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arning: mkdir(): Permission denied in /home/virtual/lib/view_data.php on line 81

Warning: fopen(upload/ip_log/ip_log_2024-05.txt): failed to open stream: No such file or directory in /home/virtual/lib/view_data.php on line 83

Warning: fwrite() expects parameter 1 to be resource, boolean given in /home/virtual/lib/view_data.php on line 84
Modulation of Microstructure and Energy Storage Performance in (K,Na)NbO3-Bi(Ni,Ta)O3 Ceramics through Zn Doping
Skip Navigation
Skip to contents

Journal of Powder Materials : Journal of Powder Materials

OPEN ACCESS
SEARCH
Search

Articles

Page Path
HOME > J Powder Mater > Volume 30(6); 2023 > Article
Article
Zn 도핑을 통한 (K,Na)NbO3-Bi(Ni,Ta)O3 세라믹의 미세구조 및 에너지 저장 물성 제어
김주은a, 박선화b, 민유호a,*
Modulation of Microstructure and Energy Storage Performance in (K,Na)NbO3-Bi(Ni,Ta)O3 Ceramics through Zn Doping
Jueun Kima, Seonhwa Parkb, Yuho Mina,*
Journal of Korean Powder Metallurgy Institute 2023;30(6):509-515.
DOI: https://doi.org/10.4150/KPMI.2023.30.6.509
Published online: November 30, 2023

a 경북대학교 신소재공학부 금속신소재공학과

b 경북대학교 탄소중립 지능형 에너지시스템 지역혁신 선도연구센터

a School of Materials Science and Engineering,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Daegu 41566, Republic of Korea

b Regional Leading Research Center for Smart Energy System,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Daegu 41566, Republic of Korea

* Corresponding Author: Yuho Min, TEL: +82-53-950-7820, FAX: +82-53-950-6559, E-mail: yuhomin@knu.ac.kr
- 김주은: 학생, 박선화: 박사후연구원, 민유호: 교수
• Received: November 24, 2023   • Revised: December 4, 2023   • Accepted: December 6, 2023

© The Korean Powder Metallurgy Institute. All rights reserved.

