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arning: mkdir(): Permission denied in /home/virtual/lib/view_data.php on line 81

Warning: fopen(upload/ip_log/ip_log_2024-11.txt): failed to open stream: No such file or directory in /home/virtual/lib/view_data.php on line 83

Warning: fwrite() expects parameter 1 to be resource, boolean given in /home/virtual/lib/view_data.php on line 84
Preparation of Nanosized Gd2O3:Eu3+ Red Phosphor Coated on Mica Flake and Its Luminescent Property
Skip Navigation
Skip to contents

Journal of Powder Materials : Journal of Powder Materials

OPEN ACCESS
SEARCH
Search

Articles

Page Path
HOME > J Korean Powder Metall Inst > Volume 24(6); 2017 > Article
ARTICLE
나노 크기의 Gd2O3:Eu3+ 적색형광체가 코팅된 판상 Mica의 제조 및 형광특성
반세민a,d, 박정민a, 정경열b, 최병기c, 강광중c, 강명창d, 김대성a,*
Preparation of Nanosized Gd2O3:Eu3+ Red Phosphor Coated on Mica Flake and Its Luminescent Property
Se-Min Bana,d, Jeong Min Parka, Kyeong Youl Jungb, Byung-Ki Choic, Kwang-Jung Kangc, Myung Chang Kangd, Dae-Sung Kima,*
Journal of Korean Powder Metallurgy Institute 2017;24(6):457-463.
DOI: https://doi.org/10.4150/KPMI.2017.24.6.457
Published online: November 30, 2017

a 한국세라믹기술원 에코복합소재센터

b 공주대학교

c ㈜씨큐브

d 부산대학교 융합학부

a Eco-composite Materials Center, Korea Institute of Ceramic Engineering & Technology (KICET), Jinju, Gyeongsangnam-do 52851, Republic of Korea

b Department of Chemical Engineering, Kongju National University, Chungnam 31080, Republic of Korea

c CQV Co., Cheungcheongbuk-do 27845, Republic of Korea

d Graduate school of convergence science, Pusan National University, Pusan 46241, Republic of Korea

*Corresponding Author: Dae-Sung Kim, +82-55-792-2453, +82-55-792-2579, dskim@kicet.re.kr
• Received: October 31, 2017   • Revised: November 15, 2017   • Accepted: November 17, 2017

© The Korean Powder Metallurgy Institute. All rights reserved.

