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arning: mkdir(): Permission denied in /home/virtual/lib/view_data.php on line 81

Warning: fopen(upload/ip_log/ip_log_2024-05.txt): failed to open stream: No such file or directory in /home/virtual/lib/view_data.php on line 83

Warning: fwrite() expects parameter 1 to be resource, boolean given in /home/virtual/lib/view_data.php on line 84
Prepar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N-doped Na2Ti6O13@TiO2 Composites for Visible Light Activity
Skip Navigation
Skip to contents

Journal of Powder Materials : Journal of Powder Materials

OPEN ACCESS
SEARCH
Search

Articles

Page Path
HOME > J Powder Mater > Volume 29(6); 2022 > Article
Article
가시광 활성을 위한 N-doped Na2Ti6O13@TiO2 복합체 제조 및 특성 연구
이덕희, 박경수*
Prepar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N-doped Na2Ti6O13@TiO2 Composites for Visible Light Activity
Duk-Hee Lee, Kyung-Soo Park*
Journal of Korean Powder Metallurgy Institute 2022;29(6):492-498.
DOI: https://doi.org/10.4150/KPMI.2022.29.6.492
Published online: November 30, 2022

고등기술연구원 융합소재연구센터

Materials Science & Chemical Engineering Center, Institute for Advanced Engineering, Gyeonggi-do 449-863, Republic of Korea

* Corresponding Author: Kyung-Soo Park, TEL: +82-31-330-7422, FAX: +82-31-330-7116, E-mail: kspark@iae.re.kr
- 이덕희: 선임연구원, 박경수: 수석연구원
• Received: December 14, 2022   • Revised: December 24, 2022   • Accepted: December 24, 2022

© The Korean Powder Metallurgy Institute. All rights reserved.

