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전북대학교 신소재공학부
b 전북대학교 신소재개발연구센터
a Division of Advanced Materials Engineering, Jeonbuk National University, Jeonju 54896, Republic of Korea
b Research Center for Advanced Materials Development, Jeonbuk National University, Jeonju 54896, Republic of Korea
© The Korean Powder Metallurgy Institute. All rights reserved.
밀링 미적용 소결합금의 주요 이차상은 Q-AlCuMgSi, Mg2Si, Si 상이었고, 분말 경계에 Al 산화물이 존재했 다. 고에너지 볼 밀링에 의해 분말 표면의 산화물이 분말 내부로 침투하였고, 소결 시 MgO 산화물을 형 성하며 Al 기지의 Mg 고용량을 감소시켰다. 이로 인 해 볼 밀링 후 소결한 합금에서는 Mg을 포함하지 않 는 Si과 θ-Al2Cu 상이 주로 존재했다. 볼 밀링은 소결 합금의 결정립 크기를 2.9 μm에서 0 .5 μm로 매우 감 소시켰다.
500°C의 고온 열처리는 밀링 미적용 소결합금의 QAlCuMgSi 및 Mg2Si 상의 부분 재용해 및 조대화를, 밀링 후 소결한 합금의 θ-Al2Cu 상의 완전 재용해를 야기했다. 두 소결합금 모두 장시간 열처리 시 고온 생성상인 α-AlFeSi 상이 생성되었다. 500°C에서 168 h 열처리 시 결정립 크기는 밀링 미적용 합금은 2.9 μm 에서 6.3 μm으로, 밀링 적용 합금은 0 .5 μm에서 1.0 μm으로 조대화되었다.
500°C에서 1 h 열처리하면 Q-AlCuMgSi/Mg2Si 및 θ- Al2Cu 상의 재용해에 의한 고용강화 및 분산강화 효 과 증가로 인해 소결합금의 경도가 증가하였다. 24 h 열처리는 분산강화 효과가 있는 미세한 이차상의 재 용해를 일으켜 합금의 경도 감소를 야기하였다. 168 h 장시간 열처리하면 수백 nm의 α-AlFeSi 상에 의한 분산강화 효과로 인해 밀링 미적용 합금의 경도는 증 가했다. 그러나, 밀링 및 소결합금은 서브 μm 결정립 조대화에 의한 연화 효과가 α-AlFeSi 상의 분산강화 를 상쇄시킴에 따라 경도의 변화는 미비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