  • 36 Views
  • 3 Download
  • Lead-free perovskite ceramics, which have excellent energy storage capabilities, are attracting attention owing to their high power density and rapid charge-discharge speed. Given that the energy-storage properties of perovskite ceramic capacitors are significantly improved by doping with various elements, modifying their chemical compositions is a fundamental strategy.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 of Zn doping on the microstructure and energy storage performance of potassium sodium niobate (KNN)-based ceramics. Two types of powders and their corresponding ceramics with compositions of (1-x)(K,Na)NbO3-xBi(Ni2/3Ta1/3)O3 (KNN-BNT) and (1-x)(K,Na)NbO3-xBi(Ni1/3Zn1/3Ta1/3) O3 (KNN-BNZT) were prepared via solid-state reactions. The results indicate that Zn doping retards grain growth, resulting in smaller grain sizes in Zn-doped KNN-BNZT than in KNN-BNT ceramics. Moreover, the Zn-doped KNNBNZT ceramics exhibited superior energy storage density and efficiency across all x values. Notably, 0.9KNN-0.1BNZT ceramics demonstrate an energy storage density and efficiency of 0.24 J/cm3 and 96%, respectively. These ceramics also exhibited excellent temperature and frequency stability. This study provides valuable insights into the design of KNNbased ceramic capacitors with enhanced energy storage capabilities through doping strategies.
다양한 전자소자들의 빠른 성장과 더불어 우수한 성능 을 지닌 에너지 저장 장치를 개발하는 것은 전 세계적으 로 중요한 이슈이다[1-3]. 유전체 커패시터 소재는 빠른 충전-방전 속도와 높은 전력밀도 등 다른 에너지 저장 장 치(예: 리튬이온 배터리[4], 고체산화물 연료전지[5], 슈퍼 커패시터[6] 등) 대비 우수한 장점을 지니고 있다. 따라서 펄스 무기, 전기 자동차, 전력 전지 및 기타 분야에 활용 될 수 있어 최근 몇 년 동안 폭발적으로 주목을 받고 있 다[7-9]. 이에 따라 높은 에너지 저장 능력, 고주파 안정성, 높은 기계적 강도를 요구하고 있다. 지금까지 보고된 우수 한 성능의 유전체 세라믹은 대부분 납 기반 페로브스카이 트 재료인데, 납은 인체에 유해한 성분으로 인해 사용이 제한되고 있다[10-12]. 그러므로 산업 분야에 응용하기 위 해 높은 에너지 저장 밀도를 지닌 비납계 페로브스카이트 세라믹 소재 개발은 중요하다 할 수 있다. 유전체 에너지 저장 재료는 높은 에너지 저장 밀도(Wtot), 출력 가능한 에 너지(Wrec), 고효율(η), 높은 절연 파괴강도(Eb)를 요구하며 다음 식으로 계산할 수 있다[13,14].
(1)
Wtot=0PmaxEdP
(2)
Wrec=PrPmaxEdP
(3)
η=WrecWtot×100%
(4)
Eb1G
Pmax , Pr , G는 각각 최대 분극, 잔류 분극, 결정립 크기 이며, 큰 값의 Pmax-Pr로 인한 높은 에너지 저장 밀도, 작 은 결정립 크기로 인한 높은 절연 파괴강도(Eb)가 우수한 저장 밀도를 지닌 세라믹 커패시터 소재의 달성 조건이라 할 수 있다[15].
