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제대학교 에너지융합학과
인제대학교 나노융합공학부
Department of Energy Fusion Technologies, Inje University, Gimhae 50834, Republic of Korea
a Department of Nanoscience and Engineering, Inje University, Gimhae 50834, Republic of Korea
© The Korean Powder Metallurgy Institute. All rights reserved.
Si-Ge-Al 합금분말은 염산용액을 이용하여 에칭할 경 우, 알루미늄이 제거되어 비교적 수월하게 Si-Ge(-Al) 합 금분말 형태의 다공성 구조를 얻을 수 있었다.
Si-Ge-Al 합금보다 에칭에 의한 다공성 Si-Ge(-Al)의 비표면적이 15배가량 증가하였으며, 이 경우 평균입도 46.35 nm의 mesopore가 가장 많이 분포되어 있음을 확인 할 수 있었다.
Si-Ge-Al 합금과 에칭된 다공성 Si-Ge(-Al)의 50번째 사이클에서 방전용량은 각각 144.1, 414.5 mAh/g으로 다 공성 구조의 합금의 충·방전 사이클 특성이 훨씬 우수하 였으며, 이러한 현상은 다공성분말의 부피팽창 완화효과 에 기인한 것으로 해석된다.
Alloy | 1st discharge capacity (mAh/g) | 50th discharge capacity (mAh/g) | Initial irreversible capacity (mAh/g) | 50th/2nd Cycle efficiency(%) | Columbic efficiency of 50th cycle (%) |
---|---|---|---|---|---|
|
|||||
Si-Ge-Al | 1751.87 | 144.1 | 387.99 | 11.38 | 99.11 |
Si-Ge(-Al) | 2545.93 | 414.5 | 785.51 | 22.82 | 98.47 |