  • 113 Views
  • 0 Download
  • 1 Crossref
prev next
  • Nanosized Gd2O3:Eu3+ red phosphor is prepared using a template method from metal salt impregnated into a crystalline cellulose and is dispersed using a bead mill wet process. The driving force of the surface coating between Gd2O3:Eu3+ and mica is induced by the Coulomb force. The red phosphor nanosol is effectively coated on mica flakes by the electrostatic interaction between positively charged Gd2O3:Eu3+ and negatively charged mica above pH 6. To prepare Gd2O3:Eu3+-coated mica (Gd2O3:Eu/mica), the coating conditions are optimized, including the stirring temperature, pH, calcination temperature, and coating amount (wt%) of Gd2O3:Eu3+. In spite of the low luminescence of the Gd2O3:Eu/mica, the luminescent property is recovered after calcination above 600°C and is enhanced by increasing the Gd2O3:Eu3+ coating amount. The Gd2O3:Eu/mica is characterized using X-ray diffraction, field emission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zeta potential measurements, and fluorescence spectrometer analysis.
최근 산업의 발전으로 인해 다양한 상품들이 출시되면 서 이와 유사한 위·변조와 관련된 범죄가 급증하였다. 인 터넷과 스마트폰의 보급화로 일반인들도 쉽게 위·변조를 모방할 수 있으며, 그 기술이 정밀하고 교묘하여 전문가들 조차도 식별하기 어렵게 되었다. 또한, 위조품의 사용은 기업은 물론 시장의 혼란을 야기해 경제적인 손실을 증가 시킨다. 이러한 위·변조를 방지하기 위해 보안 기능을 지 닌 홀로그램, 자성체, 형광체 등을 적용시킨 다양한 보안 제품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 중이다[1, 2]. 이 중에서 형광체는 외부로부터 흡수한 에너지를 통하여 고유의 가 시광선을 내는 물질로 자외선 영역에서 발광되는 적, 녹, 청 세 가지 주요색을 기반으로 다양한 색상을 나타낼 수 있어서 주로 디스플레이에 사용되지만, 여기 에너지원에 따라 그 응용처의 범위가 넓어지고 있다[3]. 형광체는 모체 와 활성체로 구성되며, 형광체의 조성, 구조, 결정성 및 형 광체의 모양과 크기 등에 따라 색상 및 특성이 좌우된다. 그 중에서 적색의 경우 Y2O3:Eu3+, Y(V,P)O4:Eu3+, Gd2O3: Eu3+, 3.5MgO·MgF2·GeO2:Mn4+ 등이 잘 알려져 있으며, 특히 Eu를 발광 중심으로 한 이트륨과 가돌리늄 산화물계가 모 체로 된 형광체가 많이 쓰이고 있다[4]. 특히, Gd2O3:Eu3+ 형광체는 대표적인 적색형광체로 열적·화학적으로 안정 적이며 무엇보다 UV에 비추었을 때 Down-Conversion 여 기 발광에서 나오는 세기가 강하여 최근에는 X-ray와 MRI 등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또한, 제조 방법에 따라 입자의 크기를 제어할 수 있으며, 고품질의 형광체를 얻을 수 있다[5].
형광체를 제조하는 대표적인 방법에는 크게 고상법, 액 상법 및 기상합성법 등으로 분류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고상법은 비교적 제조 공정이 간단하고 대량생 산이라는 장점이 있지만 결정입자가 크고 불균일하다. 이 에 반해 액상법은 저온에서 합성이 가능하고 나노 크기의 형광체를 합성하는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그 중에서 주형법은 일정한 크기의 형틀에 액상 시료를 함침시켜 소 성 공정을 통해 합성하는 방법으로 균일하고 높은 결정성 의 입자가 제조되나 응집되기 때문에 밀링과정이 필수적 이다. 이러한 제조 과정의 최적화에 대해 본 연구자들이 연구를 통해서 100 nm 크기의 형광체가 분산된 분산졸을 제조한 바 있다[6, 7].