대표적인 비납계 페로브스카이트 소재는(K0.5Na0.5)NbO3 (KNN), (Bi0.5Na0.5)TiO3(BNT), SrTiO3(ST) 등이 있으며 이 중 KNN은 높은 유전특성, 온도 안정성을 지녔으나, 납 기 반 소재 대비 낮은 에너지 저장 밀도, 높은 잔류 분극과 낮은 절연 파괴강도로 인해 에너지 저장 소재로 활용하기 위해선 극복해야 할 부분이 많이 남아있다[16-19]. 최근 여러 연구에서 KNN 기반 세라믹의 에너지 저장능력을 향 상하고자 다양한 방법이 고안되었다. 예를 들어, 전기적 특성을 향상하고자 Li+, Bi3+, Zn2+, Sb5+, Ta5+, Bi(Ni0.5Ti0.5) O3, BiFeO3, 및 Bi(Mg2/3Nb1/3)O3 등 다양한 원소를 KNN 모재에 도핑하여 결정립 크기를 줄이거나, 소결 온도를 낮 추어서 구성성분의 휘발을 억제하면서 동시에 밀도를 향 상하거나, 극성 나노 영역(Polar nanoregions(PNRs)) 도메 인을 형성하여 장거리 강유전체 정렬을 파괴하고 완화형 강유전체(Relaxor ferroelectric)로 변환시키거나, 고용체의 입자 성장을 억제함으로써 절연 파괴강도를 향상하는 등 우수한 에너지 저장 소재를 제조하는 연구가 진행 중이다 [10,14,20-22].
본 연구에서는 Bi, Ni, Ta가 도핑된(1-x)(K0.5Na0.5)NbO3- xBi(Ni2/3Ta1/3)O3 ((1-x)KNN-xBNT)을 세라믹 커패시터 에 너지 저장 소재의 기본 조성으로 선정하였다. Bi2O3는 KNN의 소결 온도보다 녹는점이 낮아서(825°C) 열처리 과 정에서 액상(liquid phase) 형성을 통해 소결 온도를 낮출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결정립의 크기를 줄일 수 있는 것으 로 알려져 있다. 또한 Bi 6p와 O 2p orbital의 하이브리드 과정으로 인해 KNN 세라믹의 최대 분극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으로 보고 되었다[23]. NiO의 Ni은 페로브스카이 트의 B-site 도핑원소로 사용되며, 극성 나노 영역(polar nanoregions(PNRs) 생성을 유도하고 완화형 강유전체 형 성에 도움을 주며, 세라믹의 온도 안정성과 주파수 안정성 을 향상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24]. Ta2O5의 Ta 역시 마찬가지로 B-site 도핑원소로 사용되며, 유전 손실 을 줄여주는 것으로 보고되었다[24]. 따라서 본 연구에서 는 Bi, Ni, 및 Ta 이외에 추가로, KNN에 Zn를 도핑하여 미세구조 변화 및 에너지 저장 물성 변화를 분석하였다. Zn를 도핑하면 (1-x)(K0.5Na0.5)NbO3-xBi(Ni1/3Zn1/3Ta1/3)O3 ((1-x)KNN-xBNZT) 기본 조성인 KNN-BNT 세라믹 대비 결정립 성장이 억제되는 효과를 가져왔으며, 특히, 모든 x 값에서 KNN-BNZT 세라믹이 KNN-BNT 세라믹 대비 향 상된 에너지 저장 밀도 및 에너지 저장 효율을 보였다.
2.1 에너지 저장용 KNN기반 분말 제조
(1-x)(K0.5Na0.5)NbO3-xBi(Ni2/3Ta1/3)O3 ((1-x)KNN-xBNT; x=0.05, 0.1, 0.15)조성의 분말은 일반적인 고상 합성법 (solid-state synthesis)으로 제조되었으며, K2CO3(99.0%, Sigma-Aldrich), Na2CO3(99.0%, Sigma-Aldrich), Nb2O5(99.9%, Sigma-Aldrich), Bi2O3(99.9%, Sigma-Aldrich), NiO(99%, Sigma-Aldrich), Ta2O5(99.0%, Sigma-Aldrich) 원료 분말을 사용하여, 화학량론에 맞게 칭량한 후 지르코니아 볼과 에 탄올(anhydrous, 99.9%)을 24시간 동안 볼 밀링을 해주었 다. 밀링된 원료 분말은 900°C에서 4시간 동안 하소 과정 을 통해 KNN-BNT 분말로 제조되었다. (1-x)(K0.5Na0.5) NbO3-xBi(Ni1/3Zn1/3Ta1/3)O3 ((1-x)KNN-xBNZT; x=0.05, 0.1, 0.15)분말은 위의 KNN-BNT 분말 제조와 동일한 공정을 통해 제조되었으며, 특히 Z n O도핑을 위해 ZnO(99.0%, Sigma-Aldrich)를 화학량론에 맞추어 추가적으로 넣어주 었다(그림 1).
Fig. 1