  • 41 Views
  • 3 Download
  • N-doped Na2Ti6O13@TiO2 (denoted as N-NTO@TiO2) composites are successfully synthesized using a simple two-step process: 1) ball-milling of TiO2 with Na2CO3 followed by heat treatment at 900°C; 2) mixing of the prepared Na2Ti6O13 with titanium isopropoxide and calcining with urea at 500°C. The prepared composites are characterized using XRD, SEM, TEM, FTIR, and BET. The N-NTO@TiO2 composites exhibit well-defined crystalline and anatase TiO2 with exposed {101} facets on the external surface. Moreover, dopant N atoms are uniformly distributed over a relatively large area in the lattice of the composites. Under visible light irradiation, ~51% of the aqueous methylene blue is photodegraded by N-NTO@TiO2 composites, which is higher than the values shown by other samples because of the coupling effects of the hybridization of NTO and TiO2, N-doping, and presence of anatase TiO2 with exposed {101} facets.
지난 수 십년동안, 반도체 기반 광촉매는 환경 개선 및 청정 에너지 생산 분야에서 상당한 관심을 받아왔으며, 최 근 수소, 태양 에너지, 환경 오염 문제 분야까지 점점 더 응용분야가 확대되고 있다[1-3]. 현재까지 TiO2를 포함한 다양한 반도체 광촉매들이 소개되면서 활발하게 연구되고 있지만[4, 5], 가시광 영역에서의 좁은 광반응 범위(넓은 밴드갭으로 인해 UV 영역에서만 반응) 및 광여기된 전하 운반체(charge carrier)의 높은 재결합률(recombination)로 인해 광촉매 효율이 감소되는 문제가 지속적으로 대두되 었다. 이러한 문제는 결과적으로 실제 응용을 방해하는 중 요한 문제로 작용하기 때문에 광여기된 전자-홀 쌍(pair)의 재결합을 억제하고 가시광 영역에서의 촉매 성능을 향상 시키기 위한 전략이 필요하게 되었다[6-8].
알칼리 금속 티타네이트(A2TinO2n+1, A = Li, Na, K, n = 3~8)는 화학양론에 따라 층상(n = 2~4) 및 터널(n = 6~8) 구조로 크게 나뉘는데[5], 특히, 터널 구조를 가지는 Na2Ti6O13는 모서리(corner)와 가장자리(edge)가 연결된 TiO6 팔면체의 3차면 배열로 구성되어 있고 이러한 구조 내부에 Na 이온이 trap되어 안정할 뿐만 아니라 물리화학 적 물성 때문에 광촉매[9, 10], 이차전지[11, 12], 가스 센 싱[13], 항균제[14] 등의 분야에 적용되고 있다. 또한, 이 러한 구조는 active site 활성 및 표면에 흡착된 반응물을 전달하는데도 적합하지만 큰 밴드갭으로 인해 UV영역에 서만 활성화되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그에 따라 UV영역 보다 훨씬 넓은 가시광 영역의 빛에 반응할 수 있는 Na2Ti6O13를 설계하는 것이 중요하다[9, 15].
현재까지 촉매 활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비금속 도핑, 형상 제어, 하이브리드화(hybridization) 등의 전략들이 많 이 활용되고 있다[16, 17]. 비금속 도핑의 경우, 가전도대 (valence band) 위에 도핑 에너지 레벨이 생성되고 밴드 갭이 감소되면서 가시광 영역에서의 촉매를 활성화시키 는 가장 대표적인 방법으로, 붕소, 질소, 황, 탄소 등이 보 고되었다[18]. 또한 이종 반도체의 하이브리드화는 광여 기된 전자-홀 쌍(pair)의 재결합 확률을 감소시키고 전하 를 운반하는 수명이 증가하여 활성이 향상되는 방법이 입 증되면서 유망한 해결 전략으로 많은 연구가 되고 있다 [19, 20]. 더욱이, TiO2(anatase)의 경우, 전자-홀 쌍(pair) 의 분리 효율을 높이기 위해 특정 결정면을 노출하도록 설계하는 연구들이 진행되었다[21, 22]. TiO2(anatase)의 (101)면은 (001)면보다 환원성이 더욱 있는 것으로 보고 되었으며 이는 표면 반응성 향상을 유도해 전자-홀 쌍 (pair)의 재결합을 감소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 져 있다[9]. 따라서, 비금속 도핑 및 하이브리드화 등을 통해 효율적인 가시광 광촉매의 설계가 가능할 것으로 예상된다.
