obtained from the polished cross section of the Ag-SnO2-Bi2O3 powder particles: (a) Ag-10%SnO2-2%Bi2O3, (b) Ag-6%SnO2-6%Bi2O3 and (c) Ag-2%SnO2-10%Bi2O3.

KPMI-29-1-41_F2.gif
1은 분말 조성에 따른 성형체의 밀도 및 경도 값과 전기전도도 값을 보여주고 있다. 상온에서 자기펄스 성형 법에 의해서 제조된 Ag-SnO2-Bi2O3 성형체의 밀도는 이론 밀도의 93~95% 범위를 나타내었으며, 경도값은 163~167 Hv의 값을 나타내었다. 밀도는 Bi2O3 분말의 양이 증가함 에 따라 다소 증가하였으며, 경도값은 조성에 상관없이 유 사한 값을 나타내었다. Ag-2%SnO2-10%Bi2O3 성형체의 밀도는 약 95%로 측정되었으며, 약 167 Hv의 높은 경도 값을 나타내었다. 기존 연구에 의하면 700°C의 온도에서 230 MPa의 압력에서 10분간 가압성형된 Ag-SnO2 접점재 료의 경우 약 95%와 밀도와 약 70 Hv의 경도값을 나타내 는 것으로 보고되었다[12]. 그러므로 자기펄스 성형법을 이용하여 상온에서 성형된 Ag-SnO2-Bi2O3 접점 소재는 고 온 가압 성형법에 의해 제조된 Ag-SnO2 접점 소재와 유 사한 밀도값을 나타내고 있으며, 상대적으로 높은 경도값 을 가지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자기펄스 성형 법의 상온에서의 짧은 성형 시간과 높은 압력의 성형으로 인한 미세조직의 조대화 억제로부터 기인하는 것으로 판 단된다. 전기전도도는 상대적으로 낮은 13~25 %IACS의 값을 나타내었는데, 이는 자기펄스 성형의 높은 압력에 의 해 성형이 되는 동안 Ag-SnO2-Bi2O3 분말의 변형에 의해 계면이 형성되지만, 자기펄스 성형이 상온에서 짧은 시간 에 일어나기 때문에 분말의 치밀화 성형 및 열적 확산이 잘 이루어지지 않은 것에 기인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Table 1

Relative density, hardness and electrical conductivity of Ag-SnO2-Bi2O3 compacted samples by magnetic pulsed compaction

KPMI-29-1-41_T1.gif
그림 3(a)는 Ag-10%SnO-2%BiO 성형체의 주자전자현 미경 BSE 모드에서의 미세조직을 보여주고 있다. Ag 분 말과 SnO2 및 Bi2O3 분말로 이루어진 층상구조를 관찰할 수 있으며, 이러한 층상구조의 미세조직은 기계적 밀링 후 혼합 분말에서 관찰된 미세조직과 유사하고, 이는 자기펄 스 성형의 경우 상온에서 성형이 이루어지므로 기계적 밀 링에 의해 형성된 초기의 미세조직을 유지하는 것으로 판 단된다. 그림 3(b)는 그림 3(a)와 동일한 시편의 고배율 주 사전자현미경 사진과 EDS 분석결과를 보여주고 있다. 그 림 3(b)는 Ag 기지에 나노 스케일의 크기를 가지는 미세 한 SnO2 상과 Bi2O3 상이 균일하게 분포된 미세조직을 보 여주고 있으며, 그림 3 (c )의 EDS 상분석 결과로부터 Ag 기지 및 SnO2 상과 Bi2O3 상을 확인하였다. Ag 기지에 균 일하게 분포된 SnO2 상의 크기는 약 50~300 nm였으며, Bi2O3 상은 약 500 nm 크기를 가지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자기펄스 성형법에 의해 제조된 Ag-SnO2-Bi2O3 접점 소재 의 높은 경도값은 이러한 나노 스케일의 미세한 산화물의 분포에 기인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Fig. 3

(a) SEM backscattered electron image obtained from the polished cross section of the compacted Ag-10%SnO2- 2%Bi2O3 material, (b) high magnification image of Fig. 3(a), and (c) corresponding EDS spectra taken from the white region marked by A, the gray region marked by B and the dark area marked by C in Fig. 3(b).