Schematic diagram of the fabrication process for KNN-based energy storage ceramics.

KPMI-30-6-509_F1.gif
2.2 KNN기반 에너지 저장 소자 개발
제조된 (1-x)KNN-xBNT, (1-x)KNN-xBNZT는 일축 가 압성형으로 직경 10 mm, 두께 1mm의 원형 펠렛을 제작 하였다. 제작된 원형 펠렛은 전기로를 사용하여 열처리를 진행하였으며, 특히, 구성성분들의 휘발을 억제하고 치밀 한 세라믹을 제조하기 위해 2단계 소결법으로 소결을 진 행하였다[25,26]. 먼저 25°C에서 1150°C까지 4°C/분 속도 로 승온하였고, 이 후 1060°C로 로냉을 시켜준 뒤 5시간 유지시간을 거쳐 소결체를 제작하였다.
2.3 KNN기반 에너지 저장 소재 분석 및 성능 측정
제조된 KNN 소재는, XRD(X-ray Diffractometer, EMPYREAN, Panalytical)를 통해 결정구조를 분석하였고, FESEM( Field Emission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SU8230, Hitachi)를 이용하여 시편의 미세구조를 확인하였다. 또한 제작된 원형의 소결체는 두께 0.5 mm로 연마한 뒤, 표면 에 전극(Ag Electrode, HAN tech)을 코팅해준 뒤 700도에 서 3시간 동안 번아웃을 진행하였다. 제작된 샘플은 Aixacct TF2000(aixACCT systems GmbH, Aachen, Germany)를 사 용하여 주파수, 전압, 온도에 따라 최대 분극, 유전 손실, 잔 류 분극을 측정하였다.
3.1 KNN-BNT 및 KNN-BNZT 분말 형상 및 결정구조 분석
그림 2는 각각 (1-x)KNN-xBNT (x=0.05, 0.1, 0.15) 및 (1-x)KNN-xBNZT (x=0.05, 0.1, 0.15) 분말의 SEM 이미지 와 XRD 패턴을 보여준다. x값에 무관하게 분말들은 모두 유사한 원형에 가까운 형태를 지녔고, 입자 크기는 200~ 300 nm 수준으로 확인되었다. 결정구조 분석 결과 KNNBNT 및 KNN-BNZT 분말은 모두 입방정 결정구조를 지 녔으나[27,28], BNT, BNZT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KNN 세라믹에서 BNT, BZNT의 용해도가 제한되면서 30° 부근 에서 Bi(Ni2/3Ta1/3)O3 이차상의 픽이 검출되었다[17,29,30]. 흥미롭게도, 분말 조성에서 Zn가 포함될 경우, 상대적 으로 적은 함량의 이차상이 검출되었는데, 이는 열처리 과 정에서 A-site의 K+ 또는 Na+의 휘발로 인한 손실이 발생 하게 되는데, 이때, Zn2+ 이온이 A-site에 도핑될 수 있으 며, 이는 동일한 +2가인 Ca2+ 및 Ba2+ 역시 KNN 페로브 스카이트의 A-site에 도핑될 수 있음이 보고 되었다[31,32]. 또한, ZnO는 KNN세라믹의 열적 안정성을 향상하는 데 효과적이며, 이러한 거동은 에너지 저장 밀도, 효율뿐 만 아니라, 입자 크기의 미세화, 소결 밀도 향상 등 세라 믹의 미세구조 역시 큰 영향을 준다[33].
Fig. 2

