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Navigation
Skip to contents

Journal of Powder Materials : Journal of Powder Materials

OPEN ACCESS
SEARCH
Search

Articles

Page Path
HOME > J Korean Powder Metall Inst > Volume 22(1); 2015 > Article
ARTICLE
기계적 합금화하여 제조한 Fe-5Y2O3 합금분말의 나노산화물 석출거동
김가언a, 노상훈, 최지은, 김영도a, 김태규*
A Precipitation Behavior of Nano-Oxide Particles in Mechanically Alloyed Fe-5Y2O3 Powders
Ga Eon Kima, Sanghoon Noh, Ji Eun Choi, Young Do Kima, Tae Kyu Kim*
Journal of Korean Powder Metallurgy Institute 2015;22(1):46-51.
DOI: https://doi.org/10.4150/KPMI.2015.22.1.46
Published online: January 31, 2015

한국원자력연구원 원자력소재개발부

한양대학교 신소재공학과

Nuclear Materials Development Division, Korea Atomic Energy Research Institute, Daejeon 305-303, Korea

a Development of Materials Science and Engineering, Hanyang University, Seoul 133-791, Korea

*Corresponding author : Tae Kyu Kim, TEL: +82-42-868-8384, FAX: +82-42-868-8549, tkkim2@kaeri.re.kr
• Received: February 11, 2015   • Revised: February 16, 2015   • Accepted: February 25, 2015