표면을 코팅하는 방법에는 크게 건식코팅법과 습식코팅 법으로 나누어진다. 건식코팅법에 비해 습식코팅법은 수용 액 환경에서 코팅하려는 물질의 전구체를 화학적으로 적절 히 처리하여 모재 표면에 균일하게 흡착시키는 방법으로 불 안정한 상태의 입자들을 분산시키면서 모체에 일정하게 코 팅하기에는 적절한 방법이다. 뿐만 아니라 용액 내 모재의 계면 특성을 파악하고 물리, 화학적으로 표면개질을 하거 나, 분산성 제어 등을 통해서 입자 간의 표면 코팅을 실현 시켜 줄 수 있다. 이러한 습식코팅법은 매우 작은 크기의 입자를 균일하게 합성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며, 콜로이 드 상태의 나노 사이즈 입자들이 균일하게 분포되어 산화물 의 박막 및 입자 코팅의 공정으로 이용된다[8-10].
Mica는 무기안료 중에서 주목받고 있는 진주광택안료의 물질 중 기본적인 재료로써 높은 굴절률을 가지고 있어서 특수한 광학적 효과를 나타낸다. Mica 표면 위에 유무기 금속산화물 등을 피복시켜 합성을 하여 다양한 색상을 지 니는 화장품 안료, 착색 안료와 적외선 차폐 안료 등[11, 12] 그 응용범위가 넓지만 지금까지 형광체 나노입자가 코 팅된 Mica 형광안료는 아직 보고된 적이 없다. 최근에 본 연구자들은 CeO2:Eu3+ 적색형광체가 코팅된 펄안료와 관 련된 연구를 통하여 적색 형광특성을 통한 보안식별이 가 능한 형광안료를 연구한 바 있다[13].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주형법으로 제조 후 밀링을 통하 여 나노 크기로 분산된 적색형광체인 Gd2O3:Eu3+분산졸을 판상형 Mica의 표면에 코팅하여 적색형광체를 제조하였 다. Gd2O3:Eu3+ 나노입자를 판상 Mica 기재에 효과적으로 코팅하기 위해서 교반온도, pH, 소성온도, 코팅함량 등의 변화에 따라 Gd2O3:Eu3+ 입자의 코팅을 최적화하였다. 형 광특성은 소성온도와 합성 및 소성 인자별에 따른 코팅특 성과의 상관성을 관찰하였다.
2.1. Gd2O3:Eu3+ 적색형광체의 나노 크기 분산졸 제조
판상 Mica 표면 위에 코팅할 Gd2O3:Eu3+ 적색형광체 나 노 크기의 분산졸을 제조하기 위해서 주형법을 이용하여 Gd(NO3)3과 Eu(NO3)3의 몰비에 따라 Gd(2-x)EuxO3로 제조 하였는데 본연구자들은 실험을 통해서 9:1의 비율이 형광 특성이 우수하여 이를 혼합한 후 650°C에서 소성하여 Gd2O3:Eu3+ (Gd1.8Eu0.2O3) 적색형광체를 제조하였다. 그 후 응집된 분말들은 아크릴계 공중합체를 첨가하여 수계하에 서 지르코니아 비드 0.3Ø로 2시간 밀링하여 분산된 Gd2O3: Eu3+ 나노졸을 제조하였다. 분산졸 농도는 약 2 wt%이며, 평 균 입자 크기인 D50은 약 120 nm이다[7].
2.2. Gd2O3:Eu3+가 코팅된 Mica 적색형광체의 제조
Gd2O3:Eu3+가 코팅된 Mica(Gd2O3:Eu/Mica) 적색형광체 를 제조하기 위해 증류수 100 ml가 들어있는 250 ml 비이 커에 판상형 Mica(CQV Co., 입자크기분포 9-45 μm, 두께 분포 200~600 nm) 10 g을 넣고 수십 분간 교반시킨 후, 1 M 농도의 HCl과 NaOH를 사용하여 pH를 조절하였다. Gd2O3:Eu3+를 Mica에 코팅하기 위해 먼저, 주형법으로 제 조하여 밀링된 Gd2O3:Eu3+ 적색형광체는 Mica 대비 10, 20, 25, 30 wt%로 코팅량을 변화하였다. 전처리된 Mica와 증류 수를 삼구 플라스크에 넣고 교반 속도는 200 rpm에서 교반 하면서 수 시간 동안 정량펌프를 사용하여 상온에서 Gd2O3:Eu3+ 적색형광체 나노 크기의 분산졸을 일정하게 첨 가한 후 85°C에서 24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증류수를 이용 하여 여러 번 감압 여과한 후 얻어진 분말은 건조기를 사 용하여 100°C에서 수 시간 건조하였다. 건조된 분말은 각 각 550, 650, 750°C에서 4시간 소성하여 Gd2O3:Eu/Mica 적 색형광체를 제조하였다. Gd2O3:Eu3+와 Mica 입자의 코팅 특성을 최적화하기 위하여 반응온도, pH, 소성온도 및 Gd2O3:Eu3+ 코팅함량 등을 변화시키면서 실험을 진행하였 다. 코팅 인자 요인에 따라 제조된 적색형광체들을 Table 1 에 정리하여 나타내었으며, Fig. 1은 나노 크기의 적색형광 체 제조에 대한 개략적인 모식도를 나타낸 것이다.
Fig. 1