KPMI-29-1-41_F3.gif
그림 4(a)는 Ag-2%SnO2-10%Bi2O3 성형체의 주사전자 현미경 BSE 모드의 미세조직을 보여주고 있다. Ag 기지 에 SnO2 상과 Bi2O3 상이 균일하게 분포되어 있으며, 일부 영역에서는 조대한 Bi2O3 상이 존재하는 것을 관찰할 수 있는데, 이는 초기 Bi2O3 분말의 크기 및 입도의 불균일성 에 기인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그림 4(b)는 Ag-2%SnO2- 10%Bi2O3 성형체의 고배율 주사전자현미경 사진을 보여 주고 있으며, Ag-10%SnO2-2%Bi2O3 성형체와 유사하게 Ag 기지에 나노 스케일의 크기를 가지는 SnO2 상과 Bi2O3 상이 분포되어 있음을 EDS 분석결과로부터 확인하였다.
Fig. 4

(a) SEM backscattered electron image obtained from the polished cross section of the compacted Ag-2%SnO2- 10%Bi2O3 material and (b) high magnification image of Fig. 4(a).

KPMI-29-1-41_F4.gif
2는 자기펄스 성형법에 의해 제조된 Ag-SnO2-Bi2O3 접점 소재를 700°C에서 30분간 상압 소결한 경우 밀도 및 경도, 전기전도도 값을 나타내었다. 소결 후 Ag-SnO2- Bi2O3 접점 소재의 밀도는 이론 밀도의 88~94% 범위를 나타내었으며, 경도값은 62~75 Hv 값을 가졌으며, 전기전 도도는 52~63 %IACS 값을 나타내었다. 소결 후 Ag-SnO2- Bi2O3 접점 소재의 밀도는 전반적으로 감소하였는데, 이는 Bi2O3 상의 용융점이 817°C이므로 700°C에서 30분간 소 결시 Bi2O3 상의 일부 용융 현상이 일어날 것으로 판단되 고, 용융된 Bi가 응고시 약 3~5% 부피 팽창되는 현상과 관련이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소결 후 Ag-SnO2-Bi2O3 접 점 소재의 경도는 소결 전과 비교하여 50% 정도 감소한 62~75 Hv의 값을 가졌으며, 이는 고온에서의 소결로 인한 Ag 기지의 미세조직 성장과 일부 Bi2O3 상의 용융 현상에 기인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이러한 경도값은 700°C의 온도에서 230 MPa의 압력하에서 10분간 가압성 형된 Ag-SnO2 접점재료의 경우의 경도값(~70 Hv)과 유사 한 값을 가지는 것을 알 수 있다[12]. 소결 후 Ag-SnO2- Bi2O3 접점 소재의 전기전도도는 52~63 %IACS 값을 나 타내었으며, 소결 전의 10~25 %IACS에 비해 급격히 증가 한 값을 나타내었다. 특히 Ag-2%SnO2-10%Bi2O3 접점 소 재의 전기전도도는 소결 전 13 %IACS에서 소결 후 63 %IACS로 급격히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Table 2

Relative density, hardness and electrical conductivity of Ag-SnO2-Bi2O3 sintered samples at 700°C for 30 min

KPMI-29-1-41_T2.gif
그림 5는 자기펄스 성형법에 의해 제조된 Ag-2%SnO2- 10%Bi2O3 접점 소재를 700°C에서 30분간 상압 소결한 경 우의 주사전자현미경 BSE 모드 사진과 EDS 분석결과를 보여주고 있으며, EDS 상분석 결과로부터 Ag 기지 및 SnO2 상과 Bi2O3 상을 확인하였다. Ag 기지에 200 nm 크 기 이하의 미세한 SnO2 상과 약 2 mm 크기의 Bi2O3 상이 열적 확산에 의해 서로 inter-locking을 이루고 있는 것을 보여주고 있으며, 소결 전과 비교해서 상대적으로 치밀하 고 건전한 상간 계면이 형성된 것을 알 수 있다. Ag- 2%SnO2-10%Bi2O3 접점 소재의 소결 후 전기전도도 값의 급격한 증가는 소결 과정 동안 열적 확산에 의해 일어나 는 치밀한 상간 계면의 형성 및 계면 안정성 증가에 기인 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Fig. 5

(a) SEM backscattered electron image obtained from the polished cross section of the sintered Ag-2%SnO2- 10%Bi2O3 material at 700°C for 30 min, (b) corresponding EDS spectra taken from the white region marked by A, the gray region marked by B and the dark area marked by C in Fig 5(a).

