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arning: mkdir(): Permission denied in /home/virtual/lib/view_data.php on line 81

Warning: fopen(upload/ip_log/ip_log_2024-05.txt): failed to open stream: No such file or directory in /home/virtual/lib/view_data.php on line 83

Warning: fwrite() expects parameter 1 to be resource, boolean given in /home/virtual/lib/view_data.php on line 84
Microstructure and Electric Contact Properties of Spark Plasma Sintered Ta-Cu Composite
Skip Navigation
Skip to contents

Journal of Powder Materials : Journal of Powder Materials

OPEN ACCESS
SEARCH
Search

Articles

Page Path
HOME > J Powder Mater > Volume 24(5); 2017 > Article
ARTICLE
방전플라즈마 소결법으로 제조된 Ta-Cu의 미세조직 및 전기접점 특성
주원a,b, 김영도b, 심재진a,c, 최상훈a,c, 현승균c, 임경묵a, 박경태a,*
Microstructure and Electric Contact Properties of Spark Plasma Sintered Ta-Cu Composite
Won Jua,b, Young Do Kimb, Jae Jin Sima,c, Sang-Hoon Choia,c, Soong Keun Hyunc, Kyoung Mook Lima, Kyoung-Tae Parka,*
Journal of Korean Powder Metallurgy Institute 2017;24(5):377-383.
DOI: https://doi.org/10.4150/KPMI.2017.24.5.377
Published online: September 30, 2017

a 한국생산기술연구원 한국희소금속산업기술센터

b 한양대학교 신소재공학부

c 인하대학교 신소재공학과

a Korea Institute for Rare Metals, Korea Institute of Industrial Technology, 7-47 Songdo-dong Yeonsoo-gu, Incheon 406-840, Republic of Korea

b Division of Materials Science and Engineering, Hanyang University, 222 Wangsimni-ro, Seongdong-gu, Seoul 133-791, Republic of Korea

c Department of advanced materials engineering, Inha university, 100 Inharo, Nam-gu, incheon 22212, Republic of Korea

*Corresponding Author: Kyoung-Tae Park, +82-458-5199, ktpark@kitech.re.kr
• Received: August 12, 2017   • Revised: August 22, 2017   • Accepted: August 24, 2017

© The Korean Powder Metallurgy Institute. All rights reserved.

  • 28 Views
  • 0 Download
  • 1 Crossref
  • Microstructure, electric, and thermal properties of the Ta-Cu composite is evaluated for the application in electric contact materials. This material has the potential to be used in a medium for a high current range of current conditions, replacing Ag-MO, W, and WC containing materials. The optimized SPS process conditions are a temperature of 900°C for a 5 min holding time under a 30 MPa mechanical pressure. Comparative research is carried out for the calculated and actual values of the thermal and electric properties. The range of actual thermal and electric properties of the Ta-Cu composite are 50~300W/mk and 10~90 %IACS, respectively, according to the compositional change of the 90 to 10 wt% Ta-Cu system. The results related to the electric contact properties, suggest that less than 50 wt% of Ta compositions are possible in applications of electric contact materials.
전기접점소재는 인가전류범위에 따라 사용소재의 구분 이 되어 진다[1, 2]. 1A이하의 소전류 인가소재는 접점 활 용 시 전기저항부하의 영향이 적어 전도성이외 타 특성이 요구되지 않아 주로 Pt, Pt-Ir, Au, Au-Ag, Pd 등 고전도성 귀금속류가 활용된다. 중전류 범위, 즉 1~600A의 경우 현 재 시장 내 활용되고 있는 소재는 Ag-MOx(M = Cd, Sn, In, Ni) 이며, 600A 이상의 고전류 범위에서는 W, Ag-W, Ag-WC, Cu-W 등이 활용되고 있다. 중/고전류 범위에서 요구되는 특성은 고전기/열전도성, 접촉 회수 증가에 따른 내마모성, 내융착성 등이 필요하다. 이는 접점소재 on-, off-작동 중에 발생하는 전기저항열, 아크발생에 의한 것 으로 접점소재 작동 중에는 접촉부에 저항열이 집중되게 되고(그림 1(a)), 작동 off 시에는 순간적으로 아크가 발생 되게 되고 이는 급격한 온도 증가로 직결된다. 본 온도 상 승은 대기의 공기와의 반응을 통해 탄화 및 산화를 유발 되며 그림 2(b)를 보면 실제 아크가 발생 부위에서 육안 상 탄화 및 용해마모가 일어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Fig. 1