Preparation process of Gd2O3:Eu3+ red phosphor coated on Mica.

KPMI-24-457_F1.gif
Table 1

Coating conditions for preparing various Gd2O3:Eu3+ red phosphors coated on Mica

Sample* Gd2O3:Eu3+(wt%) Mica(wt%) pH Stirring Temperature(°C) Calcination Temperature(°C)

GM1 7
GM2 8 85
GM3 9 650
GM4 9.1 90.9 75
GM5 95
GM6 550
GM7 8 750
GM8 16.7 83.3 85
GM9 20 80 650
GM10 23.1 76.9

*G means Gd2O3:Eu3+.[(Gd1.8Eu0.2)O3, 2wt% nanosol(D50=120 nm)]

M means Synthetic Mica. [lateral size 9-45 μm, thickness 200~600 nm]

2.3. Gd2O3:Eu/Mica 적색형광체의 특성 분석
Gd2O3:Eu/Mica 적색형광체는 Field emission scanning electron microscope(FE-SEM, JSM-6700F, JEOL)을 사용 하여 코팅된 입자의 형상 및 코팅량을 측정하였다. 특히 안료의 두께 및 코팅된 부분은 Focused ion beam(FIB, Helios NanoLab 600, FEI Korea)로 입자를 절단하여 Mica 및 Gd2O3 코팅층의 두께를 관찰하였다. Gd2O3:Eu3+, Mica, Gd2O3:Eu/Mica의 결정구조는 X-ray diffraction(XRD, D/ MAX-2500V, Rigaku)을 사용하였으며 측정 조건은 400 kv, 20 mA, scan speed 5°/min와 측정 범위는 2θ=5~90°로 확인 하였다. 코팅에 사용된 Mica 및 Gd2O3 입자들의 표면 전 위를 측정하기 위해서 ELS-Z(Otsuka Electronics)를 사용 하여 코팅에 최적조건인 pH를 확인하였다. 측정하기 위한 시료는 증류수를 사용하여 0.01 wt% 농도로 희석하여 수 십 분 교반 후 기포 제거를 위하여 수 분 간 초음파 처리 를 하였다. 시료의 pH는 NaOH 및 HCl을 사용하여 조절 하였다. 측정 시 입자 이동도의 오차를 줄이기 위해 가능한 샘플 중앙(cell center)을 Z축에 정확히 맞췄으며, 신뢰도 향 상을 위해 총 4회 반복하여 측정된 데이터의 평균값을 사 용하였다. 또한, 발광특성은 형광분석기(Fluorescence spectrometer, LS 55, Perkin Elmer)를 이용하여 Emission과 Excitation 그래프를 보기 위하여 파장 200-800 nm 범위에 서 발광하는 빛의 스펙트럼을 측정하였다.
3.1. pH 영향에 따른 Gd2O3:Eu/Mica 적색형광체 제조
Mica 표면에 Gd2O3:Eu3+ 입자를 코팅하는 공정은 입자 간의 정전기적 인력을 이용하여, 입자의 표면 전위로 두 입자 간의 전위차를 확인하여 전위차가 가장 큰 pH 영역 에서 실험을 수행하였다.
Fig. 2는 pH 1~10에서 Mica와 Gd2O3:Eu3+ 입자의 제타 전위를 측정한 그래프이다. Mica의 경우에는 pH가 1에서 10으로 증가함에 따라 제타 전위값은 +30 mV에서 -55 mV 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pH 1~5.5에서는 (+)값, pH 5.5~10에서는 (-)값을 나타냈으며, Isoelectric point(IEP)는 약 pH 5.5였다. Gd2O3:Eu3+의 경우에는 아크릴계 공중합체 를 첨가하여 pH 전 범위에서 (+) 전하를 띄는 Gd2O3:Eu3+ 분 산졸을 제조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로 Mica 표면에 Gd2O3:Eu3+ 입자를 코팅하는 공정은 pH 6 이상이며 전위차가 큰 부분인 약 pH 7~9에서 고려하였다.
Fig. 2

Zeta potential curves of (a) Mica and (b) Gd2O3:Eu3+ red phosphor observed with pH variation.

KPMI-24-457_F2.gif
Fig. 3은 판상 Mica와 pH에 따른 Gd2O3:Eu/Mica 적색형 광체 분말의 FE-SEM 이미지를 보여주고 있다. Fig. 3(a) 는 Gd2O3:Eu3+가 코팅되지 않은 Mica의 표면을 나타낸 것 으로, 입자 표면이 매끄러운 것을 확인하였다. Fig. 3(b-d) 는 Gd2O3:Eu3+가 코팅된 Mica의 입자형상을 보여주고 있 다. Fig. 3(b)는 pH 7의 GM1 시료로써 입자간의 표면전하 차이가 남에도 불구하고 Mica 표면에 Gd2O3:Eu3+ 입자가 거의 코팅 되지 않은 것을 관찰하였다. 이에 반하여 Fig. 3(c)는 GM2 시료로 pH 8의 조건에서는 Gd2O3:Eu3+와 Mica의 표면전하의 전위차가 95 mV로 입자 간의 대전이 (+) 전하와 (–) 전하로 반대가 되어 쿨롱의 힘 중에서 인력 이 작용하여 Mica의 표면에 코팅이 된 것이라 생각된다. 반면에 Fig. 3(d)에서 보듯이 pH 9의 GM3에서는 Mica와 Gd2O3:Eu3+간의 정전기적 인력에 의한 결합과 동시에 pH 증가로 인한 Gd2O3:Eu3+ 입자표면의 OH 그룹의 증가 및 결합으로 인해 약 1 μm 대의 침상형으로 Mica 표면에서 성장하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Byeon 등의 연구에서도 pH 8 이상인 염기성 분위기에서 Gd2O3의 형상은 침상이 되며 특히, pH 12 까지인 강염기성으로 갈수록 각형비가 큰 가는 나노와이어의 형태로 나타난다고 하였다[14, 15]. 본 연구자들은 이전 논문에서도 구형 입자의 Gd2O3가 Gd(OH)3로 표면이 수화되면서 OH-기 축합반응에 의한 침 상형 자기 조립이 용이한 것으로 보고하였다[7]. FE-SEM 으로 관찰한 입자들의 코팅 피복율은 Fig. 3(b)는 2~3%, Fig. 3(c)는 30~60%, Fig. 3(d)는 30~45% 정도였다.
Fig. 3

FE-SEM images of (a) Mica and Gd2O3:Eu/Mica prepared at (b) pH 7(GM1), (c) pH 8 (GM2), and (d) pH 9(GM3).

