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한국세라믹기술원 이천분원 엔지니어링 소재센터
b 고려대학교 신소재공학과
a Korea Institute of Ceramic Engineering and Technology, Engineering Materials Center, Icheon 17303, Republic of Korea
b Department of Materials Science and Engineering, Korea University, Seoul 02841, Republic of Korea
© The Korean Powder Metallurgy Institute. All rights reserved.
ZrO2 | Y2O3 | Gd2O3 | Er2O3 | TiO2 | M2O3 | MO2 | |
---|---|---|---|---|---|---|---|
|
|||||||
8YSZ | 95.4 | 4.6 | - | - | - | 4.6 | 95.4 |
Z3YGE10T | 87 | 1.7 | 0.7 | 0.7 | 10 | 3.1 | 96.9 |
Z4YGE10T | 86 | 2.2 | 0.9 | 0.9 | 10 | 4 | 96 |
Z5YGE10T | 85 | 2.8 | 1.1 | 1.1 | 10 | 5 | 95 |
Z10YGE10T | 80 | 5.6 | 2.2 | 2.2 | 10 | 10 | 90 |
d = d - spacing (Å)
λ = X - Ray Wavelength (Å)
θ = Peak Position (in Radians)
n = 1 (order of diffraction)
Cross-sectional Porosity (%) | |
---|---|
|
|
8YSZ | 1.04 |
Z3YGE10T | 0.26 |
Z4YGE10T | 0.28 |
Z5YGE10T | 0.45 |
Z10YGE10T | 0.72 |
1) 72~76° 범위 내에 t상 및 c상 형성에 대한 조사 결과, Z10YGE10T을 제외한 나머지는 대부분 t상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3가 희토류의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t(400)는 저각으로 shift가 발생하였으며, t(004)는 고각으로 shift가 발생하였다. 3가 희토류를 총 10 mol% 첨가하였을 때 t상 은 사라졌으며, 완전한 c상이 검출되었다. 3가 희토류의 양이 증가할수록 tetragonality가 1.011에 가까워지는 경향 성을 확인하였으며, YSZ 상태도와 유사하게 나타났다.
2) 미세구조 분석 결과 3가 희토류의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기공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TiO2가 첨가된 복합조성들은 YSZ에 비해 기공률이 감소한 것을 확인하 였다.
3) 비커스 경도 측정 결과 3가 희토류의 함량이 높아질 수록 경도가 증가하는 경향성을 확인하였으며, 또한 10 mol% TiO2를 첨가한 모든 조성들은 YSZ보다 높은 경도 값을 나타내었다.
ZrO2 | Y2O3 | Gd2O3 | Er2O3 | TiO2 | M2O3 | MO2 | |
---|---|---|---|---|---|---|---|
|
|||||||
8YSZ | 95.4 | 4.6 | - | - | - | 4.6 | 95.4 |
Z3YGE10T | 87 | 1.7 | 0.7 | 0.7 | 10 | 3.1 | 96.9 |
Z4YGE10T | 86 | 2.2 | 0.9 | 0.9 | 10 | 4 | 96 |
Z5YGE10T | 85 | 2.8 | 1.1 | 1.1 | 10 | 5 | 95 |
Z10YGE10T | 80 | 5.6 | 2.2 | 2.2 | 10 | 10 | 90 |
Cross-sectional Porosity (%) | |
---|---|
|
|
8YSZ | 1.04 |
Z3YGE10T | 0.26 |
Z4YGE10T | 0.28 |
Z5YGE10T | 0.45 |
Z10YGE10T | 0.7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