Significant characteristics of thermal breaking of electric contact module; during the (a) on and (b) off operations.

KPMI-24-377_F1.gif
Fig. 2

Powder size distributions of used (a) Ta and (b) Cu for SPS processing.

KPMI-24-377_F2.gif
이러한 이유로 접점소재 제작 시 고전도성 내산화성이 좋은 Ag 또는 Cu소재에 내열, 내아크성이 우수한 산화물 이나 고융점 금속 또는 초경탄화물을 혼합하여 사용하고 있다[3-5]. 중전류 소재의 시장은 가장 특성이 좋은 Ag- CdO계 접점이 주를 이루었으나 최근 Cd 소재가 중금속 규 제 및 특정유해물질 사용제한 규제[6]에 의해 더 이상 Cd의 사용이 불가능해진 상황으로 대체재로 Sn, In, Ni 등의 산화 물이 활용되고 있다. 본 중전류 Ag-MO계의 제조공정은 우 선 Ag-M계 합금으로 제조한 뒤 첨가원소의 선택적 산화에 의해 제조되며[5] 이후 목적소재에 맞게 판재, 선재, 세선, 리벳형태로 제조되어 차단기 및 개폐기에 활용된다. 대전 류 소재의 경우 고융점 금속 및 초경탄화물 첨가재로 사 용된다. 이는 기지금속인 Ag, Cu와 융점차이에 기인하여 합금법으로 사실상 제조가 불가능하다. 그리하여 고전류 용 소재는 분말야금법으로 제조되는데 가공 후 전도성 물 질(Ag, Cu)에 첨가되는 고온물질(WC, W) 간 기계적 물성 차이로 인해 소성가공 또한 쉽지 않아 절삭가공을 통한 판재로만 활용되고 있는 상황이다.
1에 상기 접점소재의 주요물성을 나타내었다[7]. 현 재까지 많이 사용되고 있는 CdO에 주목하면 금속 Cd의 융 점 321.07°C, 기화점 767°C로 Ag와 합금이 용이하며, Ag 기 지로의 Cd의 최대 고용도는 37.4 wt%로 매우 높고, 다양한 공정/공석 반응상이 존재하여 합금 내 Cd의 균일분산이 가 능하다. 합금화 이후 선택적 산화 공정에 의한 복합재 제 조 시 균일분산에 따른 균일 전기접점 특성부여가 용이하 다. 하지만 본 산화물 분산에 의해 내산화, 내열특성 부여가 가능하나 전기저항 값은 CdO의 경우 약 600 × 10-8 Ωm으로 Ag의 1.65 × 10-8 Ωm에 비해 현격한 차이를 보여 상용 Ag- CdO의 경우 %IACS가 약 50~80 수준으로 현격한 전기적 물성 감소를 수반한다. 고전류용 첨가재로 주로 활용되고 있는 W (tungsten)의 경우 고온연화온도가 1000°C이며, 허용전압이 0.4 V로 매우 높고, 열팽창계수가 0.005°C-1로 기지원소 Ag(0.004°C-1), Cu(0.004°C-1)와 유사하다. 하지만 탄성계수가 3.5 × 105 MPa로 Ag, Cu와 큰 차이를 지녀 사실 상 소성가공으로 접점소재화가 불가능하다는 단점이 있다.
Table 1

Noticeable Properties of Candidate Elements related on Electric Contact Materials.