© Korean Powder Metallurgy Institute All rights reserved

This is an Open-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3.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 278 Views
  • 1 Download
  • 1 Crossref
prev next
  • A precipitation behavior of nano-oxide particle in Fe-5Y2O3 alloy powders is studied. The mechanically alloyed Fe-5Y2O3 powders are pressed at 750°C for 1h, 850°C for 1h and 1150°C for 1h, respectively. The results of Xray diffraction pattern analysis indicate that the Y2O3 diffraction peak disappear after mechanically alloying process, but Y2O3 and YFe2O4 complex oxide precipitates peak are observed in the powders pressed at 1150°C. The 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ry study results reveal that the formation of precipitates occur at around 1054°C. Based on the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 analysis result, the oxide particles with a composition of Y-Fe-O are found in the Fe-5Y2O3 alloy powders pressed at 1150°C. It is thus conclude that the mechanically alloyed Fe-5Y2O3 powders have no precipitates and the oxide particles in the powders are formed by a high temperature heat-treatment.
한국을 포함한 주용 원전 보유국에서는 경제성, 안정성, 신뢰성 및 핵확산저항성이 획기적으로 향상된 제4세대 미 래 원자력시스템인 소듐냉각고속로(Sodium-cooled Fast Reactor, SFR)를 활발하게 개발하고 있다[1]. 소듐냉각고 속로는 기존 상용로에 비하여 고온 고방사선의 극한환경 조건에서 운전되도록 설계되므로 우수한 성능을 가진 노 심 구조재료 적용이 필요하다. 상용소재인 오스테나이트 계 스테인리스강은 고온 기계적 특성과 내식성이 우수하 지만 300-550℃의 온도 범위에서 120 dpa 정도의 중성자 조사량에 도달하면 조사팽윤(Irradiation swelling)이 급격 히 발생하여 기계적 특성과 치수안정성이 급격히 저하된 다. 반면에 페라이트/마르텐사이트 강은 열팽창 계수가 낮 고 열전도성과 조사팽윤 저항성이 우수하지만, 650℃ 이 상에서 고온강도가 급격히 저하하여 미래 원자력시스템의 노심 구조부품으로서 적용하기 어렵다는 한계가 있다. 이 러한 단점을 극복하고자 조사 저항성이 우수한 페라이트/마 르텐사이트 강 기지에 650℃ 이상의 고온에서도 열적 안정 성이 매우 우수한 산화물을 미세하게 분산시켜 고온강도를 향상시킨 산화물분산강화(Oxide Dispersion Strengthened, ODS) 강이 주목을 받고 있다[2, 3].
일반적으로 ODS 강은 원소재 분말을 기계적 합금화 (Mechanical Alloying, MA)하여 기계적 합금화 분말을 제 조한 후 열간등방가압 또는 열간압출과 같은 후속 열간가 공 공정으로 제조된다. 제조공정의 조건에 따라 기지 중 산화물의 분산상태가 결정되며 ODS 강의 성능을 좌우한 다[4]. 일반적으로 기계적 합금화 과정에서 산화물은 파쇄, 분해 및 합금원소와 재결합 과정을 반복하면서 비정질 상 태로 된 후 열간등방가압이나(Hot Isostatic Pressing, HIP) 열간압출(Hot Extrusion)과 같은 후속 공정에서 나노급 크 기를 가지는 미세한 산화물로 석출된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5-7]. 현재까지 여러 가설을 토대로 기계적 합금화 공정과 후속열간가공 공정으로 제조된 ODS 모델합금의 나노산화물의 생성 및 성장거동에 대한 기구를 연구하고 있다. 하지만 금속기지 중에서 산화물 생성과정에 관한 연 구가 열역학적으로 보고된 결과는 부족한 현실이며 나노 산화물 성장거동 기구를 체계적으로 규명하지 못한 상황 이다. 따라서 ODS 강의 제조공정 과정에서 발생되는 나 노산화물의 생성거동 기구를 규명하기 위한 연구가 필요 하다.
본 연구에서는 기계적 합금화 공정으로 Fe 분말과 Fe- 5Y2O3 합금분말을 제조하고 열간일축가압(Uniaxial Hot Pressing, UHP) 방법으로 열간성형하여 모델합금을 제조 하였다. 합금분말의 미세조직 관찰과 열특성을 평가하였으 며 모델합금의 결정상과 산화물 석출과정을 분석하였다.