SEM images and XRD diffractograms of the KNN-based powders. (a-d) (1-x)KNN-xBNT ((a) x=0.05, (b) x=0.1, (c) x=0.15, and (d) corresponding XRD patterns) (e-h) (1-x)KNN-xBNZT ((e) x=0.05, (f) x=0.1, (g) x=0.15, and (h) corresponding XRD patterns).

KPMI-30-6-509_F2.gif
3.2 KNN-BNT 및 KNN-BNZT 세라믹 미세구조 및 결정 구조 분석
그림 3의 (a-c)는 (1-x)KNN-xBNT, (e-g)는 (1-x)KNN-xBNZT 세라믹 단면에 대한 SEM 이미지를 보여주며, 모 든 샘플에서 치밀한 미세구조를 관찰할 수 있다. 하지만 (1-x)KNN-xBNT의 경우 x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결정립의 크기가 점점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며, 특히 0.85KNN- 0.15BNT의 경우, 0.95KNN-0.05BNT 대비 결정립의 크기 가 약 190% 증가한 0.42 μm의 크기를 보였다. 이러한 결 정립의 성장은 에너지 저장 특성에 영향을 줄 수 있으며, 이는 뒤의 3.3 세션에서 보다 자세하게 다룰 예정이다. Zn 가 도핑된 (1-x)KNN-xBNZT의 경우 x값의 증가에 따른 결정립의 성장이 KNN-BNT 대비 상대적으로 줄어들었으 며, x=0.15인 0.85KNN-0.15BNZT의 경우 결정립 크기는 평균 0.29 μm로서 0.85KNN-0.15BNT의 평균 결정립 크기 인 0.42 μm 대비 145% 감소하였다(그림 4). 이는 Zn도핑 이 결정립 성장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음을 나타낸다 할 수 있다[34]. XRD 분석 결과(그림 3d, h) 열처리 이후에 분말에서 관찰되었던 이차상이 사라지고 단일상의 KNNBNT 및 KNN-BNZT 세라믹으로 제조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상대적으로 높은 온도에서 추가적인 열처리를 통해 균일상으로 변화되었음을 나타낸다. 한 편, (1-x) KNN-xBNT 및 (1-x)KNN-xBNZT 샘플의 도핑 원소 함량 이 적을수록 (x=0.05) XRD peak의 비대칭 형태가 관찰되 는데, 이는 도핑함량이 적을수록 결정립의 크기가 작고 따 라서, 열처리 과정으로 제조된 세라믹 시편 내부에 결함 (defects) 및 응력(micro-strain)이 상대적으로 도핑 원소 함 량이 많은 소결체 대비 많이 발생했을 가능성이 있기 때 문으로 사료된다[35]. 뿐만 아니라 도핑원소 함량이 적을 수록 소결과정에서 도핑원소에 기인한 액상의 형성이 충 분하지 않아, 원자간 확산이 제한되어 시편 내부에 국부적 으로 조성 불균일도가 높아졌을 가능성 역시 비대칭 형태 의 XRD peak 형성의 원인으로 추측된다[35]. 제조된 KNN-BNT 및 KNN-BNZT 세라믹 모두 단일상의 입방정 결정구조를 지닌 것으로 확인되었다. 표 1은 아르키메데 스 법으로 측정된 세라믹의 밀도를 나타내며 모든 시편이 99% 이상의 높은 상대 밀도를 보였다.
Fig. 3