KPMI-24-457_F3.gif
Fig. 4는 Mica와 Gd2O3:Eu/Mica 적색형광체 분말의 Xray 회절패턴을 보여주고 있다. Fig. 4(a)는 Mica 분말의 XRD 패턴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것으로, JCPDS No. 16-0344의 회절패턴과 일치하였으며 구조는 Phlogopite를 나타내었다. Fig. 4(b)는 GM2를 측정한 XRD 패턴으로, Mica 표면 위의 코팅으로 Gd2O3 피크가 다소 감소하였지 만, JCPDS No. 012-0797의 회절패턴과 일치하는 Gd2O3 결정구조임를 확인할 수 있었다.
Fig. 4

Power XRD patterns of (a) Mica and (b) Gd2O3/ Mica.

KPMI-24-457_F4.gif
Fig. 5는 Fig. 3의 pH에 따라 제조된 Gd2O3:Eu/Mica 적 색형광체의 Photoluminescence(PL)를 분석한 그래프이다. PL 측정범위는 400-800 nm이며, excitation은 254 nm 중심 파장으로 측정하였다. 그래프를 보게 되면 580 nm에서부 터 emission이 시작되어서 680 nm 부근에서 떨어지다가 다시 708 nm 부근에서 소폭 증가하는 것을 볼 수 있다. 에 너지를 받으면서 5D07FJ´(J´=0, 1, 2, 3, 4)가 상대적으로 전이가 되어 빛을 발광하는 것으로, 특히 그래프 상에서 가장 높게 측정된 613 nm 부근은 들뜬 상태의 Eu가 5D0 에서 7F2로 복사 전위가 되어 나타난 것과 일치한다[16].
Fig. 5

Photoluminescence spectra of Gd2O3:Eu/Mica prepared at (a) pH 7(GM1), (b) pH 8 (GM2), and (c) pH 9(GM3).

KPMI-24-457_F5.gif
그 결과, pH가 8인 GM2 일 때, 형광특성이 가장 좋았 으며 이는 Mica 표면에 Gd2O3:Eu3+ 입자의 수가 많을수록 형광특성이 좋아지는 상관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Jun 등은 Gd2O3:Eu3+ 형광체의 크기에 따라 형광특성을 비 교하였는데 Microrods의 형태가 Nanorods 형태보다 우수 한 형광특성을 보인다고 하였다[17]. pH 9의 GM3은 구형 에서 침상형으로 입자 형성이 변하면서 입자 크기가 커졌 지만, 비표면적이 줄어들면서 GM2보다 Mica의 표면에 코 팅이 많이 되지 않아 형광특성이 감소함을 볼 수 있었다. 따라서 이후 실험에서는 코팅이 가장 잘 되었던 pH 8에서 실험을 수행하였다.
3.2. 온도의 영향에 따른 Gd2O3:Eu/Mica 적색형광체 제조
Mica 입자와 Gd2O3:Eu3+입자 간의 전위차가 큰 구간인 pH 8로 고정한 후 교반온도와 소성온도에 대한 영향을 알 아보기 위해 우선 교반온도의 경우 65, 75, 85 및 95°C에 서 실험을 진행하였다.
Fig. 6은 교반온도에 따른 Gd2O3:Eu/Mica 적색형광체 표면의 FE-SEM을 관찰한 이미지이다. 온도가 증가할수록 Mica의 표면에 Gd2O3:Eu3+ 입자가 많이 코팅되어 있는 것 을 확인할 수 있었다. pH는 온도의 변화에 영향을 받게 되 는데 이는 온도가 높아질수록 활성화 에너지가 높아지면 서 용액 상태의 전해질 물질들이 전기이중층을 쉽게 생기 면서 상대적으로 (-)로 대전된 Mica는 (+)로 대전된 Gd2O3:Eu3+와의 인력이 강해지면서 Mica의 표면에 코팅되 는 것으로 생각된다. 특히, 95°C의 경우 85°C의 조건과 크 게 차이가 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하여 교반온도는 85°C 일 때 가장 적합하다고 생각된다.
Fig. 6

FE-SEM images of Gd2O3:Eu/Mica prepared by the variation of stirring temperature at (a) 75°C(GM4), (b) 85°C(GM2), and (c) 95°C(GM5).