본 연구에서는 간단한 2-step 공정을 통해 N-doped Na2Ti6O13@TiO2(N-NTO@TiO2)를 제조하였으며, NTO@ TiO2, NTO도 같이 제조해 특성을 비교하였다. 제조된 NNTO@ TiO2 복합체의 물성은 다양한 특성 분석 장비를 통 해 확인하였고, 광촉매 활성을 평가하기 위해 가시광 빛이 조사되는 환경에서 메틸렌블루(Methylene Blue, MB) 염 료의 광분해 성능에 대해 고찰하였다.
2.1 원료
본 연구에서는 N-NTO@TiO2 복합체를 제조하기 위해 anatase TiO2(99.8 %, S igma A ldrich), S odium c arbonate (Na2CO3, 99%, 대정화학), Titanium isopropoxide(TTIP, Ti (OCH(CH3)2)4, 97%, Sigma Aldrich), urea(CH4N2O, 대정 화학)를 별도의 정제 공정 없이 원료로 사용하였다.
2.2 N-NTO@TiO2 복합체 분말 제조
N-NTO@TiO2 복합체를 제조하기 위해 먼저 1 L의 원통 형 용기에 TiO2와 Na2CO3를 6:1(mol ratio) 비율로 채우고 지르코니아볼을 채워 300 rpm의 속도로 24시간 동안 볼밀 공정을 진행하였으며, 볼밀 처리가 끝난 후 분말과 볼을 분리하고 혼합 분말을 회수하였다. 혼합 분말은 알루미나 도가니에 넣고 900°C(승온속도: 5°C/min)에서 1시간 동안 열처리하여 NTO 분말을 제조하였다. NTO@TiO2을 제조 하기 위해 준비된 NTO 분말 1 g 및 TTIP 0.5 g을 50mL 의 에탄올에 넣고 6시간 동안 교반하여 균일하게 혼합하 였으며, 생성된 혼합액은 60°C 가열을 통해 에탄올을 증 발시켰다. 회수된 NTO@TiO2(0.2 g)는 urea(0.1 g)와 혼합 한 후 500°C의 온도에서 10시간 동안 열처리하여 최종 NNTO@ TiO2 복합체를 제조하였다.
2.3 특성 분석
제조된 샘플들의 결정 분석 및 상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X선 회절 분석(XRD, XRD-6100F, Shimadzu)을 이용하였 으며 미세구조 및 성분 분석은 전계방출 주사전자현미경 (FESEM, MIRA3, Tescan)과 고분해능 투과전자현미경 (TEM, JEM-2100F, JEOL)을 사용해 분석하였다.
또한, 합성 분말의 비표면적을 측정하기 위해 BET (Micromeritics TriStar II 3020, Protech) 분석을 시행하였 고, 추가적인 표면 상태를 파악하기 위해 X선 광전자 분 광기(XPS, ESCALAB 250, Thermo Scientific) 및 Fourier 변환 적외선 분광기(FTIR, Nicoletis50, Thermo Scientific) 를 이용하였다.
2.4 광촉매 활성 평가
제조된 N-NTO@TiO2 복합체의 광촉매 활성을 평가하 기 위해 타겟 분해 물질로 MB를 사용해 가시광 조사 하 에서 광촉매 활성 테스트를 진행하였다. 모든 광촉매 활성 실험은 빛이 차단된 공간에서 수행되었다. 평가를 위해 0.05 g의 합성 촉매를 100mL의 MB 수용액(1 × 10-5 M 농 도)에 넣고 빛이 차단된 곳에서 지속적인 교반으로 충분 한 분산이 이루어지도록 하였다. 교반이 끝난 후, 300 W 의 제논 램프(XP500VA, DY Tech Co., Korea)에 long-pass filter(>420 nm)를 장착해 UV파장은 차단하고 가시광의 일 정한 빛을 현탁액에 조사하였다. 이후, 4 mL의 현탁액을 매 10분마다 채취하고 원심 분리로 촉매를 분리하였으며, MB 수용액의 분해 정도를 파악하기 위해 UV-Vis 분광기 (UV-Vis, JASCO, V-730)로 분석하였다. MB의 농도는 663 nm에서 흡수 피크의 강도로 결정되었고 분해 효율은 다음의 식으로 계산되었다(C0: 초기 MB 수용액의 농도, C: 빛 조사 후의 MB 수용액 농도).
%Degradation=C0CC0×100
Fig. 1은 N-NTO@TiO2, NTO@TiO2, NTO, TiO2의 결정 구조를 파악하기 위해 XRD 분석을 진행한 결과로 합성된 NTO의 경우, Na2Ti6O13(JCPDS card. 73-1398) 단일상이 형성되었으며 추가적인 2차상은 검출되지 않았다. TTIP 와의 혼합 및 urea를 이용한 후열처리를 통해 제조된 NTO@TiO2, N-NTO@TiO2의 XRD 패턴에서는 Na2Ti6O13 와 TiO2가 검출되었고, 결정성이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 으며 추가적인 불순물 피크도 관찰되지 않았다. NTO 제 조 시 900°C의 고온 열처리를 통해 Na2Ti3O7 상 보다 상 대적으로 안정한 구조인 Na2Ti6O13 상으로 합성 가능하였 으며, rutile이 아닌 anatase의 결정 구조로 합성하기 위해 600°C 이하에서 열처리하여 상전이가 일어나지 않도록 한 것은 적절한 것으로 판단된다[19]. 20~28° 구간에서의 XRD 그래프를 통해 N-NTO@TiO2, NTO@TiO2에서 형성 된 TiO2(Anatase, JCPDS card. 21-1272)를 확인할 수 있었 다. NTO@TiO2와 비교해 N-NTO@TiO2에서는 25° 부근에 서 높은 강도의 (101) 피크가 검출되었는데 이는 첨가된 urea가 결정성 향상에 영향을 미쳤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 된다[23].
Fig. 1