KPMI-29-1-41_F5.gif
이상의 실험결과로부터, 자기펄스 성형법 및 상압 소결 에 의해 성공적으로 Ag-SnO2-Bi2O3 접점 소재를 제조할 수 있었다. 기존의 분말성형법으로 접점 소재를 제조하는 경우는 성형 후 소결 및 치밀화 과정이 수반되어야 하지 만, 자기펄스 성형법의 경우 상압 소결만으로도 기존의 공 정으로 제조된 접점 소재와 유사한 특성을 가지는 접점 소재를 제조할 수 있었고, 이로부터 자기펄스 성형법을 이 용한 접점 재료 제조의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기계적 밀링 공정을 이용하여 Ag-SnO2-Bi2O3 복합 분말 을 제조한 후 자기펄스 성형법 및 상압 소결 공정을 이용 하여 벌크 형태의 접점 소재를 제조하였다. 자기펄스 성형 법에 의해 제조된 Ag-SnO2-Bi2O3 접점 소재의 미세조직은 Ag 기지에 50~300 nm 크기의 SnO2 상과 약 500 nm 크기 의 Bi2O3 상으로 이루어져 있다. 자기펄스 성형법과 상압 소결 공정 후에 Ag-SnO2-Bi2O3 접점 소재는 62~75 Hv의 경도값과 52~63 %IACS의 전기전도도값을 나타내었으며, 이러한 접점 소재의 물성은 기존의 분말성형법에 의해 제 조된 접점소재의 경우와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자기펄스 압축성형법을 이용한 Ag-SnO2- Bi2O3 접점 소재의 제조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Acknowledgements
이 논문은 2020년 공주대학교 학술연구지원사업의 연구 지원에 의하여 연구되었으며 이에 감사드립니다.
  • 1. G. B. Kwon and T. W. Nam: J. Korea Foundry Society, 25 (2005) 226.
  • 2. J. Chen, J. Feng, B. Xiao, K. H. Zhang, Y. P. Du, Z. J. Hong and R. Zhou: J. Mater. Sci. Technol., 26 (2010) 49.Article
  • 3. Q. Ye and Y. Wang: Mater. Sci. Eng. A, 449-451 (2007) 1045.Article
  • 4. M. Lungu, S. Gavailiu, T. Canta, M. Lucaci and E. Enescu: J. Optoelectron. Adv. Mater., 8 (2006) 576.
  • 5. C. P. Wu, D. Q. Yi, J. Li, L. R. Xiao, B. Wang and F. Zheng: J. Alloys Compd., 457 (2008) 565.Article
  • 6. P. B. Joshia, P. Krishnan, R. H. Patel, V. L. Gadgeel, P. Ramakrishnan and V. K. Kaushik: Mater. Lett., 33 (1997) 137.Article
  • 7. C. Xu, D. Yi, C.Wu, H. Liu and W. Li: Mater. Sci. Eng. A, 538 (2012) 202.Article
  • 8. G. Li, T. Yang, Y. Ma, W. Feng, X. Zhang and X. Fang: Ceram. Int., 46 (2020) 4897.Article
  • 9. G. Schimmel, J. Sorina-Müller, B. Kempf and M. Rettenmayr: Acta. Mater., 58 (2010) 2091.Article
  • 10. R. C. Kang, M. K. Lee, W. W. Kim, C. K. Rhee and S. J. Hong: J. Powder Mater., 15 (2008) 37.Article
  • 11. J. G. Lee, M. K. Lee, S. J. Hong, H. W. Lee, S. P. Pyun and C. K. Rhee: Mater. Lett., 64 (2010) 35. Article
  • 12. J.-G. Kim: J. Powder Mater., 14 (2007) 327.Article

Figure & Data

References

    Citations

    Citations to this article as recorded by  

      • PubReader PubReader
      • ePub LinkePub Link
      • Cite this Article
        Cite this Article
        export Copy Download
        Close
        Download Citation
        Download a citation file in RIS format that can be imported by all major citation management software, including EndNote, ProCite, RefWorks, and Reference Manager.

        Format:
        • RIS — For EndNote, ProCite, RefWorks, and most other reference management software
        • BibTeX — For JabRef, BibDesk, and other BibTeX-specific software
        Include:
        • Citation for the content below
        Microstructure and Characteristics of Ag-SnO2-Bi2O3 Contact Materials by Powder Compaction
        J Powder Mater. 2022;29(1):41-46.   Published online February 1, 2022
        Close
      • XML DownloadXML Download
      Figure
      Related articles

      Journal of Powder Materials : Journal of Powder Material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