Cross-sectional SEM images and XRD diffractograms of the sintered KNN-based ceramics. (a-d) (1-x)KNN-xBNT ((a) x=0.05, (b) x=0.1, (c) x=0.15, and (d) corresponding XRD patterns) (e-h) (1-x)KNN-xBNZT ((e) x=0.05, (f) x=0.1, (g) x=0.15, and (h) corresponding XRD patterns).

KPMI-30-6-509_F3.gif
Fig. 4

Size distribution of grains within the KNN-based ceramics. (a-c) (1-x)KNN-xBNT ((a) x=0.05, (b) x=0.1, and (c) x=0.15) (d-f) (1-x)KNN-xBNZT ((d) x=0.05, (e) x=0.1, and (f) x=0.15).

KPMI-30-6-509_F4.gif
Table 1

Relative density of (1-x)KNN-xBNT, (1-x)KNN-xBNZT ceramics

x of (1-x)KNN-xBNT Relative density (%) x of (1-x)KNN-xBNZT Relative density (%)

0.05 99.1 0.05 99.3
0.1 99.7 0.1 99.8
0.15 99.4 0.15 99.7
3.3 KNN-BNT 및 KNN-BNZT 세라믹 에너지 저장 물성 평가
그림 5(a), (b)는 각각 (1-x)KNN-xBNT, (1-x)KNNxBNZT 세라믹의 상온에서 측정된 P-E 이력곡선을 나타 낸다. 두 종류의 세라믹 모두 x값이 증가함에 따라 최대 분극 및 잔류 분극 값이 감소하였으며, 특히 x값이 증가할 수록 이력현상(hysteresis)이 줄어들며, 완화형 강유전체 (Relaxor Ferroelectric) 거동을 보여주었다. 그림 5(c)는 제조된 세라믹의 Pmax, Pr, Pmax-Pr로 x=0.05인 0.95KNN- 0.05BNT 및 0.95KNN-0.05BNZT 두 세라믹의 경우 비교 적 큰 Pmax(12.06 μC/cm2, 10.05 μC/cm2)값을 지녔으나, 잔 류 분극인 Pr(1.76 μC/cm2 , 1.69 μC/cm2) 역시 큰 값을 나 타내어 결과적으로 작은 Pmax-Pr값을 보였다. x=0.15인 0.85KNN-0.15BNT 및 0.85KNN-0.15BNZT 세라믹은 Pmax 는 각각 5.26 μC/cm2, 5.95 μC/cm2을 잔류 분극 Pr은 (0.19 μC/cm2 , 0.06 μC/cm2) 값을 나타냈으며, 특히 잔류 분극 값 이 작아서 얇은 P-E 이력곡선이 나타나지만, Pmax 또한 작 은 값을 나타내어 결과적으로 작은 Pmax-Pr을 보였다. 두 세라믹의 중간 조성인 0.9KNN-0.1BNT 및 0.9KNN- 0.1BNZT 세라믹은 비교적 큰 Pmax(8.69 μC/cm2, 9.31 μC/ cm2)와 작은 Pr(0.34 μC/cm2 , 0.29 μC/cm2)로 얇은 완화 형 이력곡선(Relaxor ferroelectric hysteresis)이 그려지고 Pmax-Pr도 비교적 큰 값을 보였다. 이러한 P-E 이력곡선을 바탕으로 에너지 저장 밀도(Wtot), 출력 가능한 에너지 (Wrec) 및 에너지 저장 효율(ƞ)을 계산하여 그림 5(d)에 나타냈다. 예상했듯이, x=0.05인 0.95KNN-0.05BNT 및 0.95KNN-0.05BNZT 두 세라믹 모두 큰 PmaxPr로 인해 낮은 에너지 저장 밀도 및 에너지 저장 효율을 보였다. 0.9KNN-0.1BNT 및 0.9KNN-0.1BNZT 세라믹의 경우 계 산된 에너지 저장 밀도는 각각 Wrec=0.228 J/cm3, 0.243 J/ cm3를 나타냈으며, 뿐만 아니라 94%, 96%의 높은 수준의 에너지 저장 효율을 나타냈다. 결과에서 알 수 있듯이, Zn 가 도핑된 KNN-BNZT 세라믹의 경우, 모든 x값에서 KNN-BNT 세라믹 대비 에너지 저장 밀도 및 에너지 저장 효율이 우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에너지 저장 밀도는 미 세구조에 큰 영향을 받는데, Zn의 도핑 효과로, 결정립의 성장이 억제되고, 높은 소결 밀도 및 이로 인한 얇은 완화 형 강유전체 P-E 이력곡선을 형성하게 되어 결과적으로, KNN-BNT 대비 높은 에너지 저장 밀도 및 에너지 저장 변환 효율을 나타낼 수 있었다. 더 나아가, 0.9KNN- 0.1BNZT 시편의 온도 및 주파수 변화에 따라 에너지 저 장 특성의 안정성을 확인하고자 추가 분석을 진행하였다 (그림 5 (e), (f)). 그림 5(e)는 0.9KNN-0.1BNZT 세라믹 의 온도 의존적 P-E 이력곡선을 보여주는데 상온인 25°C 에서 고온인 125°C까지 온도 변화를 주었을 때 이력곡선 의 변화 없이 얇은 곡선이 유지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 다. 이는 0.9KNN-0.1BNZT 세라믹이 우수한 온도 안정성 을 가지고 있음을 의미한다. 그림 5(f)는 주파수에 따 른 에너지 저장 밀도의 변화를 확인하기 위해 1 Hz 부터 100 Hz까지 진행하였다. 주파수가 변하더라도 이력곡선이 안정적으로 유지되는 것을 확인하였고, 이는 주파수의 안 정성을 가지고 있음을 나타낸다.
Fig. 5

(a, b) Bipolar hysteresis loops measured at 100 Hz under 57 kV/cm, (c) variation of Pmax, Pr, and Pmax-Pr values, and (d) corresponding recoverable energy density (Wrec) and efficiency (ƞ) of the (1-x)KNN-xBNT and (1-x)KNN-xBNZT (x=0.05, 0.1, and 0.15). (e) Temperature dependence of unipolar hysteresis loops measured at 100 Hz under 57 kV/cm and (f) frequency dependence of unipolar hysteresis loops measured at 25°C under 57 kV/cm for 0.9KNN-0.1BNZT ceramic.