Ref. M. Braunovic et al. Fundamentals of Electrical Contacts (2006)
Physical Properties Ag Cu CdO W Ta

density (g/m3) 10.5 8.9 8.15 19.3 16.6
electruc resistance (10-8 Ωm) 1.65 1.75 600 5.5 14
heat transfer
coefficient (W/moC))
418 380 - 190 545
hardness (HB) 25 35 - 350 40
coefficient of thermal expansion α (°C-1) 0.004 0.004 - 0.005 0.003
modulus of elasticity (105 MPa) 0.75 1.2 - 3.5 1.9
temperature (°C) softening 180 190 - 1000 800
melting 960 1,083 1,427 3.390 2,996
voltage allowed (V) softening 0.09 0.12 - 0.4 0.3
melting 0.37 0.43 - 1.1 1
본 연구에서는 CdO가 가지는 전기적 특성과 W의 가지 는 소성가공 특성을 보완하기 위해서 Ta을 첨가재로 사용 하는 Cu-Ta소재에 대한 제조 및 접점특성 연구를 실시하였 다. 기존 상용소재인 Cu-W 및 Ag-W의 가공성 문제를 해 결함과 동시에 Ag-CdO 급의 전기적 물성부여가 가능할 것 으로 기대되며, Ta-Cu 내 Ta 분율 20~80 wt%로 매우 넓게 하여 중/고전류 범위에서 사용가능성을 파악하고자 한다.
2.1. 원재료
Ta-Cu 용해에 활용된 원재료는 4N 급 Ta 금속판재를 10~20 mm의 크기를 지니는 칩 형태로 가공하여 진행하였 으며, 용해는 Arc Melting Furnace를 활용하였다. Ta-Cu SPS 소결을 위해 활용된 소재는 Ta의 경우 4N급 순도의 분말이며 형상은 그림 2(a)에 나타낸 것처럼 불규칙한 산 호형상을 나타냈다. 평균입도는 31.46 μm의 크기를 지니 면 20 μm 이하의 분말과 이들이 응집된 100 μm 분말이 혼합된 Bi-modal 분포를 갖는다. Cu의 경우 3N급의 전해 동(electrolysis copper) 분말이며 그림 2(b)에 나타내었듯이 수지상형상을 하고 있으며, 평균입도는 37.79 μm이다. D(50)도 35.19 μm로 평균치와 유사한 Gaussian 분포를 가 지는 분말을 활용하였다.
2.2. 용해 및 소결
용해는 VAM(Vacuum Arc Melter)을 활용하여 진행하였 다. VAM의 경우 공정 중 온도를 측정할 수 없었으나 실험 중 Ta가 용해된 것으로 보아 3000°C 이상 온도가 상승한 것으로 판단되며, 이는 주형으로 작용하는 수냉 Copper hearth에 의해 용해 후 급속응고 되어진다. 용해 전 진공(약 10-4 torr)분위기를 형성한 뒤 99.99% 순도의 Ar으로 치환 하고 이를 2회 반복한 뒤 최종적으로 진공분위기에서 용해 실험을 실시하였다. 소결공정은 Spark Plasma Sintering (SPS) 장비를 활용하였다. 사용된 장치 모식은 그림 3에 나 타내었으며 전 조건에서 압력은 30MPa을 인가하였고 Upper/Bottom Punch와 Die 소재는 모두 고밀도흑연을 사용하 였다. 소결 전 분말은 200 rpm에서 2시간 회전통에서 단순혼 합한 뒤 XRF(Thermo Fisher SCIENTIFIC, ARL PERFORM'X) 로 목적혼합 조성을 확인한 뒤 실험을 진행하였다.
Fig. 3

Schematics of spark plasma sintering device for producing Ta-Cu composite.

