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 안동대학교 신소재공학부
일진다이아몬드㈜
School of Advanced Materials Engineering, Andong National University, Andong 760-749, Korea
a ILJIN Diamond Co., Eumsung 369-824, Korea
© The Korean Powder Metallurgy Institute All rights reserved
This is an Open-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3.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Molding Pressure (kgf/cm2) | C(at%) | Co(at%) | W(at%) |
---|---|---|---|
|
|||
100 | 90.4 | 8.0 | 1.6 |
150 | 91.5 | 6.8 | 1.7 |
200 | 91.8 | 6.7 | 1.5 |
초기 성형 압력이 증가함에 따라서 초기 성형체의 상 대 밀도가 증가하였다. 이 후 초고온고압 소결 공정을 통 해 제조된 최종 다결정 다이아몬드 컴팩트에서 50 kgf/ cm2의 초기 성형 압력을 가한 경우 표면 균열이 발생하였 으나, 그 이상의 초기 성형 압력 (100~200 kgf/cm2) 조건 에서는 표면 균열 없는 다결정 다이아몬드를 제조할 수 있었다.
제조된 다결정 다이아몬드 컴팩트의 미세조직을 관찰 한 결과, 다결정 다이아몬드 기지에 Co와 W의 금속 바인 더가 분포하였다. 초기 성형 압력이 높을수록 Co의 함량 은 낮게 측정되었으며 그 분포도 작고 치밀하고 나타났다. 이와 함께 초기 성형 압력이 증가함에 따라 최종 다결정 다이아몬드 컴팩트에서 다이아몬드-다이아몬드 직접 결합 분율이 증가하였다.
다결정 다이아몬드 컴팩트에 대한 수직 선반 내마모 실험 결과에서 초기 성형 압력이 높을수록 다결정 다이아 몬드 컴팩트의 내마모 특성이 우수하게 나타났다. 이는 성 형 압력이 높을수록 미세 파괴를 유발할 수 있는 기지 내 금속 Co 의 함량이 낮아지고 다이아몬드와 다이아몬드의 직접 결합 분율이 증가하는데 기인한다.
Molding Pressure (kgf/cm2) | C(at%) | Co(at%) | W(at%) |
---|---|---|---|
|
|||
100 | 90.4 | 8.0 | 1.6 |
150 | 91.5 | 6.8 | 1.7 |
200 | 91.8 | 6.7 | 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