KPMI-24-457_F6.gif
Fig. 7은 소성온도에 따른 Gd2O3:Eu/Mica 적색형광체의 FE-SEM 표면 이미지이다. Fig. 7(b)의 소성온도가 650°C 일 때 Mica 표면에 가장 많은 양의 Gd2O3:Eu3+ 입자가 코 팅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반면에 Fig. 7(c)의 750°C에서는 Gd2O3:Eu3+ 입자가 Mica에서 일부 분리되어 형광체 입자들끼리 응집되는 경향이 보였다. 이는 열로 인 해서 Gd2O3:Eu3+ 입자와 Mica의 팽창 속도가 달라지고 이 로 인한 각 입자들의 코팅력을 약화시키기 때문으로 고려 된다. 따라서, 이러한 소성온도는 Mica 표면 위에 코팅된 Gd2O3:Eu3+ 입자의 결정성 향상에 영향을 주게 되며, Mica 표면에 코팅된 Gd2O3:Eu3+ 입자가 떨어지지 않으면서 형 광특성을 회복시키는 최적 조건을 찾을 수 있었다. 특히 이에 관해 본 연구자들이 나노 크기의 Gd2O3:Eu3+ 형광체 의 밀링을 통해서 결정성이 감소하는 부분에 대하여 소성 을 통해서 형광특성이 회복되는 것을 보고한 바 있다[18].
Fig. 7

FE-SEM images of Gd2O3:Eu/Mica prepared by the variation of calcination temper ature at (a) 550°C(GM6), (b)650°C(GM2), and (c) 750°C(GM7).

KPMI-24-457_F7.gif
3.3. 코팅함량에 따른 Gd2O3:Eu/Mica 적색형광체 제조
Mica의 wt% 대비 Gd2O3:Eu3+ 입자의 코팅함량에 대한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첨가된 양을 5, 10, 15, 20, 25, 30 및 40%로 변화시켜 실험을 진행하였다.
Fig. 8은 코팅함량에 따른 Gd2O3:Eu/Mica 적색형광체 표면의 형상을 FE-SEM으로 관찰한 이미지이다. Mica의 wt% 대비 Gd2O3:Eu3+ 입자의 코팅함량이 증가할수록 Mica의 표면에 많은 Gd2O3:Eu3+ 입자가 코팅된 것을 확인 하였다. 코팅함량이 5%인 경우 Mica 대비 그 양이 적어 서 표면에 Gd2O3:Eu3+ 입자가 적게 코팅되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코팅함량이 증가하여 25 wt%의 경우인 GM9 는 Mica의 표면을 약 50% 정도로 덮인 것을 볼 수 있다. 254 nm 파장대의 UV 램프로 비추어 보았을 때도 나노 크 기의 적색형광체가 코팅된 코팅함량 25%에서 적색 형광 특성이 우수하였다. 하지만 코팅함량이 30% 인 GM10은 25%보다 Mica에 코팅된 입자의 양이 감소되었을 뿐만 아 니라, Gd2O3:Eu3+ 입자들끼리 응집되어 침상 형태로 코팅 되고 일부는 코팅되지 않고 5 μm의 큰 덩어리가 형성되는 것을 관찰하였다. 침상형으로 입자가 바뀌고 자기들끼리 응집되어 Mica와 별도로 분리된 30% 이상일 때는 형광특 성이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40%의 경우에 는 응집된 Gd2O3:Eu3+ 큰 입자들이 Mica와 별도로 주위에 형성된 것을 관찰할 수 있었으며, 이는 Gd2O3:Eu3+ 입자가 많아짐에 따라서 불안정한 입자들이 Mica의 표면보다는 Gd2O3:Eu3+ 입자 간의 응집에 기인된 것으로 생각된다.
Fig. 8

FE-SEM images of Gd2O3:Eu/Mica prepared by the variation of Gd2O3:Eu3+ coating amount. (a) 10 wt%(GM2), (b) 20 wt%(GM8), (c) 25 wt%(GM9), (d) 30 wt%(GM10).

KPMI-24-457_F8.gif
Fig. 9는 Fig. 8의 코팅함량에 따라 제조된 Gd2O3:Eu/Mica 적색형광체의 PL을 분석한 그래프이다. 코팅함량이 증가할 수록 PL의 세기는 증가하며 코팅함량이 25% 일 때, 적색 발광 특성이 우수하였다. 하지만 입자의 형상이 침상형으로 바뀌는 30% 이후에는 발광 세기가 현저히 감소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Fig. 9

Photoluminescence spectra of Gd2O3:Eu/Mica prepared by the variation of Gd2O3:Eu3+ coating amount. (a) 20 wt%, (b) 25 wt%, (c) 30 wt%.