XRD patterns of N-NTO@TiO2, NTO@TiO2, NTO, anatase TiO2.

KPMI-29-6-492_F1.gif
Fig. 2는 제조된 N-NTO@TiO2 복합체의 미세구조 및 성 분을 분석하기 위한 FESEM 및 TEM 분석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Fig. 2a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조된 N-NTO@TiO2 는 수백 nm ~수 μm 크기의 불규칙한 형상을 이루는 입 자 표면에 수십 nm 크기의 입자들이 조밀하게 혼재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Fig. 2b의 TEM 이미지 분석 결과, 짧은 rod-type 입자들 뿐만 아니라 불규칙한 형상의 입자들이 같이 관찰되며, 이는 FESEM 결과와 일치하였다. Fig. 2c의 HRTEM 분석을 통해 측정된 면간 거리는 각각 0.73 nm, 0.35 nm로 Na2Ti6O13의 (200)면과, anatase의 (101) 면과 각각 일치해 XRD 분석결과와 동일하였다. 본 결과 를 통해, 수 μm 크기의 입자는 NTO 입자이며, 표면에 존 재하는 수 nm 크기의 입자는 TiO2 입자인 것을 보여준다. 또한, Fig. 2d와 같이 EDS-mapping 분석을 통해 Na, Ti, O 원소뿐만 아니라 질소(N)도 N-NTO@TiO2 입자에 균일 하게 분포되어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Fig. 2

(a) FESEM image, (b) TEM image, (c) HRTEM image, (d) EDS-mapping of N-NTO@TiO2.

KPMI-29-6-492_F2.gif
제조된 N-NTO@TiO2 복합체의 화학적 결합 상태를 파 악하기 위해 XPS 분석을 진행하였으며 그 결과를 Fig. 3 에 나타내었다. XPS 스펙트럼의 결합에너지(binding energy) 는 C 1s 피크 위치(284.6 eV)에 따라 보정하였다. Fig. 3a 의 XPS survey spectra로부터 제조된 N-NTO@TiO2가 Na, Ti, O, N으로 구성되어 있음을 확인 할 수 있었다. Fig. 3b 에서 보는 바와 같이 Ti 2p 피크의 4 58 eV 및 463 eV에 서 나타나는 피크는 각각 Ti 2p3/2와 Ti 2p1/2로 관찰되었으 며, 이는 기존에 보고된 문헌 결과와 같이 결정 내부에 Ti4+가 존재하는 것을 의미한다[4, 24]. 530 eV에서 관찰된 O 1s 피크는 제조된 N-NTO@TiO2 복합체의 격자에 존재 하는 산소로부터 검출된 결과이며(Fig. 3c), Fig. 4d와 같 이 약한 강도의 N 1s 피크가 ~400 eV 부근에서 관찰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다양한 표면의 산소 사이트 에 결합된 Ti-O-N…Ti 및 Ti-N-O…Ti 같은 산화된 상태로 존재하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25].
Fig. 3

XPS spectra of representative N-NTO@TiO2 (a) survey, (b) Ti2p, (c) O1s, (d) N1s.

KPMI-29-6-492_F3.gif
Fig. 4

(a) N2 absorption-desorption isotherms and (b) FTIR spectrum of N-NTO@TiO2.