2.1. 시편 준비
100% Fe와 95wt% Fe-5wt% Y2O3 조성의 ODS 모델합 금을 제조하였다. 시편을 제작하기 위하여 99.0%의 순도 와 85 μm의 평균 입자크기를 가지는 Fe 분말과 99.9%의 순도와 30 nm의 평균 입자크기를 갖는 산화이트륨(Y2O3, Yttria) 분말을 사용하였다. 원소재 분말을 기계적 합금화 하기 위하여 고에너지 수평형 볼밀 설비(제조사: GmbH, Germany, 모델명: Simoloyer CM20)를 사용하였다. 원소재 분말을 분쇄하고 용접하는 과정을 거치기 위한 합금 설비 의 분쇄수단으로는 직경 5 mm, SUJ2 조성의 베어링 강구 가 사용 되었으며, 초고순도의 Ar 분위기 내에서 합금화 볼과 원소재 분말과의 중량 비율을 10:1로 하여 impeller 회전속도 300 rpm 조건에 따라 48시간 동안 기계적 합금 화하여 약 3 kg의 합금분말을 제조하였다[8]. 기계적 합금 화 공정으로 제조한 Fe-5Y2O3 합금분말은 10−4 Pa의 고진 공 분위기에서 80 MPa으로 가압하고 10℃/min의 승온 조 건으로 750, 850, 1150℃ 온도에서 각각 1시간 동안 열간 성형하여 Fe-5Y2O3 모델합금을 제조하였다.
2.2. 미세구조 및 열물성 분석
원소재 Fe, Y2O3 분말과 기계적 합금화 공정으로 제조 된 Fe 분말과 Fe-5Y2O3 합금분말의 표면 형상과 크기 및 균 일도를 관찰하기 위하여 SEM(Scanning Electron Microscope) 장비를 이용하였다. Fe-5Y2O3 혼합분말과 기계적 합금화 공 정으로 제조된 Fe-5Y2O3 합금분말 및 합금분말을 열간일 축가압 방법으로 750, 850, 1150℃ 온도에서 각각 1시간 동안 열간성형하여 제조된 Fe-5Y2O3 모델합금의 결정상을 분석하였다. XRD(X-Ray Diffractometer) 장비를 이용하여 40 kV, 300 mA 및 2°/min의 조건으로 결정상을 측정하였다. 기계적 합금화하여 제조된 Fe 분말과 Fe-5Y2O3 합금분말의 열물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10°/min 승온 조건으로 1200℃ 온도까지 DSC(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ry)로 측정하였 다. 기계적 합금화로 제조된 Fe-5Y2O3 합금분말을 750, 850, 1150℃ 온도에서 각각 1시간 동안 열간성형하여 제조된 Fe- 5Y2O3 모델합금의 미세조직을 TEM(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 장비로 관찰하였다. TEM 분석시편은 FIB(Focused Ion Beam) 및 Jet polisher로 전해 연마한 후 박막시편으로 제조되었다. 기계적 합금화와 750, 850, 1150℃ 온도에서 각각 1시간 동안 열간성형하여 제조된 Fe-5Y2O3 모델합금의 기지와 석출물 화학성분을 EDS(Energy Dispersive X-ray Spectroscopy) 장비로 확인하였다.
3.1. 기계적 합금화 분말
원소재인 Fe, Y2O3 분말과 기계적 합금화 공정으로 제조 된 Fe 분말과 Fe-5Y2O3 합금분말의 SEM 이미지를 그림 1에 나타내었다. Fe 분말은 전체적으로 표면이 거칠고 매 우 불규칙한 flake 형태를 보였다(그림 1(a)). Y2O3 분말은 30 nm 이하의 미세한 입자크기로 관찰되었다(그림 1(b)). 기계적 합금화 공정으로 제조된 Fe 분말은 등축상의 응집 된 형상을 보이고 있으며 원소재 분말의 불규칙한 형태에 비해 Fe 분말은 규칙적인 형태를 보이고 있었다. 베어링 강구의 충돌에 의한 반복적인 분말의 파쇄, 용접(coldwelding) 과정으로 인해 디스크 형태를 보이며 충분한 연 성으로 인해 파쇄 보다는 용접 현상이 지배적으로 발생한 결과라고 생각된다. Fe 원소재 분말을 단독으로 기계적 합 금화 한 경우 평균 100 μm의 직경이었으나(그림 1(c)), Fe-5Y2O3의 합금분말은 10 μm 이하의 크기를 가지는 매 우 미세한 형태로 관찰되었다(그림 1(d)). 이러한 결과는 기계적 합금화 공정이 진행 되는 동안 Y2O3가 Fe 분말에 분산 미립자로서 강제 고용됨과 동시에 취성이 급격히 증 가하여 입자의 크기가 미세한 크기로 파쇄된 것으로 추측 된다.
Fig. 1.
SEM images of the (a) Fe, (b) Y2O3, (c) mechanically alloyed Fe, and (d) mechanically alloyed Fe-5Y2O3 powders.
KPMI-22-46_F1.gif
3.2. 결정상