KPMI-24-457_F9.gif
Fig. 10은 Mica 대비 Gd2O3:Eu3+ 코팅함량이 25%인적색 형광체(GM9) 입자를 FIB를 이용하여 Gd2O3:Eu/Mica 옆 면의 코팅층 두께를 FE-SEM으로 관찰한 이미지이다. Mica의 경우 약 612 nm의 두께를 확인할 수 있으며 Mica 아래 표면에는 Gd2O3:Eu3+의 입자가 대략 100~200 nm로 코팅된 것을 확인하였다.
Fig. 10

FE-SEM images of cross-section of Gd2O3:Eu/Mica (GM9).

KPMI-24-457_F10.gif
본 연구에서는 나노 크기의 Gd2O3:Eu3+ 분산졸을 판상형 Mica 기재에 코팅하여 Gd2O3:Eu/Mica 적색형광체를 제조 하였다. Gd2O3:Eu3+와 Mica 입자 사이의 정전기적 인력에 의한 습식공정으로 제조하였으며, 코팅 인자인 pH와 교반 온도, Gd2O3:Eu3+ 코팅함량, 소성온도 등을 변화하여 코팅 을 최적화하였다. 전위차 구간이 큰 pH 8에서 나노 크기의 Gd2O3:Eu3+ 입자가 Mica의 표면에 코팅이 효과적이었으며, 교반온도는 활성화에너지를 높여서 전위차를 크게 하여 인 력이 더 강하게 만드는 역할을 하므로 85°C 이상에서 실시 하는 것이 Mica의 표면에 코팅량을 증가시켰다. 소성 시 열팽창에 따라 Mica의 표면에 붙은 Gd2O3:Eu3+ 입자가 떨 어지지 않게 하기 위하여 650°C의 조건에서 실시하였다. Mica 표면의 코팅량이 증가할수록 형광특성이 향상하였으 며, 이는 코팅량과 형광특성이 25%의 경우 가장 우수하였 다. 또한, 밀링으로 인한 Gd2O3:Eu3+ 적색 형광체의 형광특 성의 감소는 소성을 통해서 회복되는 것을 관찰하였다.
Acknowledgements
This work was supported by the Research Fund of Advanced Technology Center (ATC) Project (Project No. 10052088) at Ministry of Trade, Industry and Energy (MOTIE).
  • 1. D.H. Kang and J.H. Hong: J. Korean. Soc. Manuf. Technol. Eng., (2012) 21 15.
  • 2. B.K. Gupta, D. Haranath, S. Saini, V.N. Singh and V. Shanker: Nanotechnology., (2010) 21 1.
  • 3. K.Y. Jung and W.H. Kim: Korean Chem. Eng. Res.., (2015) 53 620.
  • 4. K.U. Kim, S.H. Choi, H.K. Jung and S. Nahm: Korean J. Mater. Res., (2008) 18 159.
  • 5. T. Hirai, T. Hirano and I. Komasawa: J. Colloid Interface Sci.., (2002) 253 62.Article
  • 6. Y.M. Moon, S.H. Choi, H.K. Jung and S.H. Lim: Korean J. Mater. Res.., (2008) 18 511.
  • 7. J.M. Park, S.M. Ban, K.Y. Jung, B.K. Chol, K.J. Kang and D.S. Kim: Korean J. Mater. Res.., (2017) 27 534.Article
  • 8. S. Wu, A. Sun, W. Xu, Q. Zhang, F. Zhai, P. Logan and A.A. Volinsky: J. Magn. Magn. Mater.., (2012) 324 3899.Article
  • 9. S. Maenosono, T. Okubo and Y. Yamaguchi: J. Nanopart. Res.., (2003) 5 5.Article
  • 10. D. Wang and G.P. Bierwagen: Prog. Org. Coat.., (2009) 64 327.Article
  • 11. K.S. Lee, K.H. Kang, J.H. Lee and D.K. Lee: J. Korean Oil Chem. Soc.., (2013) 30 233.Article
  • 12. H.Y. Jung, H.J. Lee, S.H. Lee, H.M. Lim, B.K. Chol, K.J. Kang, J.S. Choi and D.S. Kim: Korean J. Mater. Res.., (2013) 23 672.
  • 13. K.Y. Jung, J.C. Lee, D.S. Kim, B.K. Choi and W.J. Kang: J. Lumin.., (2017) 192 1313.Article
  • 14. K.H. Lee, Y.J. Bae and S.H. Byeon: Intech., (2010) 402 345.
  • 15. K.H. Lee, Y.J. Bae and S.H. Byeon: Bull. Korean Chem. Soc.., (2008) 29 2161.
  • 16. N.M. Maalej, A. Qurashi, A.A. Assadi, R. Maalej, M.N. Shaikh, M. Ilyas and M.A. Gondal: Nanoscale Res. Lett.., (2015) 10 215.
  • 17. J. Yang, C. Li, Z. Cheng, X. Zhang, Z. Quan, C. Zhang and J. Lin: J. Phys. Chem. C., (2007) 111 18148.Article
  • 18. H.J. Lee, S.M. Ban, K.Y. Jung, B.K. Chol, K.J. Kang and D.S. Kim: Korean J. Mater. Res.., (2017) 27 100.Article