KPMI-24-377_F3.gif
2.3. 분석
열전도도는 식 (1)과 같이 정의 될 수 있다. 여기서 a는 열 확산도(Thermal diffusivity, mm2s-1), λ는 열전도율(Thermal Conductivity, Wm-1K-1), Cp는 비열(Specific Heat, Jg-1K-1) 그 리고 ρ는 밀도(Density, gcm-3)이며 열전도율 단위 W를 맞춰 주기 위해 1WsJ-1를 곱해서 단위를 맞춰주었다, 열확산도 a 값은 레이저 플래시 열전도 측정 장비(NETZSCH, LFA447) 를 통해 계산되었으며 본장비의 측정방식은 laser 열원을 활용하여 Pulse Energy를 시편 한쪽에 조사하게 되고 본 에너지가 시편 뒤에 도달하여 전/후면의 온도가 동일해 지 는 시간측정을 통해 계산된다. 본 열확산도 계산식은 식 (2)에 나타내었다. 여기서 d는 시료의 직경이며, tmax는 최 종시간이다. 여기서 Cp는 Ta-Cu 합금계가 immiscible 하 고 화학반응에 의한 2차상 생성이 없어 단순 혼합을 통해 Cp값을 산출하였으며, 본 혼합법칙에 의해 계산된 Cp값 계산식을 식 (3)에 나타내었다.
(1)
λ=(aρCρ)(1WsJ-1)
(2)
a=0.1388(d2/tmax,1/2)
(3)
Cp = (XCuCpCu)+(YTaCpTa), XCu+YTa= 1
전기전도도 측정을 위하여 전도도 측정장치(Fisher, SMP350)을 이용한 분석이 진행되었으며, 분석을 위하여 시 편 단면을 기계적 연마 후 4 point prove를 단면부에 접촉, 제공된 %IACS 값을 측정하였다.
미세조직관찰을 위해서 SEM(JEOL, JSM-7100F)과 EBSD (OXFORD, NordlysNano) 분석이 수행되었으며, SEM 분 석은 시편 단면을 수평방향으로 절단한 뒤 기계적 연마를 실시하였으며 EBSD 분석은 Cross section Polisher (JEOL, IB-19510CP)을 활용하여 경면을 지니는 편상으로 제조한 뒤 수행되었다. 이때 Cross section Polisher 운전 조건은 출력 6.0 kV, 유지시간 6 hr 이다.
Ta와 Cu의 합금 제조 가능성 여부를 타진하였다. 아크 멜팅은 원재료가 용해가 이루어지는 시점까지 수행되었으 며, 그림 4(a)에 아크멜팅된 Ta-Cu 합금사진과 그림 4(b)(c)에 합금 미세조직을 나타내었다.
Fig. 4

Arc-melted Ta-Cu alloys; (a) melted shapes by vaporization, (b) segregated boundary between Tantalum and Copper Copper and (c) partially alloyed area of Ta-Cu.

KPMI-24-377_F4.gif
Cu의 분율이 높은 시료일수록 원재료가 많이 유실되어 졌는데 용해공정 중 Ta 용해로 인해 온도가 3000°C 이상 으로 상승한 것에 기인한다. 증기압이 높은 Cu (Boiling point, B.P. : 2562°C @1 atm)는 용해공정 중에 기화 유실 되었고, 반면에 Ta는 B.P. 약 5458°C @1 atm로 용해공정 중에 액상으로 유지된 것으로 판단된다. HSC Chemistry 8.1을 활용하여 계산된 Ta와 Cu의 증기압 비교도(그림 5(b))를 보면 명확하게 이를 반증한다.
Fig. 5

(a) Vapor pressure calculated of Tantalum and Copper Copper by HSC chemistry 8.1 and b) binary phase diagram of Ta-Cu.