Fe-5Y2O3 혼합분말과 기계적 합금화 공정으로 제조된 Fe-5Y2O3 합금분말 및 합금분말을 열간일축가압 방법으로 750, 850 및 1150℃ 온도에서 각각 1시간 동안 열간성형 하여 제조된 Fe-5Y2O3 모델합금의 결정상을 분석하여 XRD 패턴 변화를 그림 2에 나타내었다. Fe와 Y2O3 원소 재 분말을 단순 혼합한 시료에서는 뚜렷한 Y2O3 결정상을 확인할 수 있었으나 48시간 동안 기계적 합금화 공정 한 후에는 Y2O3 결정상이 완전히 소멸한 것으로 보인다. 이 결과는 Y2O3가 고속 볼밀 공정 중에 높은 에너지 가공을 통해 분쇄되어 Fe 기지에 강제고용된 것으로 판단된다. 기 계적 합금화 공정으로 소멸되었던 Y2O3 결정상은 750℃ 와 850℃에서 1시간 동안 열간성형 한 시편에서도 Y-Fe- O계 결정상이 분명하게 관찰되지 않았다. 하지만 1150℃ 에서 1시간 동안 열간성형 한 시편에서는 Y2O3와 YFe2O4 결정상이 관찰되었다. 기계적 합금화 공정 중 Y2O3 분말 은 분쇄되어 Fe 기지에 고용되어 있다가 후속 열간가공 공정으로 Y-Fe-O계 복합산화물이 석출되는 것으로 판단 된다. 선행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기계적 합금화 공정 중 에 Y2O3 분말은 Y-O 상태로 분해되어 BCC 결정구조 격 자 내 입계에 비정질로 존재하고 있으며 열처리 공정 중 약 1000℃ 온도 부근에서 미세한 복합산화물 형태로 분산 석출된다고 밝히고 있다[9, 10]. 따라서 기계적 합금화 공 정으로 제조된 Fe-5Y2O3 합금분말을 1150℃에서 1시간 동안 열간성형하는 과정에서 Y-Fe-O계 복합산화물이 석 출된 것으로 판단된다.
Fig. 2.
X-ray diffraction patterns of the Fe-5Y2O3 powders after mixing, mechanically alloying, uniaxial hot pressed at 750, 850, and 1150°C.
KPMI-22-46_F2.gif
3.3. 열물성
기계적 합금화 공정으로 제조된 Fe 분말과 Fe-5Y2O3 합 금분말의 DSC 분석 결과를 그림 3에 나타내었다. 기계적 합금화한 Fe 분말은 770, 912 및 970℃ 온도에서 흡열반 응을 보였다. 이는 α-Fe에서 γ-Fe로 상변태가 발생되면서 측정된 결과로 판단된다. 이에 비하여 기계적 합금화로 제 조된 Fe-5Y2O3 합금분말은 712℃와 914℃에서 흡열반응 이 발생하였고, 1054℃에서 발열반응이 발생하였다. 발열 반응이 발생된 지점은 결정화온도를 의미하며 XRD 분석 결과와 비교해 보면 Y-Fe-O계 복합산화물이 석출되는 것 으로 판단된다. 기존 DSC 분석 연구결과에서 Fe-9Cr- 15Y2O3 합금분말은 618℃에서, Fe-24Cr-15Y2O3 합금분말 은 927℃ 온도에서 발열반응이 발생되었으며 발열반응이 측정된 온도에서 열처리한 시편은 복합산화물 결정상이 관찰되었다고 보고하고 있다[11]. 따라서 기계적 합금화 공정 중 Fe 기지로 파쇄되어 있던 Y2O3 분말은 열간성형 공정 중 1054℃ 온도 부근에서 Y-Fe-O계 복합산화물로 생성되는 것으로 판단된다.
Fig. 3.
The DSC study results of the mechanically alloyed Fe, and Fe-5Y2O3 powders.
KPMI-22-46_F3.gif
3.4. 미세조직
기계적 합금화로 제조된 Fe-5Y2O3 합금분말을 열간일축 가압 방법으로 750, 850 및 1150℃ 온도에서 각각 1시간 동안 열간성형하여 제조된 Fe-5Y2O3 모델합금의 TEM 이 미지를 그림 4에 나타내었다. Fe-5Y2O3 합금분말을 750℃ 에서 1시간 동안 열간성형한 시편의 미세조직 분석결과, 결정립이나 석출물은 관찰되지 않았다(그림 4(a)). 기계적 합금화 공정 중 Y2O3 분말이 파쇄되어 α-Fe 기지에 고용 되어 있는 상태로 판단된다. Fe-5Y2O3 합금분말을 압축성 형 한 다음 850℃에서 1시간 동안 열간성형하여 제조된 Fe-5Y2O3 모델합금의 미세조직에서는 결정립은 관찰되었 으나 석출물은 발견되지 않았다(그림 4(b)). 따라서 기계적 합금화로 제조된 Fe-5Y2O3 합금분말은 열간가공 중 800℃ 온도 부근에서 결정립을 형성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Fe- 5Y2O3 합금분말을 1150℃에서 1시간 동안 열간성형하여 제조된 Fe-5Y2O3 모델합금의 미세조직을 관찰한 결과 직 경 20 nm에서 30 μm 정도의 석출물이 뚜렷하게 관찰되 었다(그림 4(c)). 미세조직 분석 결과, 기계적 합금화 중 높 은 에너지 가공으로 인해 파쇄되어 α-Fe 기지에 고용되어 있던 Y2O3 분말은 후속 열간성형 공정 중 온도가 상승함 에 따라 결정립이 형성되고 나노크기의 복합산화물 성장 거동이 발생 된 것으로 판단된다[12, 13].
Fig. 4.
TEM images of the ODS alloys after UHP process at (a) 750°C for 1h, (b) 850°C for 1h, and (C) 1150°C for 1h.
KPMI-22-46_F4.gif
