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울산대학교 중공업융합기술공학과
b 한국원자력연구원 신소재융합기술연구부
c 울산대학교 첨단소재공학부
a Department of Convergence Technology for Heavy Industries, University of Ulsan, Ulsan 44610, Republic of Korea
b Nuclear Materials Division, Korea Atomic Energy Research Institute (KAERI), Daejeon 34057, Republic of Korea
c School of Materials Science and Engineering, University of Ulsan, Ulsan 44776, Republic of Korea
© The Korean Powder Metallurgy Institute. All rights reserved.
Steel | Fe | C | Cr | W | V | Co | Ti | Y2O3 |
---|---|---|---|---|---|---|---|---|
|
||||||||
0 Co | bal. | 0.1 | 9.0 | 2.0 | 0.2 | - | 0.25 | 0.4 |
2 Co | bal. | 0.1 | 9.0 | 2.0 | 0.2 | 2.0 | 0.25 | 0.4 |
5 Co | bal. | 0.1 | 9.0 | 2.0 | 0.2 | 5.0 | 0.25 | 0.4 |
Steel | Charpy impact energy | Average | |||
---|---|---|---|---|---|
|
|||||
0 Co | 14 | 14 | 14 | 14 | 14±0 |
2 Co | 18 | 20 | 18 | 18 | 18±2 |
5 Co | 22 | 22 | 21 | 21 | 22±1 |
(1) 코발트의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F/M ODS강의 경화 능이 감소하여 페라이트의 분율이 증가하고 템퍼드 마르 텐사이트의 분율이 감소하였다.
(2) 경질상인 템퍼드 마르텐사이트의 분율이 감소함에도 불구하고 고용강화 효과와 미세한 탄화물의 형성으로 인 하려 코발트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F/M ODS강의 경도가 증가하였다.
(3) 코발트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F/M ODS강의 저온 샤 르피 충격 에너지가 증가하였다. 이는 코발트 첨가에 따른 ODS강의 항복강도 증가로 인한 파괴개시 저항성 향상과 조대한 산화물 생성의 억제로 인한 파괴전파 저항성의 향 상으로 설명할 수 있었다.
Steel | Fe | C | Cr | W | V | Co | Ti | Y2O3 |
---|---|---|---|---|---|---|---|---|
|
||||||||
0 Co | bal. | 0.1 | 9.0 | 2.0 | 0.2 | - | 0.25 | 0.4 |
2 Co | bal. | 0.1 | 9.0 | 2.0 | 0.2 | 2.0 | 0.25 | 0.4 |
5 Co | bal. | 0.1 | 9.0 | 2.0 | 0.2 | 5.0 | 0.25 | 0.4 |
Steel | Charpy impact energy | Average | |||
---|---|---|---|---|---|
|
|||||
0 Co | 14 | 14 | 14 | 14 | 14±0 |
2 Co | 18 | 20 | 18 | 18 | 18±2 |
5 Co | 22 | 22 | 21 | 21 | 2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