KPMI-24-377_F5.gif
합금 내 미세조직을 보면 일부 합금이 되었으나, 합금계 가 상호고용이 되지 않는 immiscible 한 특성을 지녀 조대 편석이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으며(그림 4(b)). 본 편석 간 계면에 Cu와 Ta간 분리되어 있는 것을 명확하게 보여 주고 있다. 일부 합금이 이루어진 부분은 Ta-Cu 상태도에 서 보이는 immiscible한 조직을 나타내고 있으며 상호 간 고용 없이 각각 존재하고 있었다. 본 결과를 토대로 판단 시 Ta-Cu 합금계는 용해법으로 제조가 불가능하며, 벌크 제조 시에는 분말야금법을 통해 제조해야 한다.
소결법으로는 SPS 공정을 선택해서 진행하였다. SPS 공 정은 Pulse Current가 인가되는 공법이며, 전도성 시료가 joule 열에 의해 소결되는 방식이다[7]. 본 시료 제조 시 유 지시간 기준 2000 A, 30 V 정도로 매우 큰 전류, 전압이 인가되었으며, 이때 전류는 가압용 펀치를 통해 전달되었 고 통전 중 30 MPa의 기계적 압력 또한 인가되었다. SPS 는 분말 간 계면에서 국부적인 용융과 기화가 발생할 만 큼 높은 에너지가 인가된다고 보고되고 있으며[8], 본 Ta- Cu 합금계와 같이 상호 화학반응이 없어, 상호 확산에 의 해서만 소결이 이루어져야 한다.
하지만 타 논문을 통해 상호 확산계수를 파악해보면 Ta 의 Cu로의 확산계수는 약 4.3 × 10-18 cm2s-1 @ 600°C[9]이 고, Cu의 Ta로의 확산계수는 2.0 × 10-12 cm2s-1 @ 550°C [10]이다. 특히 Ta의 Cu로의 확산은 매우 낮은 것으로 타 원소 간 확산계수와 비교 시에도 매우 낮은 수치이며, 일 반적 가열소결로는 장시간, 고온이 요구될 것으로 판단되 어 분말 계면에 국부적인 에너지가 집중되는 SPS 공정이 적합하다.
Ta-Cu에 대한 SPS 소결연구는 선행연구를 찾아볼 수 없 으며, 유사한 합금계인 W-Cu의 소결연구는 Hefei 대학 Yi Feng 등[11]에 의해 선행되었다. 이들의 연구를 보면 SPS 공정 시 1050°C, 40 MPa에서 최대 치밀화(96.53%)가 이루 어 졌다고 보고되고 있다.
각각 소결 최대온도 900, 1000°C 조건에 대한 결과를 나 타내려한다. 본 2가지 최대온도 조건에서 유지시간은 5 min 이며, 승온 속도는 50°C/min 으로 동일하다. 압력 또 한 30 MPa로 동일하게 진행하였다. 조성은 10, 20, 30, 40, 50, 60, 70, 80, 90 wt%Ta-Cu 총 9조건에 대한 소결을 실 시하였다. 그림 6에 1000°C에서 소결을 진행한 SEM 조직 사진을 나타내었다. (a), (b), (c) SEM 이미지는 각각 20, 50, 80 wt%Ta-Cu 조성이다. 1000°C 소결에서는 소결 중 Cu가 용해되었고, 30 MPa의 가압력으로 액상 Cu가 소결 체 외부로 빠져나가서, 대부분 단면 조직상에 Ta만 관찰되 었다. 일부 잔존하는 Cu는 Ta 분말계면을 덮고 있는 형상 을 나타낸다. Ta-Cu의 경우 1000°C 조건에서 가압이 필수 인 SPS 공정은 부적합함을 미세조직에서 확인할 수 있다. Cu가 안정적으로 고상을 유지할 수 있는 온도인 900°C 조 건에서는 소결을 실시하고 SEM을 활용하여 미세조직을 관찰한 결과를 그림 7에 나타내었다. 각각 (a), (b), (c)는 20, 50, 80 wt%Ta-Cu 조성이다. 조직상에서 확인한 바와 같이 Cu는 전혀 유실되지 않았으며, 샘플 전후 무게측정 결과도 동일하였다. 소결공정을 통한 치밀화는 매우 잘 이 루어 진 것으로 확인 할 수 있으며, 아르키메데스 밀도측 정결과 상대밀도(R.D., Relative Density)는 전 조건에서 99% 이상으로 소결이 잘 이루어 진 것을 알 수 있다. 주 목할 점은 그림 2(a)에서 확인 가능한 100 μm급 분말 응 집체에서 내에도 Cu 분말이 잘 침투하여 치밀화가 이루어 졌다는 것이다. 그림 7(b), (c) 내 원을 보면 응집체 사이 로 Cu가 채워져 있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으며, 이는 계면 에서 Cu의 국부적용해가 이루어지고 가압에 의해 Ta 응집 체 사이로 침투한 것으로 예측된다.
Fig. 6