Figure & Data

References

    Citations

    Citations to this article as recorded by  
    • Optimization of dispersed LaPO4:Tb nanosol and their photoluminescence properties
      Mahboob Ullah, Se-Min Ban, Dae-Sung Kim
      Optical Materials.2019; 97: 109366.     CrossRef

    • PubReader PubReader
    • Cite this Article
      Cite this Article
      export Copy Download
      Close
      Download Citation
      Download a citation file in RIS format that can be imported by all major citation management software, including EndNote, ProCite, RefWorks, and Reference Manager.

      Format:
      • RIS — For EndNote, ProCite, RefWorks, and most other reference management software
      • BibTeX — For JabRef, BibDesk, and other BibTeX-specific software
      Include:
      • Citation for the content below
      Preparation of Nanosized Gd2O3:Eu3+ Red Phosphor Coated on Mica Flake and Its Luminescent Property
      J Korean Powder Metall Inst. 2017;24(6):457-463.   Published online December 1, 2017
      Close
    • XML DownloadXML Download
    Figure
    • 0
    • 1
    • 2
    • 3
    • 4
    • 5
    • 6
    • 7
    • 8
    • 9
    Related articles
    Preparation of Nanosized Gd2O3:Eu3+ Red Phosphor Coated on Mica Flake and Its Luminescent Property
    Image Image Image Image Image Image Image Image Image Image
    Fig. 1 Preparation process of Gd2O3:Eu3+ red phosphor coated on Mica.
    Fig. 2 Zeta potential curves of (a) Mica and (b) Gd2O3:Eu3+ red phosphor observed with pH variation.
    Fig. 3 FE-SEM images of (a) Mica and Gd2O3:Eu/Mica prepared at (b) pH 7(GM1), (c) pH 8 (GM2), and (d) pH 9(GM3).
    Fig. 4 Power XRD patterns of (a) Mica and (b) Gd2O3/ Mica.
    Fig. 5 Photoluminescence spectra of Gd2O3:Eu/Mica prepared at (a) pH 7(GM1), (b) pH 8 (GM2), and (c) pH 9(GM3).
    Fig. 6 FE-SEM images of Gd2O3:Eu/Mica prepared by the variation of stirring temperature at (a) 75°C(GM4), (b) 85°C(GM2), and (c) 95°C(GM5).
    Fig. 7 FE-SEM images of Gd2O3:Eu/Mica prepared by the variation of calcination temper ature at (a) 550°C(GM6), (b)650°C(GM2), and (c) 750°C(GM7).
    Fig. 8 FE-SEM images of Gd2O3:Eu/Mica prepared by the variation of Gd2O3:Eu3+ coating amount. (a) 10 wt%(GM2), (b) 20 wt%(GM8), (c) 25 wt%(GM9), (d) 30 wt%(GM10).
    Fig. 9 Photoluminescence spectra of Gd2O3:Eu/Mica prepared by the variation of Gd2O3:Eu3+ coating amount. (a) 20 wt%, (b) 25 wt%, (c) 30 wt%.
    Fig. 10 FE-SEM images of cross-section of Gd2O3:Eu/Mica (GM9).
    Preparation of Nanosized Gd2O3:Eu3+ Red Phosphor Coated on Mica Flake and Its Luminescent Property
    Sample* Gd2O3:Eu3+(wt%) Mica(wt%) pH Stirring Temperature(°C) Calcination Temperature(°C)

    GM1 7
    GM2 8 85
    GM3 9 650
    GM4 9.1 90.9 75
    GM5 95
    GM6 550
    GM7 8 750
    GM8 16.7 83.3 85
    GM9 20 80 650
    GM10 23.1 76.9
    Table 1 Coating conditions for preparing various Gd2O3:Eu3+ red phosphors coated on Mica

    G means Gd2O3:Eu3+.[(Gd1.8Eu0.2)O3, 2wt% nanosol(D50=120 nm)]

    M means Synthetic Mica. [lateral size 9-45 μm, thickness 200~600 nm]


    Journal of Powder Materials : Journal of Powder Materials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