KPMI-29-6-492_F4.gif
N-NTO@TiO2 복합체의 비표면적을 파악하기 위해 질소 흡/탈착법 및 추가적인 표면 물성을 파악하기 위해 FTIR 분석을 진행하였으며 Fig 4에 나타내었다. Fig. 4a에서 보 는 바와 같이, 제조된 N-NTO@TiO2 복합체의 질소 흡/탈 착 등온선은 IUPAC(International Union of Pure and Applied Chemistry) 분류에 따르면 전형적인 II형 등온선인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기공의 크기 및 II형 등온선을 고려하 면 N-NTO@TiO2 복합체는 비다공성 구조를 가지는 것으로 판단된다. 질소 흡/탈착법을 이용해 계산된 BET(Brunauer- Emmett-Teller) 비표면적은 11m2g-1으로 계산되었다.
Fig. 4b는 N-NTO@TiO2 복합체의 FTIR 스펙트럼 분석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일반적으로 티탄산나트륨은 구조에 따라 500~1000 cm-1 영역에서 서로 다른 Ti-O stretching 및 bending vibration를 가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973 cm-1 에서 나타나는 피크는 Ti-OH 결합의 bending vibrations에 기인한 것으로 알려져 있고, 1352 cm-1에서 나타나는 약한 피크는 Na-O 결합으로 인해 나타나는 피크이며, 질소 도 핑에 따른 촉매의 vibration 변화는 나타나지 않았다[26].
N-NTO@TiO2 복합체 및 비교 샘플들(NTO@TiO2, NTO, anatase TiO2)의 광촉매 활성을 평가하기 위해 가시광선 하에서 MB 타겟 물질의 광분해 테스트를 진행하였다. Fig. 5a는 상온에서 빛을 조사하고 매 10분마다 샘플을 회 수해 흡광도를 측정한 결과로, 약 663 nm 부근에서 관찰 되는 흡수 피크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점차 감소되는 것 을 확인할 수 있으며, 피크의 이동(shift)은 나타나지 않았 다. Fig. 5b는 반응 시간에 따라 제조된 N-NTO@TiO2 복 합체 및 비교 샘플들의 광분해 특성 결과를 나타낸 것으 로, 60분이 지난 후 N-NTO@TiO2 복합체는 MB 수용액을 ~51% 분해하여 NTO@TiO2(~37%), NTO(~23%), anatase TiO2(~28%) 보다 향상된 광활성 특성을 나타내었다. NTO 및 anatase TiO2는 기존에 알려진 바와 같이 큰 밴드갭으 로 인해 가시광 영역에서 낮은 활성을 나타내었다(Eg (NTO): 3.53 eV, Eg(TiO2): 3.20 eV)[19]. NTO 및 anatase TiO2가 단독으로 존재하는 경우보다 복합체로 존재할 때 향상된 성능을 보여주는 이유는 NTO 및 TiO2의 coupling 효과가 광생성 전자-홀 쌍(pair)을 효과적으로 분리되도록 하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19]. N-NTO@TiO2 복합체의 경우, 추가적인 질소 도핑으로 인해 에너지 레벨의 구조가 조정되면서 많은 전자가 가시광선 하에서 여기되어 광촉 매 성능이 더욱이 향상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19]. 또한, (101)면이 노출된 anatase TiO2는 빛에 의해 생성된 전자의 저장 공간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O2에서 O2∙-로 환 원을 위한 반응성 높은 표면을 생성하고 전하 분리가 촉 진되어 전자-홀 쌍(pair)의 재결합 속도가 낮아져 광촉매 활성이 향상되었다[27]. N-NTO@TiO2 복합체의 광분해 과정은 다음과 같다.
NNTO@TiO2+hνe+h+e+O2O2·H++O2·HO2·HO2·+H++eH2O2H2O2+e·OH+OHh++H2O·OH+h+
Fig. 5

(a) UV-vis spectra, (b) visible light photocatalytic degradation curve of MB aqueous solution and (c) The linear fitting of photocatalytic activity in (b).