Microstructures of Ta-Cu composites under P: 30 MPa, Temp: 1000°C and dwell time : 5 min (heating rate: 50°Cmin-1); (a) 20 wt%Ta-80 wt%Cu, (b) 50 wt%Ta-50 wt%Cu and (c) 80 wt%Ta-20 wt%Cu.

KPMI-24-377_F6.gif
Fig. 7

Microstructures of Ta-Cu composites under P: 30 MPa, Temp: 900°C and dwell time : 5 min (heating rate: 50°Cmin-1); (a) 20 wt%Ta-80 wt%Cu, (b) 50 wt%Ta-50 wt%Cu and (c) 80 wt%Ta-20 wt%Cu.

KPMI-24-377_F7.gif
그림 8에 10 wt%Ta-Cu조성에 대해 EBSD 분석을 실시 하고 결과를 도시하였다. 그림 8(a)는 SE 이미지이며, (b) 는 Ta-Cu 조성 분포, (c)는 IPF 분포, (d)는 misorientations 각 그리고 (e)는 결정립도 측정결과를 나타내었다. 조성분 석결과 실제 Ta 내 Cu와 Cu 내 Ta는 관찰되지 않으며, 일 부기공이 존재하는데 이는 Ta과 Cu 계면에 관찰되었다(검 은 영역). IPF Map 관찰 시 내부 결정립은 Random한 결 정방위를 나타내고 있으며 이는 전형적인 분말야금법으로 제조된 고상소결체 IPF결과이다. misorientations를 보면 10° 이상의 고각은 Ta와 Cu간 계면에 집중하며, 본 고각 에서 결정립간 뒤틀림이나 입계에너지가 집중한다고 보고 되고 있다[12]. 그리하여 본 고각에 석출상 및 전위집중이 이루어지는데[13], 본 합금계의 경우 2차상 생성이 없으나 소성가공 시 응력집중이 Ta-Cu 계면에 집중할 것으로 판 단된다. 결정립도 측정결과를 보면 최소크기는 1.01 μm이 며, 최대크기는 31.19 μm, 평균입도는 3.34 μm이다. 본 평 균은 이미지 상 총 1,598개의 결정립에서 측정되었다.
Fig. 8

EBSD analysis of 10 wt%Ta-90 wt%Cu sintered composite; (a) SE image, (b) compositional distributions, (c) Inverse Pole Figure colored map, (d) grain boundary misorientations(°), (e) grain size distributions.

KPMI-24-377_F8.gif
최대소결온도 900°C에서 진행한 조성별 9개 조건에 대 한 전기접점으로 활용하기 위한 주요물성인 전기전도도와 열전도도를 측정하고 각각 그림 9(a)(b)에 나타내었다. 전기전도도(식 (4)), 열전도도(식 (5)) 모두 혼합법칙(Rule of Mixture)을 통해 이론적 예측계산을 실시하였다.
Fig. 9

Distributions of (a) electric conductivity and (b) thermal conductivity on that Ta-Cu sintered composite, that sintering conditions are P: 30 MPa, Temp: 900°C and dwell time : 5 min (heating rate: 50 °Cmin-1).