기계적 합금화로 제조된 Fe-5Y2O3 합금분말을 열간일축 가압 방법으로 750, 850 및 1150℃에서 각각 1시간 동안 열간성형하여 제조된 Fe-5Y2O3 모델합금의 미세조직과 화학성분을 관찰한 TEM/EDS 이미지를 그림 5에 나타내 었다. Fe-5Y2O3 합금분말을 750℃에서 1시간 동안 열간성 형한 시편의 TEM/EDS 분석 결과 Fe와 O 화학성분이 주 로 관찰되었으며 Y 성분은 검출되지 않았다(그림 5(a)). XRD 결과에서도 알 수 있듯이 Y2O3 분말은 파쇄되어 Y 성분이 기지상에 고용되어 분포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 다. 기계적 합금화로 제조된 Fe-5Y2O3 합금분말을 850℃ 에서 1시간 동안 열간성형한 시편의 TEM/EDS 분석결과 에서도 Fe와 O 화학성분이 주로 관찰되었다(그림 5(b)). 기계적 합금화로 제조된 Fe-5Y2O3 합금분말을 1150℃에 서 1시간 동안 열간성형한 시편에서는 Y, Fe 및 O 화학성 분이 검출되었다(그림 5(c)). XRD와 DSC 분석 결과에서 도 알 수 있듯이 Y2O3와 YFe2O4 석출물이 관찰된 결과로 판단된다. 따라서 기계적 합금화로 제조된 Fe-5Y2O3 합금 분말은 후속 열간성형 공정 중 약 800℃ 온도에서 결정립 을 형성하고 1054℃ 온도에서 Y-Fe-O계 복합산화물이 생 성되며 온도가 1150℃까지 상승하면 20 nm에서 30 μm 이내의 석출물 분포를 가지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Fig. 5.
TEM/EDS study results of the ODS alloys after UHP process at (a) 750°C for 1h, (b) 850°C for 1h, and (C) 1150°C for 1h.
KPMI-22-46_F5.gif
본 연구에서는 ODS 합금의 나노산화물 석출거동을 평 가하기 위해 기계적 합금화 공정과 열간일축가압 방법으 로 ODS 모델합금을 제조하여 분말 형상, 열특성, 결정상 변화를 측정하고 미세조직을 관찰하였다. 기계적 합금화 공정 중 높은 에너지 가공으로 인하여 Y2O3 분말은 파쇄 되어 Fe 기지에 강제고용되었으며 이로 인하여 Fe를 단독 으로 기계적 합금화한 경우보다 매우 미세한 입자형태를 나타내었다. Y2O3 결정상은 기계적 합금화 공정 후에 완 전히 소멸되었으나 열간일축가압 방법으로 1150℃에서 1 시간 동안 열간성형 한 Fe-5Y2O3 모델합금에서는 Y2O3와 미량의 YFe2O4 결정상 석출이 확인되었다. 이러한 나노산 화물의 석출은 1054℃에서 시작되는 것으로 측정되었으 며 온도가 1150℃까지 상승함에 따라 직경 20 nm에서 30 μm 이내의 분포를 가지는 Y-Fe-O계 복합산화물이 성 장되는 것으로 판단된다.
Acknowledgements
이 논문은 2012년도 정부(미래창조과학부)의 재원으로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원자력원천기술, No. 2012M2A8A1027872)이며, 이에 감사드립니다.
  • 1. T. K Kim and S. H Kim: J. Nucl. Mater., (2011) 411 208.Article
  • 2. T. K Kim, J. H Baek, C. H Han, S. H Kim and C. B Lee: J. Nucl. Mater., (2009) 389 359.Article
  • 3. S Saroja, A Dasgupta, R Divakar, S Raju, E Mohandas, M Vijalakshmi and K.B.S Rao: J. Nucl. Mater., (2011) Rao 131.
  • 4. H. J Jin, S. H Kang and T. K Kim: J. Korean Powder Metall. Inst., (2014) 21 271(Korean).Article
  • 5. T Okuda and M Fujiwara: J. Mater. Sci. Lett., (1995) 14 1600.ArticlePDF
  • 6. R Vijay, M Nagini, S S Sarma, M Ramakrishna, A. V Reddy and G Sundararajan: Metall. Mater. Trans. A., (2014) 45A 777.
  • 7. S. W Kim, T Shobu, S Ohtsuka, T Kaito, M Inoue and M Ohnuma: Mater. Trans., (2009) 50 917.
  • 8. S Noh, J. E Choi, B. K Choi, S. H Kang and T. K Kim: Korean J. Met. Mater., (2014) 52 705.
  • 9. Y Kimura, S Takaki, S Suejima, R Uemori and H Tamehiro: ISIJ Int., (1999) 39 176.
  • 10. D. T Holzer, B. A Pint and I. G Wright: J. Nucl. Mater., (2000) 283 1306.
  • 11. S Wang, D. L SPeng, L Chang and X. D Hui: Mater. Design., (2013) 50 174.
  • 12. HsiungL. LIn : A Mendez-Vilas, J Diaz, editors. Microscopy: Science, Technology, Applications and Education, (2010) Lawrence Livermore National Laboratory, U.S.A 1811.
  • 13. Q Tang, S Ukai, N Oono, S Hayashi, B Leng, Y Sungino, W Han and T Okuda: Mater. Trans., (2012) 53 645.