KPMI-29-6-492_F5.gif
MBaqueoussolution+·OHphotodegradedproduct
N-NTO@TiO2 복합체에 가시광의 빛이 조사되면 가전 도대(Valence band)의 전자가 전도대(Conduction band)로 여기되면서 홀이 생성되고 전자-홀 pair가 나타난다. 광여 기된 전자는 표면에 흡착된 O2와 반응해 슈퍼옥사이드 라 디칼(O2·)을 생성하고, O2·은 H+와 추가로 반응해 하이드 록실 라디칼(HO2·)을 형성한다. 또한, 광 생성된 홀은 H2O 분자와 반응해 ·OH 라디칼로 분해되어 MB 분해를 담당하게 된다[28].
Fig. 5c는 다음의 1차 속도 반응식(first-order rate equation) 에 따라 계산된 광분해율 결과를 나타낸 것으로 k는 광분해율 상수(min-1), C0는 초기 농도, C는 일정 시간 동 안 빛이 조사된 이후의 MB 농도를 의미한다.
ln(C/C0)=ktN-NTO@TiO2,NTO@TiO2,NTO,anataseTiO2의 속도
N-NTO@TiO2, NTO@TiO2, NTO, anatase TiO2의 속도 상수는 각각 0.0118, 0.0075, 0.0043, 0.0052 min-1으로 계 산되었으며, N-NTO@TiO2의 속도 상수가 NTO보다 약 2.7배 높은 결과로 분석되었다. 제조된 N-NTO@TiO2 복합 체는 NTO 및 TiO2의 coupling 효과와 질소 도핑으로 가 시광 영역에서의 광응답성이 향상되는 시너지 효과로 인 해 반응물과의 충분한 접촉이 일어나고 가시광선 흡수를 향상시켜 가장 높은 광촉매 효율을 나타낸 것으로 판단된 다[29].
본 연구에서는 TiO2 및 Na2CO3 전구체로부터 간단한 2- step 공정을 통해 N-NTO@TiO2 복합체를 제조하였다. 수 백 nm ~ 수 μm 크기의 NTO 표면에 형성된 수십 nm의 TiO2 입자들로 구성되어 있고 NTO 표면에 (101)면이 노 출된 anatase TiO2가 형성된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표면 에 추가적으로 도입된 질소도 비교적 넓은 범위에 분포하 고 있었다. 제조된 N-NTO@TiO2 복합체는 가시광 조사 하에서 다른 비교군에 비해 가장 우수한 결과를 나타내었 고, 다음과 같은 이유로 우수한 광촉매 성능을 나타낸 것 으로 판단된다. 1) NTO 및 TiO2의 coupling 효과는 광생 성 전자-홀 pair의 효과적인 분리에 영향을 주어 재조합율 을 감소시키는 역할을 하였다. 2) 도핑된 질소로 인해 에 너지 레벨의 구조가 조정되면서 가시광선 하에서의 광응 답성이 확대되어 촉매 성능이 향상되었다. 3) (101)면이 노출된 anatase TiO2가 O2에서 O2· 로 환원을 위한 반응성 높은 표면을 생성시키는 데 영향을 주어 전하 분리가 촉 진되고 광촉매 활성이 향상되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를 통해 추가적인 우수한 성능의 가시광 광촉매 제조 및 신 공정 개발 등의 다양한 후속 연구에 활용할 수 있을 것으 로 사료된다.
Acknowledgements
본 논문은 산업통상자원부 월드클래스 300 R&D 프로 젝트 기술개발사업의 지원으로 수행되었으며 이에 감사드 립니다(P0012996).
  • 1. H. Li, Y. Zhou, W. Tu, J. Ye and Z. Zou: Adv. Funct. Mater., 25 (2015) 998. Article
  • 2. Y. L. Liu, C. L. Yang, M. S. Wang, X. G. Ma and Y. G. Yi: Mater. Res. Bull., 107 (2018) 125. Article
  • 3. X. Wang, Z. Zhang, Z. Huang, P. Dong, X. Nie, Z. Jin and X. Zhang: Mater. Res. Bull., 118 (2019) 110502. Article
  • 4. D. H. Lee, B. Swain, D. Shin, N. K. Ahn, J. R. Park and K. S. Park: Mater. Res. Bull., 109 (2019) 227. Article
  • 5. Y. C. Chang, J. C. Lin and S. H. Wu: J. Alloys Compd., 749 (2018) 955. Article
  • 6. C. Foo, Y. Li, K. Lebedev, T. Chen, S. Day, C. Tang and S. C. E. Tsang: Nat. Commun., 12 (2021) 661. ArticlePubMedPMC
  • 7. S. Livraghi, M. C. Paganini, E. Giamello, A. Selloni, C. D. Valentin and G. Pacchioni: J. Am. Chem. Soc., 128 (2006) 15666. ArticlePubMed
  • 8. J. Wang, D. N. Tafen, J. P. Lewis, Z. Hong, A. Manivannan, M. Zhi, M. Li and N. Wu: J. Am. Chem. Soc., 131 (2009) 12290. ArticlePubMed
  • 9. C. Liu, T. Sun, L. Wu, J. Liang, Q. Huang, J. Chen and W. Hou: Appl. Catal. B: Environ., 170-171 (2015) 17. Article
  • 10. L. I. Rodriguez, A. M. H. Flores and L. M. T. Martinez: Mater. Res. Bull., 122 (2020) 110679. Article
  • 11. J. Wang, J. Bi, W. Wang, Z. Xing, Y. Bai, M. Leng and X. Gao: J. Electrochem. Soc., 167 (2020) 090539. Article
  • 12. J. Y. Liao, T. W. Smith, R. R. Pandey, X. He, C. C. Chusuei and Y. Xing: RSC Adv., 8 (2018) 8929. ArticlePubMedPMC