KPMI-24-377_F9.gif
일반적인 Cu의 전기저항값은 16.78 nΩm (at 25°C) 이며, Ta의 전기저항값은 131 nΩm (at 25°C)로 알려져 있고 본 수치를 활용하였다. 이를 전기전도도 값으로 환산하면 σCu = 5.96 × 107 Sm-1, σTa = 7.63 × 106 Sm-1 이다. 이를 국제표 준법인 IACS(International Annealed Copper Standard)로 환산하여 나타내면 Cu의 IACS 값은 101 %IACS, Ta의 값 은 12.8 %IACS 값이 되며, 이를 통해 이론적 전기전도도 (σideal, %IACS)를 계산하였다(식 (4)).
(4)
σideal= 101XCu + 12.8YTa, XCu+ YTa= 1
열전도도의 경우도 전기전도도와 마찬가지로 중량비에 따라 이론적 열전도도가 결정된다. Thermal conductivity (Cu) = 401Wm-1K-1 이고 Thermal conductivity(Ta) = 57.5W m-1K-1 이며, 이를 이용하여 이론적 열전도도(λideal, Wm-1K-1) 를 계산하였다(식 (5)).
(5)
λideal= 401XCu + 57.5YTa, XCu+ YTa= 1
전기전도도의 경우 낮은 Ta 영역 즉 높은 Cu 조성에서 는 이론치와 측정치가 유사한 값을 나타내나 Ta 중량 분 율이 높아질수록 계산치와의 값 차이가 높게 나타났다. 이 는 Cu 분율이 낮아질수록 전자흐름이 원활하게 이루어지 지 않는 것을 의미하며, Ta보다는 Cu쪽으로 전자 흐름이 집중되고 상대적으로 전도성이 낮은 Ta의 많아져서 전체 적인 electron pathway 길이가 길어짐이 기인한다. 절대적인 수치를 보면 중/고전류 전기접점소재가 50~70의 %IACS가 요구됨을 감안할 때 Ta의 함량은 50 wt%Ta 이하의 조성이 접점소재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열전도도의 경우 전조성에 계산치와 측정치가 약 50 W/m·K 이내의 차이를 보이는데 이론적 계산치에 활용된 열전도도 수치 (Cu: 401W/m·K, Ta: 57.5W/m·K)는 Annealed 벌크소재 를 기준으로 측정된 수치로 분말소재와는 차이를 지닌 것 으로 판단된다. 분말야금법으로 제조된 본 소재의 경우 평 균결정립이 3.34 μm(그림 8(e))로 매우 미세하고 결정립도 가 작을수록 열전달에 방해를 받는 일반론에 기인한다. 중 고전류용 전기접점소재의 열전도도는 200~300Wm-1K-1를 나타내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으며, 이 또한 전기전도도와 마찬가지로 50 wt%Ta 이하의 조성에서 전기접점소재로 활용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Ta-Cu는 용해 합금법으로는 제조가 불가능하나 분말야 금공정으로 벌크소재로 제조할 수 있었다. SPS공정이 가 지는 높은 분말 간 계면에너지 집중으로 상호확산이 잘 이루어지지 않는 Ta-Cu계에도 높은 치밀화를 달성할 수 있었다. 1000°C에서 5 min 유지 조건에서 이론적 상대밀 도 99%이상을 지녔으며, 전기전도도와 열전도도는 Ta 분 율에 따라 다르지만 50 wt%Ta 조성조건에서 상용 중/고전 류 접점 소재가 가지는 50 %IACS이상의 전기전도도와 200 Wm-1K-1이상의 열전도도를 지녀 기존 Ag-MO(M=Cd, Sn, In, Ni)계 및 Ag-W, Ag-WC 접점소재와 유사한 특성 을 보유하여 대체 가능한 수준이다. 본 논문에는 평가되지 않았지만 Ta소재는 연성소재로 Ta-Cu 소결체도 소성가공 이 가능 할 것으로 판단된다. 기존 접점소재가 신선재, 판 재, 봉재 등 다양한 형상 사용됨을 감안 할 때 상용화가 유망하다.
Acknowledgements
본 논문은 2017년도 산업통상자원부 재원으로 한국산업 기술평가관리원 지원(No. 10067267, 20A 이상 고전류 환 경에서 100,000회 이상의 장수명 전력차단 특성보유 친환 경/저원가 Cd, Ag-free 금속소재 국산화 기술개발(2/4))과 한국에너지기술평가원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 (No. 20165010100870, 탄탈륨 금속스크랩으로부터 고부가가치 산업용 탄탈륨 소재(4N급 이상) 상용화기술 개발(2/3))
  • 1. H.D. Kim and S.I. Lee: J. Korea Society for Railway., (2012) 15 597.Article
  • 2. J.K. Kim, D.J. Jang, K.I. Ju, E.H. Lee, S.Y. Um, and T.W. Nam: J. Korea Foundrymen’s Society., (2008) 28 184.
  • 3. P. Verma, O.P. Pandey, and A. Verma: J. Mater. Sci. Technol.., (2004) 20 49.