Figure & Data

References

    Citations

    Citations to this article as recorded by  
    • Mechanical properties of Mo-Si-B alloys fabricated by using core-shell powder with dispersion of yttria nanoparticles
      Jong Min Byun, Su-Ryong Bang, Won June Choi, Min Sang Kim, Goo Won Noh, Young Do Kim
      Metals and Materials International.2017; 23(1): 170.     CrossRef

    • Cite this Article
      Cite this Article
      export Copy Download
      Close
      Download Citation
      Download a citation file in RIS format that can be imported by all major citation management software, including EndNote, ProCite, RefWorks, and Reference Manager.

      Format:
      • RIS — For EndNote, ProCite, RefWorks, and most other reference management software
      • BibTeX — For JabRef, BibDesk, and other BibTeX-specific software
      Include:
      • Citation for the content below
      A Precipitation Behavior of Nano-Oxide Particles in Mechanically Alloyed Fe-5Y2O3 Powders
      J Korean Powder Metall Inst. 2015;22(1):46-51.   Published online February 1, 2015
      Close
    • XML DownloadXML Download
    Figure
    • 0
    • 1
    • 2
    • 3
    • 4
    Related articles
    A Precipitation Behavior of Nano-Oxide Particles in Mechanically Alloyed Fe-5Y2O3 Powders
    Image Image Image Image Image
    Fig. 1. SEM images of the (a) Fe, (b) Y2O3, (c) mechanically alloyed Fe, and (d) mechanically alloyed Fe-5Y2O3 powders.
    Fig. 2. X-ray diffraction patterns of the Fe-5Y2O3 powders after mixing, mechanically alloying, uniaxial hot pressed at 750, 850, and 1150°C.
    Fig. 3. The DSC study results of the mechanically alloyed Fe, and Fe-5Y2O3 powders.
    Fig. 4. TEM images of the ODS alloys after UHP process at (a) 750°C for 1h, (b) 850°C for 1h, and (C) 1150°C for 1h.
    Fig. 5. TEM/EDS study results of the ODS alloys after UHP process at (a) 750°C for 1h, (b) 850°C for 1h, and (C) 1150°C for 1h.
    A Precipitation Behavior of Nano-Oxide Particles in Mechanically Alloyed Fe-5Y2O3 Powders

    Journal of Powder Materials : Journal of Powder Materials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