  • 13. J. R. Salgado, E. Djurda and P. Fabry: J. Eur. Ceram. Soc., 24 (2004) 2477. Article
  • 14. Y. Wang, G. Du, H. Liu, D. Liu, S. Qin, N. Wang, C. Hu, X. Tao, J. Jiao, J. Wang and Z. L. Wang: Adv. Funct. Mater., 18 (2008) 1131. Article
  • 15. M. Kolaei, M. Tayebi and B. K. Lee: Appl. Surf. Sci., 540 (2021) 148359. Article
  • 16. X. Guo, H. Zhu and Q. Li: Appl. Catal. B: Environ., 160- 161 (2014) 408. Article
  • 17. C. Liu, J. Y. Liang, R. L. Han, Y. Z. Wang, Z. Zhao, Q. J. Huang, J. Chen and W. H. Hou: Phys. Chem. Chem. Phys., 17 (2015) 15165. ArticlePubMed
  • 18. A. Piatkowska, M. Janus, K. Szymanski and S. Mozia: Catalyst, 11 (2021) 144. Article
  • 19. X. Zhou, D. Zhong, H. Luo, J. Pan and D. Zhang: Appl. Surf. Sci., 427 (2018) 1183. Article
  • 20. C. Wang, T. Ma, Y. Zhang and H. Huang: Adv. Funct. Mater., 32 (2021) 2108350. Article
  • 21. T. Y. Lee, C. Y. Lee and H. T. Chiu: ACS Omega, 3 (2018) 10225. ArticlePubMedPMC
  • 22. S. Kashiwaya, C. Olivier, J. Majimel, A. Klein, W. Jaegermann and T. Toupance: ACS Appl. Nano Mater., 2 (2019) 4793. Article
  • 23. A. Payan, M. Fattahi, B. Roozbehani and S. Jorfi: Iran. J. Chem. Eng., 15 (2018) 3.
  • 24. R. Nawas, C. F. Kait, H. Y. Chia, M. H. Isa and L. W. Huei: Nanomaterials, 22 (2019) 1586. ArticlePubMedPMC
  • 25. H. Cao, B. Li, J. Zhang, F. Lian, X. Kong and M. Qu: J. Mater. Chem., 22 (2012) 9759. Article
  • 26. M. D. Permana, A. R. Noviyanti, P. R. Lestari, N. Kumada, D. R. Eddy and I. Rahayu: ChemEngineering, 6 (2022) 69. Article
  • 27. S. Zong, J. Liu, Z. Huang, L. Liu, J. Liu, J. Zheng and Y. Fang: J. Alloy Compd., 896 (2022) 163039. Article
  • 28. M. Pelaez, N. T. Nolan, S. C. Pillai, M. K. Seery, P. Falaras, A. G. Kontos, P. S. M. Dunlop, J. W. J. Hamilton, J. A. Byrne, K. O’Shea, M. H. Entezari and D. D. Dionysiou: Appl. Catal. B: Environ., 125 (2012) 331. Article
  • 29. C. Liu, L. Wu, J. Chen, J. Y. Liang, C. S. Li, H. M. Ji and W. H. Hou: Phys. Chem. Chem. Phys., 16 (2014) 13409.ArticlePubMed

Figure & Data

References

    Citations

    Citations to this article as recorded by  

      • PubReader PubReader
      • ePub LinkePub Link
      • Cite this Article
        Cite this Article
        export Copy Download
        Close
        Download Citation
        Download a citation file in RIS format that can be imported by all major citation management software, including EndNote, ProCite, RefWorks, and Reference Manager.

        Format:
        • RIS — For EndNote, ProCite, RefWorks, and most other reference management software
        • BibTeX — For JabRef, BibDesk, and other BibTeX-specific software
        Include:
        • Citation for the content below
        Prepar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N-doped Na2Ti6O13@TiO2 Composites for Visible Light Activity
        J Powder Mater. 2022;29(6):492-498.   Published online December 1, 2022
        Close
      • XML DownloadXML Download
      Figure
      Related articles

      Journal of Powder Materials : Journal of Powder Material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