KPMI-30-6-509_F5.gif
에너지 저장 소재로 활용성을 지닌 KNN-BNT 조성 소 재와 Zn가 도핑된 KNN-BNZT 조성 소재를 제조하였고, 결정구조 및 미세구조를 분석하였으며, 에너지 저장 물성 을 평가하였다. 결과적으로 Zn의 도핑을 통해 결정립 성 장이 억제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고, 에너지 저장 밀도 및 에너지 저장 효율 모두 향상되는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 다. 특히, 0.9KNN-0.1BNZT 세라믹의 경우 완화형 이력곡 선을 나타내었으며, 에너지 저장 밀도 0.24 J/cm3 , 효율 96%의 우수한 성능을 보였다. Zn도핑을 통한 미세구조 제 어 및 물성 향상 결과를 기반으로 본 연구 내용은 다양한 조성의 비납계 KNN 페로브스카이트 세라믹 커패시터 개 발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Acknowledgements
This work was supported by the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NRF) grant funded by the Ministry of Science and ICT (2021R1A5A8033165 and RS-2023- 00241159).
  • 1. W. Wang, Y. Pu, X. Guo, Tao. Ouyang, Y. Shi, M. Yang, J. Li, R. Shi and G. Liu: Ceram. Int., 45 (2019) 14684. Article
  • 2. M. Zhang, H. Yang, D. Li, L. Ma and Y. Lin: J. Mater. Chem. C, 8 (2020) 8777. Article
  • 3. Q. Jin, L. Zhao, X. Zhang, R. Zhang and B. Cui: Ceram. Int., 47 (2021) 20617. Article
  • 4. L. Zhang, Y. Pu, M. Chen, X. Peng, B. Wang and J. Shang: J. Eur. Ceram. Soc., 43 (2023) 5713. Article
  • 5. H. Qi, A. Xie and R. Zuo, Energy Stor. Mater., 45 (2022) 541. Article
  • 6. C. Li, J. Liu, W. Bai, S. Wu, P. Zheng, J. Zhang, Z. Pan and J. Zhai: J. Mater. Chem. A, 10 (2022) 9535. Article
  • 7. J. Lin, G. Ge, K. Zhu, H. Bai, B. Sa, F. Yan, G. Li, C. Shi, J. Zhai, X. Wu and Q. Zhang: Chem. Eng. J., 444 (2022) 136538. Article
  • 8. H. Zhang, Z. Zhu, Z. Yao, H. Hao, L. Wang, M. Cao and H. Liu: Crystals, 13 (2023) 84. Article
  • 9. G. Wang, Z. Lu, Y. Li, L. Li, H. Ji, A. Feteira, D. Zhou, D. Wang, S. Zhang and I. M Reaney: Chem. Rev., 121 (2021) 6124. ArticlePubMedPMC
  • 10. Z. Li, Z. Wang, Q. Yang, D. Zhang, M. Fang, Z. Li, B. Gao, J. Zhang, N. Lei, L. Zheng, Z. Wang, X. Yan, D. Wang, C. Long and Y. Niu: Ceram. Int., 49 (2023) 9615. Article
  • 11. L. Tan, X. Wang, W. Zhu, A. Li and Y. Wang: J. Alloy. Compd., 874 (2021) 159770. Article
  • 12. M. Waqar, H. Wu, J. Chen, K. Yao and J. Wang: Adv. Mater., 34 (2022) 2106845. ArticlePubMed
  • 13. Q. Chai, F. Zhang, Q. Zhou, Z. Peng, D. Wu, P. Liang, L. Wei, X. Chao and Z. Yang: Small, 19 (2023) 2207464. ArticlePubMed
  • 14. Z. Dai, F. Zhang, M. N. Rafiq, C. Liu, X. Wang, S. Gu and S. Yasui: ACS Omega, 8 (2023) 7883. ArticlePubMedPMC
  • 15. R. Hu, Y. Lin, M. Zhang, Q. Yuan and H. Yang: Mater. Today Energy, 30 (2022) 101185. Article
  • 16. E. Im, S. Park, G.-T. Hwang, D. C. Hyun, Y. Min and G. D. Moon:
  • 17. L. Wu, Y. Huan, X. Wang, C. Li, Y. Luo and T. Wei: J. Mater. Sci., 57 (2022) 15876. Article
  • 18. J. Y. Park, T. A. Duong, S. S. Lee, C. W. Ahn, B. W. Kim, H.-S. Han and J.-S. Lee: J. Korean Inst. Electr. Electron. Mater. Eng., 36 (2023) 513.