  • 4. X. Jifeng, C. Shunhua, B. Xiaoping, L. Guowei, Y. Xiaofang, and Z. Lidan: Rare Met. Mater. Eng.., (2014) 43 2989.
  • 5. S.H. Choi, B. Ali, S.Y. Kim, S.K. Hyun, S.J. Seo, K.T. Park, B.S. Kim, T.S. Kim, and J.S. Park: Int. J. Appl. Ceram. Technol.., (2016) 13 258.
  • 6. J. Buzek: O. J. E. U., (2011) 88 258.
  • 7. P.G. Slade, Electrical Contacts Principles and Application., New York CRC Press, (2014) 879.
  • 8. Z.A. Munir, U. Anselmi-Tamburini, and M. Ohyanagi: J. Mater. Sci.., (2006) 41 763.
  • 9. S. Mardani, H. Norström, U. Smith, and S.L. Zhang: J. Vac. Sci. Technol.., (2016) 34 1.
  • 10. F. Fillot: Zs. Tőkei and G. P. Beyer: Surf. Sci.., (2007) 601 986.
  • 11. X. Tang, H. Zhang, D. Du, D. Qu, C. Hu, R. Xie, and Y. Feng: Int. J. Refract. Met. Hard Mater.., (2014) 42 193.
  • 12. P.H. Pumphrey and H. Gleiter: J. Microsc.., (1974) 3 349.
  • 13. R.W. Balluffi, M.S. Thesis, High Angle Grain Boundaries As Sources or Sinks for Point Defects. (1979)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Cambridge, Massachusetts

Figure & Data

References

    Citations

    Citations to this article as recorded by  
    • Formation mechanism, microstructural features and dry-sliding behaviour of “Bronze/WC carbide” composite synthesised by atmospheric pulsed-plasma deposition
      V.G. Efremenko, Yu.G. Chabak, V.I. Fedun, K. Shimizu, T.V. Pastukhova, I. Petryshynets, A.M. Zusin, E.V. Kudinova, B.V. Efremenko
      Vacuum.2021; 185: 110031.     CrossRef

    • PubReader PubReader
    • Cite this Article
      Cite this Article
      export Copy Download
      Close
      Download Citation
      Download a citation file in RIS format that can be imported by all major citation management software, including EndNote, ProCite, RefWorks, and Reference Manager.

      Format:
      • RIS — For EndNote, ProCite, RefWorks, and most other reference management software
      • BibTeX — For JabRef, BibDesk, and other BibTeX-specific software
      Include:
      • Citation for the content below
      Microstructure and Electric Contact Properties of Spark Plasma Sintered Ta-Cu Composite
      J Powder Mater. 2017;24(5):377-383.   Published online October 1, 2017
      Close
    • XML DownloadXML Download
    Figure
    Related articles

    Journal of Powder Materials : Journal of Powder Material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