  • 19. Y.-J. Kim, G.-Y. Lee, I.-G. Lee, I.-P. Hong and J.-H. Kim: J. Korean Inst. Electr. Electron. Mater. Eng., 35 (2022) 610.
  • 20. M. Zhang, H. Yang, Y. Yu and Y. Lin: Chem. Eng. J., 421 (2021) 131465. Article
  • 21. A. Chen, T. Gao, R. Lang, Z. Tan, J. Xing and J. Zhu: J. Eur. Ceram. Soc., 43 (2023) 2442. Article
  • 22. L. Chen, S. Deng, H. Liu, J. Wu, H. Qi and J. Chen: Nature Commun., 13 (2022) 3089. ArticlePubMedPMC
  • 23. Y. L i, Y. Zhe n, W. Wang, Z. F ang, Z. Jia, J. Zhang, G. Zhong, J. Wu, Y. Yan, Q. Xue and F. Zhu: J. Eur. Ceram. Soc., 40 (2020) 2357. Article
  • 24. F. Pang, X. Chen, C. Sun, J. Shi, X. Li, H. Chen, X. Dong and H. Zhou: ACS Sustainable Chem. Eng., 8 (2020) 14985. Article
  • 25. N. J. Lóh, L. Simão, C. A. Faller, A. De Noni Jr and O. R. K. Montedo: Ceram. Int., 42 (2016) 12556. Article
  • 26. Y. Pan, J. Feng, L. Huang, Z. Xu and Y. Chen: Mater. Today Commun., 34 (2023) 105340. Article
  • 27. X. Qia, X. Zhang, D. Wu, X. Chao and Z. Yang: J. Adv. Dielectr., 8 (2018) 1830006. Article
  • 28. Q. Chai, X. Zhao, X. Chao and Z. Yang: RSC Adv., 7 (2017) 28428. Article
  • 29. J. Zhao, M. Cao, Z. Wang, Q. Xu, L. Zhang, Z. Yao, H. Hao and H. Liu: J. Mater. Sci.-Mater. El., 27 (2016) 466. Article
  • 30. S. Halder, S. Bhuyan and R. N. P. Choudhary: Eng. Sci. Technol. Int. J., 22 (2019) 376. Article
  • 31. J. Taub, L . Ramajo a nd M . S. C astro: C e ram. I nt., 39 (2013) 3555. Article
  • 32. L. Ramajo, J. Taub and M. S. Castro: Mater. Res., 17 (2014) 728. Article
  • 33. Y. Zhao, M. Jiang, L. Li, T. Wang, P. Ren and G. Rao: J. Mater. Sci.-Mater. El., 34 (2023) 689. Article
  • 34. Y. Huan, T. Wei, X. Wang, X. Liu, P. Zhao and X. Wang: Chem. Eng. J., 425 (2021) 129506. Article
  • 35. G. F. Harrington and J. Santiso: J. Electroceram., 47 (2021) 141.Article

Figure & Data

References

    Citations

    Citations to this article as recorded by  

      • PubReader PubReader
      • ePub LinkePub Link
      • Cite this Article
        Cite this Article
        export Copy Download
        Close
        Download Citation
        Download a citation file in RIS format that can be imported by all major citation management software, including EndNote, ProCite, RefWorks, and Reference Manager.

        Format:
        • RIS — For EndNote, ProCite, RefWorks, and most other reference management software
        • BibTeX — For JabRef, BibDesk, and other BibTeX-specific software
        Include:
        • Citation for the content below
        Modulation of Microstructure and Energy Storage Performance in (K,Na)NbO3-Bi(Ni,Ta)O3 Ceramics through Zn Doping
        J Powder Mater. 2023;30(6):509-515.   Published online December 1, 2023
        Close
      • XML DownloadXML Download
      Figure
      Related articles

      Journal of Powder Materials : Journal of Powder Material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